•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attitude

검색결과 372건 처리시간 0.029초

영천 향토음식에 대한 주민 인식과 관광상품화 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sidents' Recognition and Tourism Merchandising Intention of Native Local Foods in Yeongcheon Region)

  • 장순옥;이연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52-466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attitude, popularization and merchandising intention of native local foods in the Yeongcheon area using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answered by 322 citizens living in Yeongcheon.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25.8% of the respondents stated that 'familiarity in taste' was the reason that they like local foods. 32.0% of the subjects said 'mass media' was the reason they knew about local food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local foods for tourism was 'taste' (44.7%). One of the main conditions for the popularization of local foods was 'holding various kinds of cultural events' (25.2%). The most recognized native local food in the Yeongcheon area was 'Ukhoe' (3.60 points), followed by 'Samsong-gun-mandu' (3.58 points), 'Dotorimuk-muchim', 'Hanu-sutbul-gui' and 'Chueotang'. On the other hand, the recognition score for 'Gompi-namul' (2.63 points), 'Piramijorim' (2.77 points), 'Sangeo-pipyeon', 'Muneochae-sukhoe' was very low. The most effective local food in developing tourism in Yeongcheon was 'Ukhoe' (3.70 points), followed by 'Hanu-sutbul-gui' (3.69 points), 'Dombaegi-gui-jjim', 'Samsong-gun-mandu', 'Someri-suyuk'.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tourism commercialization intention of Yeongcheon local foods was significantly dependent on demographic factors (gender, age, education, dwelling period). Males had a high tourism product intention for 'Ukhoe', while female was high intention for 'Sogogi-jeongol' and 'Kongnip-kimchi'. The tourism commercialization intention for most Yeongcheon local foods increased as the dwelling period increased.

A cross-sectional survey of clinic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use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mo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Lee, Hye-Yoon;Yun, Young-Ju;Yu, Sun-Ae;Park, Yo-Han;Park, Byung-Wook;Kim, Bu-Young;Hwang, Man-Suk
    •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 /
    • 제7권4호
    • /
    • pp.333-340
    • /
    • 2018
  • Background: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is widely used to treat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in Korea; however, studies investigat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use of TKM are scarce. Thus,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factors that might influence the use of TKM. Methods: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multicenter survey was performed from August 2014 to May 2016. The history of TKM use, type and severity of CP, current treatment characteristics, presence of accompanying disabilities or other health problems not directly related to CP, and monthly cost for the treatment of CP were surveyed. Results: In total, 182 children were recruited, and 78 children (42.9%) had used TKM. Among these 78 children, 50 (64.1% of the TKM-use group) had used both acupuncture and herbal medication, 15 (19.2%) had used acupuncture only, and 13 (16.7%) had used herbal medication only. Children with non-typical CP, accompanying disabilities and general health problems tended to use TKM. The monthly cost of treatment for C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KM-use group than that in the no-TKM-use group, suggesting that economically disadvantaged children may have difficulty in accessing TKM. Dietary supplements, conventional pharmacological treatments, and rehabilitation therapies did not affect TKM use. Conclusion: Children with non-typical symptoms or those with poor overall health status are likely to use TKM. Additionally, TKM use leads to increased treatment costs. Studies investigating the motivation for starting or ceasing TKM therapy, socioeconomic factors and the attitude of parents toward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should be performed.

Factors related to the intention of healthy eating behavior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cused on adults residing in Beijing, China

  • Liu, Dan;Lee, Seungwoo;Hwang, Ji-Yu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1호
    • /
    • pp.67-75
    • /
    • 2021
  • Purpose: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was used to investigate how the psychological constructs of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BC) affect the individual intention of behaviors in adults. Social support is also important in enabling the stability of healthy eating.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major constructs of TPB as well as social support and the intention of healthy dietary behaviors in adults residing in Beijing, China using the extended TPB. Methods: The study questionnaire was based on previously validated items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20. Using a total of 244 Chinese adults in Beij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ree major constructs of TPB as well as the social support and intention of healthy eating. Results: Among the three major constructs of TPB, subjective norms (p = 0.044) and PBC (p = 0.000)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behavioral intention of healthy eating (p = 0.000), and the model explained 76.6% of the variance of the behavioral intention from the three constructs of TPB included i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The additional inclusion of social support to the model did not increas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to describe the behavioral intention of healthy eating. The subjective norms (p = 0.040) and PBC (p = 0.000) were still significant where social support did not explain the variance of the behavioral intention adequately. Conclusion: The subjective norms and PBC may be potential determinants of the behavioral intention of healthy eating in adults residing in Beijing, China. These study results can be used to promote healthy eating in Chinese adults living in urban areas. Large-scale intervention studies will be needed to determine if social norms and PBC predict the actual behaviors of healthy eating in Chinese adults.

