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zinon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36초

송사리 모델계에서 다이아지논 노출에 대한 생물 지표로서 알파 튜블린의 동정 (The Identification of Alpha-Tubulin as a Biomarker for Diazinon Exposure in Medaka Fish)

  • 김우근;이성규;전대수;고성철;김정상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2권4호
    • /
    • pp.305-312
    • /
    • 2007
  • 환경오염을 신속하게 모니터링하기 위한 생물지표의 개발은 증가하고 있는 오염의 심각성에 비추어 매우 중요한 과제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성물질처리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발현이 조절되는 단백질의 동정을 통하여 독성물질에 대한 단백질 생물지표를 발굴하고자 시도하였다. 즉, 송사리(Oryzias latipes)를 유기인계 살충제인 다이아지논(diazinon)에 0, 0.1, 1, 5 mg/L 농도로 24시간 노출시킨 후, 머리와 몸통부분으로 나누어 단백질 발현패턴을 분석하였다. 본 시스템에서 다이아지논 처리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발현이 증가된 단백질로서 alpha-tubulin, ribonuclease pancreatic precursor, protein hfq 등을 동정하였으며, 이 가운데 alpha-tubulin과 $hsp90{\beta}$의 발현이 다이아지논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semi-quantitative RT-PCR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다이아지논 처리에 특이적으로 발현이 증가된 송사리 단백질들은 노출평가를 위한 생물지표로서 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의 토양흡착성과 간이선발모형을 이용한 용탈 잠재성 평가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Pesticides in Four Soils and the Evaluation for Their Leaching Potential Using Two Screening Models)

  • 김찬섭;박병준;임양빈;류갑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1-349
    • /
    • 2005
  • 유기인계 농약 5종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 4종의 토양에 대한 흡착계수를 구하여 이동성을 구분하고, 흡착계수와 토양 반감기를 이용하여 토양 중에서의 농약의 용탈 잠재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비이온성 농약인 유기인계 살충제 chlorpyrifos-methyl, diazinon, fenitrothion, isazofos, parathion과 카바메이트계 살충제 fenobucarb(BPMC)와 metolcarb 및 카바메이트게 제초제 dimepiperate와 molinate를 대상농약으로 하였고, 논, 밭, 산림토양 및 제주도 화산회토를 시험토양으로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유기탄소기준흡착계수(Koc)에 의한 이동성 분류체계에 의하면 metolcarb, molinate, 및 fenobucarb는 mobile, isazofos를 포함하는 6종 농약은 토양에 따라 moderately mobile 또는 slightly mobile 등급에 속하였다. 그리고 Koc와 토양 중에서의 반감기를 기준으로 지수화한 Groundwater Ubiquity Score(GUS) index 방법과 Koc와 분해상수 및 토양환경조건의 영향을 고려하는 흡착/분해 표준지수 방법을 이용한 용탈잠재성은 metolcarb, fenobucarb 및 molinate는 용탈 가능성이 있고 isazofos, dimepiperate 및 diazinon은 약간의 용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enitrothion, parathion 및 chlorpyrifos-methyl은 용탈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흡착/분해 표준지수 방법을 변형하여 Koc값 대신에 Kd값으로 평가하면 유기물 함량이 높은 제주토양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낫은 다른 토양에 비하여 농악의 용탈잠재성이 낮은 것으로 나하나 농약의 흡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토양 유기물이 용탈 잠재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건조에 따른 채소중 잔류농약의 경시변화 (Residual Patterns of Pesticides on Vegetables During Drying Process)

  • 남화정;곽영주;김철기;한영선;오세흥;장진섭;임수선;권성희;장승은;여은영;이은주;김순심;윤신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0-305
    • /
    • 2007
  • 본 연구는 취나물, 고춧잎, 열무를 대상으로 건조에 따른 procymidone, diazinon의 잔류량의 경시적 변화를 연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실내풍건 방법으로 건조하는 경우, procymidone, diazinon의 잔류량이 증가하지만 수분함량의 감량을 고려하여 보정하면 $10{\sim}83%$ 감소하였고, 열풍건조 방법으로 건조하는 경우도 농약 잔류량은 증가하여도 수분함량의 감량을 고려하여 보정하면 $44{\sim}71%$ 감소하였다. 이 결과에 의하면, 건조에 의하여, 수분 보정한 농약잔류량이 대부분 감소하므로 건조농산물을 판정함에 있어 단순히 신선농산물의 기준에서 수분함량의 감량을 고려하여 기준 적용할 것이 아니라 건조과정 중 농약잔류량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고려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하수슬러지의 토양개량재 적용시 유기인계 농약의 흡착 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sorption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Applying Sewage Sludge to Soil Amendment)