Genetic Diversity of Phenotypic Traits and Biochemicals of Lettuce (Lactuca sativa L.) Germplasm

  • On-Sook Hur;Ho-Cheol Ko;Na-Young Ro;Awaris Derbie Assefa;Aejin Hwang;Bichsaem Kim;Seong-Hoon Kim;Youn Jeong Lee;Hee-Jong Woo;Jung-Yoon Yi;Bum-Soo Hah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3-73
    • /
    • 2022
  • Lettuce (Lactuca sativa L., Family Asteraceae) is highly ranked in production and economic value and is consumed either fresh or in salad mixes because of its important dietary source of bioactive phytochemicals. The world collection of Lactuca spp. leafy crops, maintained in NAC, includes 2,464 accessions from 71 countries around the world, of which 2,411 belong to L. sativa species, nineteen to L. saligna, and fifteen to L. serriolar. We aimed to investigate the lettuce germplasm with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analyses and provide new material for breeding. The lettuce crop comprises seven main groups of cultivars (including oilseed lettuce) differing phenotypically. Agricultural characteristcs were investigated including time to bolting, time to flowering, seed color, flower color, leaf attitude, leaf color, leaf anthocyanin coloration, type of incision of margin, depth of incisions of margins, and leaf venation. Screening of the health beneficial metabolites like anthocyanin and bitter sesquiterpene lactones (lactucin and lactucopicrin) was also conducted. The range of anthocyanin and SLs were 0~563.78 mg/100g D.W. and 3.74~3311.66 ug/g D.W., respectively. The investigation of the degree of variation regarding phenotypic traits and biochemical revealed adaptive stable and highly variable use of trait collection.

  • PDF

부산지역 중학생들의 점심 도시락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unch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 김갑순;이정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0-376
    • /
    • 2002
  • 본 연구는 남녀 중학생을 대상으로 식생활 태도, 영양지식, 일상 생활 태도, 점심실태 및 영양섭취실태와 어머니의 영향과의 상관관계를 조사ㆍ분석하고자 부산시 6개 지역의 남녀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및 실측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영양지식 점수와 식생활태도 점수는 남학생과 여학생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영양지식과 식생활태도의 상관도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지식의 분포는 남학생의 경우 poor가 10.6%, fair 38.2%, good 42.5%, excellent 8.7%이었으며, 여학생은 poor 4.1%, fair 31.6%, good 52.1%, excellent 12.2%이었다. 식생활 태도는 모두 good-fair-excellent-poor 순으로 분포를 보였다.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도시락 지참횟수가 많은 것으로(p<0.05) 나타났고, 영양지식과 식생활태도에 따라 도시락 지참횟수에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보였으나, 어머니의 직업 유무, 어머니의 학력, 월식생활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점심을 통한 영양소 섭취 실태를 보면, 인과 비타민C를 제외한 나머지 영양소들은 일일 영양권장량의 1/3수준에 미치지 못했으며, 특히 칼슘은 13∼14.1%, 비타민 A는 17.9%∼19.2%, 철분 19.3∼19.6%으로 부족 정도가 심각했다. 각 영 양소 섭취량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영양지식이나 식생활 태도와는 상관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시락 지참횟수와 에너지 섭취량, 인의 섭취량이 유의적인 상관을 보였고, 식생활태도가 좋을수록 도시락 지참횟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점심도시락을 싸오지 않는 이유로는 가지고 다니는 것이 귀찮아서(17.6%), 싸주지 않아서(11.2%),사먹는 것이 맛이 있어서(10.3%),먹기 싫어서(10.3%) 등으로 나타났다. 점심을 싸오지 않았을 때는 점심으로 친구도시락을 나누어 먹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분식이나 빵을 사먹는 경우도 있었지만 굶는 학생도 5.4%나 되었다. 조사대상자의 62.3%가 편식습관을 보였고, 아침을 늘 먹지 않는 학생이 9.5%, 꼭꼭 챙겨먹는 학생은 52.6%이었으며, 결식이유는 시간이 없어서(39.9%)-먹기 싫어서(17.6%)-식사준비가 안되어(3.7%)-다이어트(2.3%) 등이었다. 따라서 성장과 건강유지를 위한 식품과 영양에 대한 바른 정보를 제공하여 정확한 영양지식을 습득케하고, 올바른 식생활을 유도할 수 있는 체계적 인 영양교육을 제공하고, 또한 가정에서도 적절한 영양관리 및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할 것이며 점심 도시락만으로는 부족한 영양소를 충분히 보충시켜줄 수 있는 다양한 식단과 학교급식이 하루 빨리 시행되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영유아 섭식에 관한 영양교육이 어머니의 영양지식.태도 및 실천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e Nutrition Education for Infant Feeding on Mother's Knowledge, Attitude, Practice of Weaning)

  • 김미양;안홍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0-33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영양 지식과 태도는 영아기 영양관리와 건강에 중요한 인자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되어 수유와 이유를 실시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영유아기 섭식에 관한 영양지식 정도와 태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종단적으로 아기의 성장에 맞는 섭식 관리에 대한 영양 교육을 실시한 후 부모의 영양 지식과 태도의 변화 및 이에 다른 수유와 이유 과정의 진행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영유아기의 올바른 섭식 관리의 지침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이를 위해 임신 후반의 특정 질환이 없는 임신부중 정상적인 재태 기간과 정상 분만을 한 88명의 어머니와 영유아를 대상으로 54명은 교육군, 34명은 대조군으로 분류한 후, 임신 말부터 생후 12개월까지 6회의 영양교육과 5차에 걸친 설문조사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 사항은 교육군와 대조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즉 영아의 출생시 평균 체중과 신장은 3.32kg과 50.95cm로 한국 소아 신체발육치와 비슷하였으며, 어머니의 평균 연령은 28.8세, 학력은 고졸 35.2%, 대졸 64.5%였다. 직업을 갖고 있는 경우는 교육군 14.5%, 대조군 19.3%로 큰 차이가 없었다. 이유지식은 교육전 10점중 대조군 $7.33{\pm}0.92$점, 교육군 $7.54{\pm}1.03$점이었다. 이유시기에 관해서는 낮은 점수를, 이유식을 먹이는 방법에 있어서는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그룹간 차이는 없었다. 반면 교육후에는 10점중 대조군 8.33점, 교육군 9.06점으로 교육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p<0.05). 교육 후 이유태도는 5점중 교육군 $3.74{\pm}0.36$, 대조군 $3.52{\pm}0.35$로 교육군이 바람직한 태도를 보여주었다. 특히, 선식이용과 소금.설탕 이용, 이유식을 조제분유와 섞어 먹이는 것에 대해서는 교육군이 대조군보다 바람직한 태도를 나타내었다(p<0.05). 이유식 먹이기에 있어서 교육군이 대조군보다 스푼을 이용해서 떠 먹이는 것을 많이 실시하고 있었고 6개월 때 떠먹는 정도 또한 교육군에서 좋았다. 설탕이용 및 시판이유식의 이용은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또한 $9{\sim}12$개월 때 이유식 섭취빈도는 시판 우유 및 조제유를 포함한 '우유.유제품'과 '과자류'의 이용에서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했다(p<0.05). 특히 시판우유의 이용이 대조군에서 월등히 많았다(p<0.01).이상에서와 같이 영양교육에 따른 두 그룹을 비교해본 결과 이유기 영양에 관한 교육에 따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특히 교육군에서 이유식을 먹이는 방법, 식품의 선택이 보다 바람직하게 제시되어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실시는 아기의 바람직한 식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이유식을 통한 다양한 식품의 경험 및 식품 섭취방법 등을 연습하는 과정을 통해 앞으로의 식생활 및 성장 발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영유아의 성장발달에 따른 적절한 영양교육의 실시가 보다 체계적으로 활성화 되어야 하겠으며 이를 위해 실제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내용, 방법 및 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구 S병원 뇌졸중 환자의 생활 습관 및 식습관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Food Habits and Attitudes of Cerebrovascular Accident Patients in Daegu S Medical Center)