  • 임은진;이재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9권1호
    • /
    • pp.95-103
    • /
    • 2004
  •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를 토양개량재로 적용에 따른 세 가지 유기인계 농약 Diazinon, Fenitrothion, Chlorpyrifos의 흡착특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유기인계 농약 흡착시험 결과, 농약 흡착 등온식은 Freundlich 식이 잘 맞았다. Freundlich 상수 중 하나인 N은 모든 농약에서 1에 가까운 수치를 보였으나,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Freundlich 상수값인 N 값은 감소하였다. 또한 Freundlich식에서 흡착능을 나타내는 K값은 농약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으며, 토양에 슬러지를 첨가한 시료에서는(Soil-Sludge) 토양내 유기물 함량의 증가로 농약 흡착량은 슬러지가 첨가되지 않은 시료(A-Soil)에 비해 2∼4배 정도 증가하였다. 토양층을 모사한 토양 컬럼에서 농약의 용출 특성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큰 농약일수록 용출 비율은 증가하였다. 또한 토양에 슬러지가 첨가됨에 따라 토양내 유기물 함량 증가하면 토양에서 농약 흡착량이 증가되어 농약이 토양하층으로 침투가 억제, 농약의 용탈 정도가 감소하였다.

주요하천수(主要河川水)에 대(對)한 농약잔류(農藥殘留) 실태조사(實態調査) (A Survey for Pesticide Residues in Major Rivers of Korea)

  • 이해근;이영득;박영선;신용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3-89
    • /
    • 1983
  • 우리나라 주요(主要) 하천수(河川水)에 대(對)한 농약잔유실태(農藥殘留實態)를 파악(把握)하여 농약안전사용(農藥安全使用)의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코자 5대강(大江) 본류(本流)를 중심(中心)으로 주요(主要) 지류유입지점(支流流入地點)을 강별(江別)로 5개소(個所)를 선정(選定), 갈수기(渴水期)(4월(月))와 성수기(盛水期)(8월)에 동일(同一) 지점(地點)에서 시과(試科)를 채취(採取)하여 하천수중(河川水中) 농약잔유량(農藥殘留量)을 조사(調査)하였다. 조사대상지역(調査對象地域)이나 조사시기(調査時期)와는 무관(無關)하게 하천수중농약잔유량(河川水中農藥殘留量)은 극미량(極微量)으로 검출(檢出)되었다. 대체(大體)로 성수기(盛水期)가 갈수기(渴水期)에 비(比)해 다소(多少) 높은 수준(水準)으로 검출(檢出)되었는데, IBP와 diazinon의 경우는 그러한 현상(現象)이 더욱 현저하였다. 유기인계농약(有機燐系農藥)은 IBP와 diazinon만이 검출(檢出)되었으며, fenthion, fenitrothion, chlorpyriphos, chlorpyriphos-methyl, chlorfenvinphos, phenthoate, 및 edifenphos는 어느 시료(試料)에서도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IBP와 diazinon의 조사최고치(調査最高値)는 각각(各各) 1.53과 0.39ppb이었다. 유기염소농약(有機鹽素農藥)은 조사시기(調査時期)에 따른 차리(差異)가 거의 없었다. Aldrin은 어느 시료(試料)에서도 검출(檢出)되지 않았으며, dieldrin과 p.p`-DDT는 극(極)히 일부(一部) 시료(試料)에서만 극미량(極微量)으로 검출(檢出)된 반면(反面), BHC와 heptachlor및 ${\alpha}-endosulfan$의 검출빈도(檢出頻度)는 다소(多少) 높은 편(便)이나 그들의 잔류수준(殘留水準)은 매우 낮았다.