  • 이승아;전선민;김혜진;도경민;정유미;최명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6-445
    • /
    • 2008
  • 뇌졸중은 그 발병 자체가 치명적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합병증과 후유증을 야기하여 환자에게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남기고 장기적인 재활치료를 요구하며 환자 가족들에게까지 정신적 경제적 고통을 야기시킨다. 본 연구는 대구 S병원의 뇌졸중 환자들의 생활 패턴 및 식행동 특성을 분석하고 뇌졸중을 일으키는 생활 습관 및 식생활 관련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지역민의 뇌졸중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내용은 뇌졸중 환자들의 일반 특성, 생활 습관 및 식태도 등의 내용을 포함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자와 직접면접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2005년 2월부터 8월까지 뇌졸중으로 대구 S병원의 신경외과 병동에 입원한 환자와 신경외과 외래를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환자를 환자군으로 선정하였다. 환자군의 선별은 임상적 증상에 의해 신경외과 의사의 진단을 받은 30세 이상의 경우로 국한하였다. 환자군 36명에 대한 정상 대조군은 동일병원에 뇌졸중 질환이 없고, 환자와 유사한 조건의 건강한 환자 보호자 및 원내 직원 3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졸중 환자군에서 체질량 질수(BMI)는 건강인과 비슷하였으나 WHR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 뇌졸중 환자의 동반질병으로는 고혈압, 당뇨병, 위장질환 순으로 높게 나타나, 고혈압은 뇌졸중 발병 위험을 높여주는 위험요인으로 사료된다. 3) 뇌졸중 환자는 과거 흡연가와 현재 흡연가의 비율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흡연이 뇌졸중 발병 위험을 높이는 위험 요인으로 사료된다. 4) 주당 음주 횟수에 관한 조사 결과,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음주횟수 및 음주량 증가가 뇌졸중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로 사료된다. 5) 뇌졸중 환자군의 식욕을 돋우는 입맛으로 짠맛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뇌졸중 동반 질병인 고혈압과 짜게 먹는 식습관이 뇌졸중 발병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 뇌졸중 환자에 있어서 위험요인은 복부 비만, 흡연, 음주, 운동 부족, 짜게 먹는 식습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올바른 생활 습관 및 식습관을 유지하고 다양한 식품을 규칙적으로 섭취하면 뇌졸중을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아울러, 뇌졸중의 위험인자 관리를 위한 식이요법의 중요성과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식이요법 교육 프로그램과 실천이 절실히 필요하다. 뇌졸중은 발병 후 치료하기보다는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여러 위험요소를 찾아내어 이를 관리하고 예방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하겠다. 뇌졸중은 다른 질환과 달리 위험인자가 알려져 있고, 위험인자를 관리하느냐에 따라 예방이 가능하며, 또 이미 발병한 환자의 경우 재발 방지도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미 서구에서는 뇌졸중 예방을 위한 범국민적 교육을 통해 뇌졸중에 의한 사망률이 현저히 감소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한국인 사망률의 수위를 차지하는 뇌졸중의 인한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획일적 영양교육보다 환자 개인에 적합한 개별적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델파이 조사를 통한 저염화사업 성과평가 지표 분석 (Analysis by Delphi Survey of a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for a Salt Reduction Project)

  • 김현희;신은경;이혜진;이난희;천병렬;안문영;이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5호
    • /
    • pp.486-49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저염화 사업의 성과 평가 지표의 현황을 분석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저염화 사업 성과 평가지표의 적절성 및 측정방법의 타당도와 수행용이성을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건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저염화 사업 성과 평가지표로는'소금 섭취량', '적정 소금 섭취 인구비율', '싱겁게 먹는 인구 비율', '나트륨 감소법 인지율', '가공식품 구입시 영양표시 정보 확인율', '국의 염도 감소율', '저염 실천하는 모범음식점 증가율', '참가자 만족도', '소금 판매량', '뇌졸중 사망률'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었다. 2) 델파이 조사 결과, 저염화사업 성과 평가지표로서 영양학적 평가지표로는 1일 소금 섭취량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정 소금 섭취 인구비율과 싱겁게 먹는 인구 비율 등도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학적 지표로는 뇌졸중 사망률과 위암사망률이 적절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영양학적 성과 지표 측정방법 중 24시간 소변 수집법이 타당성은 가장 높았으나, 수행용이성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짜게 먹는 식태도 조사 방법이 수행용이성이 가장 높았으며, 짜게 먹는 식행동 조사와 미각판정 방법이 수행용이성이 그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영양학적 성과지표 측정방법의 타당성과 수행용이성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하여 이들의 평균 점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순위를 비교하였을 경우 식행동 조사와 식태도 조사가 1, 2순위로 가장 높았고 음식섭취빈도 조사, 미각판정법이 그 다음 순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5) 미각판정법의 신뢰도를 조사한 결과 5개의 시료 농도별 짠맛에 대한 미각판정 결과 남자의 경우 검사자간 판정 결과의 상관계수가 0.774 (p < 0.01)였으며, 여자의 경우도 0.781 (p < 0.01)로 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검사자내 신뢰도 조사에서는 짠맛에 대한 미각판정 결과 남자의 경우 첫 번째, 두 번째 판정결과에 대한 상관계수가 0.591 (p < 0.01), 여자의 경우 0.399 (p < 0.01)로 모두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여주어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델파이 조사를 1회 실시한 것이 한계점이라할 수 있으나, 이제 막 저염화 사업이 활성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저염화 사업의 성과 평가지표개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켰다는데 그 의미를 둘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싱겁게 먹는 인구비율은 적정 소금 섭취 인구비율과 함께 보건소 단위에서 저염화 사업을 할 때 특히 교육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저염화 사업에서 이 지표의 적합성 여부를 살펴보기 위한 실질적인 적용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제시하지 못하였으나, 미각판정 도구의 농도에 대한 선호도와 강도를 점수화하여 판정과정과 결과 판정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개발함으로써 미각판정법의 표준화를 확보하는 추구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Nutritional Status among Rural Community Elderly in the Risk Area of Liver Fluke, Surin Province, Thailand

  • Kaewpitoon, Soraya J;Namwichaisirikul, Niwatchai;Loyd, Ryan A;Churproong, Seekaow;Ueng-Arporn, Naporn;Matrakool, Likit;Tongtawee, Taweesak;Rujirakul, Ratana;Nimkhuntod, Porntip;Wakhuwathapong, Parichart;Kaewpitoon, Natthawu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8호
    • /
    • pp.8391-8396
    • /
    • 2016
  • Thailand is becoming an aging society, this presenting as a serious problem situation especially regarding health. Chronic diseases found frequently in the elderly may be related to dietary intake and life style. Surin province has been reported as a risk area for liver fluke with a high incidence of cholangiocarcinma especially in the elderl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nutritional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elderly in Surin province, northeast of Thailand. A community-based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among 405 people aged 60 years and above, between September 2012 and July 2014.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a randomized systematic sampling method and completed a pre-designed questionnaire with general information, food recorded, weight, height, waist circumference, and behavior regarding to food consume related to liver fluke infec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was female (63.5%), age between 60-70 years old (75.6%), with elementary school education (96.6%), living with their (78.9%), and having underlying diseases (38.3%). Carbohydrate (95.3%) was need to improve the consumption.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under-nutrition (24.4%), over-nutrition (16.4%), and obesity (15.4%). Elderly had a waist circumference as the higher than normal level (34.0%). Gender, female, age 71-80 years old, elementary school and underlying diseas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or nutritional status. The majority of them had a high knowledge (43.0%), moderate attitude (44.4%), and moderate practice (46.2%) regarding food consumption related to liver fluke infection.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data indicated that elderly age group often have an under- or over-nutritional status. Carbohydrate consumption needs to be improved. Some elderly show behavior regarding food consumption that is related to liver fluke infection hat needs to be improved, so that health education pertaining good nutrition is required.

서울지역 실버고객들의 외식식습관과 소비행동 속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ating Behaviors and Characteristics of Consumption Propensities on Dining out as Perceived by Silver Generation in Seoul)

  • 최미숙;김동호;박효남;김성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50-266
    • /
    • 2015
  • 오늘날 실버세대는 독립된 소비세대로 사회 여러 분야에서 실버외식산업을 급성장시키는 세대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소비의 주체세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실버세대를 대상으로 실버세대에 대한 외식 소비행동에 따른 외식 선택속성과 식습관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55세 이상의 실버 연령인 216명을 대상으로 하여 식습관 수준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분석은 독립표본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실버세대의 식습관에 따른 소비태도와 외식소비행동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는 ${\chi}^2$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실버세대의 식습관 수준은 3점 만점에 평균 2.02점으로 나타나, 식습관이 어느 정도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버세대의 식습관에 따른 외식소비태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식습관 태도가 비교적 양호한 사람들이 불량한 집단보다 물리적인 환경, 메뉴의 다양성, 업체의 품질과 서비스를 찾아서 외식업체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버세대의 식습관에 따른 외식소비행동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식습관 수준에 따른 외식업체 정보 출처와 외식업체 선택 선정기준 변수에 대해서만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