  • PDF

주요 하천수역에서 검출된 농약의 수서생물에 대한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for Aquatic Organisms of Pesticides Detected In Water Phase of Six Major Rivers in Korea)

  • 이지호;박병준;김진경;김원일;홍수명;임건재;홍무기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8-54
    • /
    • 2011
  • 국내 주요 6대 하천수역 내 농약 성수기에 검출된 농약의 검출수준을 조사하였고, 수서 생물 3종(조류, 물벼룩, 어류)의 농약 노출에 따른 위해 기능성을 위해 지수(HQ indexes)에 의해 평가하였다. 총 40지점의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검출농약은 살균제isoprothiolane, hexaconazole, 살충제 diazinon, chlorpyrifos, prothiofos, 제초제 alachlor, butachlor, molinate의 총 8종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isoprothiolane이 67.5%의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고, 그 이외의 농약은 15~37.5% 범위의 검출빈도를 나타내었다. 검출빈도는 butachlor >, prothiofos >, ch1orpyrifos >, hexaconazole, molinate > diazinon, alachlor순으로 조사되었다. 전 하천수역에서 수서 생물 3종(조류, 물벼룩, 어류)에 대한 위해 지수가 1.0을 초과하지 않았기 때문에 수 생태계에 대한 위해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주요 하천수역 내 수서 생물의 위해 가능성에 대한 각 검출 농약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평가한 결과, 수서 생물 종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조류는 butachlor와 molinate성분에 의해, 물벼룩은 chlorpyrifos, diazinon, prothiofos 성분에 의해, 어류는 chlorpyrifos성분에 의해 위해 지수의 기여도가 높게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하천 수계별 농약관리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데 있어 필수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순환식 반응기에서 유리판에 고정화된 $TiO_2$ 광촉매를 이용한 유기인계 농약의 광분해

  • 오윤근;류성필;김성수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 /
    • pp.163-167
    • /
    • 2002
  • $TiO_2$ 고정화 지지체를 이용한 유기인계농약의 광분해에 대한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Chlorpyrifos의 광분해 제거효율을 초기 pH 9에서는 반응시간 200분만에 완전 분해되었으며, 초기 pH 7, 5에서는 각각 반응시간 240분, 260분만에 완전히 분해되었다. 또한 Diazinon인 경우 초기 pH 9에서는 반응시간 200분만에 완전 분해되었으며, 초기 pH 7, 5에서는 각각 반응시간 220분, 240분만에 완전히 분해되었다. Chlorphyrifos와 Diazinon은 pH가 증가할수록 즉 산성에서 염기성쪽로 갈수록 반응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미강유의 정제과정중 잔류농약의 감소 (Removal of Pesticide Residues in Rice Bran Oil by Refining Process)

  • 이철원;신효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9-97
    • /
    • 199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esticide residues in rice bran, crude rice bran oil and the oil of various stages of refining process. Each samples were analyzed for 41 pesticide residues by multiclass multiresidue methods with GC-ECD, NPD and identified by GC-MSD. Rice bran were detected cypermethrin, diazinon, dichlofluanid, and its level were ranged from 0.01~0.122 ppm. Crude rice bran oil were detected cypermethrin, diazinon, dichlofluanid, dimethoate, etrimfos, flucythrinate, and its level were ranged from 0.015~0.654 ppm Crude rice bran oil has the higher level of pesticide residues and more varieties of pesticides than rice bran. But pesticide residues in the crude rice bran oil was found to be almost removed then pigment was decolorized by absorption using active carbon and clealy removed by thermolysis for deodorization.

  • PDF

미꾸리(Misgurnus anguillicaudatus)의 치어 및 자어에 대한 4가지 농약의 급성독성 (Acute Toxicity of Four Agrochemicals on Larval and Juvenile Oriental Weatherfish(Misgurnus anguillicaudatus))

  • 염동혁;이성규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1권4호
    • /
    • pp.311-316
    • /
    • 2006
  • 미꾸리(Misgurnus anguillicaudatus)에 대한 4가지 농약(diazinon, carbaryl, fenpropathrin, myclobutanil)의 급성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치어 및 자어 단계(postlarva I, postlarva II, 8 WPH(weeks posthatch), 16 WPH, 20 WPH, 32 WPH, 40 WPH)의 미꾸리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생육단계 별로 구해진 각 실험농약의 96-hr $LC_{50}$값을 비교하여 미꾸리에 대한 급성독성이 높은 순서를 정리한 결과는 Fenproparthri>Diazinon>Carbaryl, Myclobutanii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4가지 농약의 독성은 미꾸리의 생육단계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농약에 대한 감수성이 민감한 미꾸리의 생육단계 순으로 정리하면 Postlarva I>Postlarva II, 8 WPH>16 WPH, 20 WPH, 32 WPH, 40 WPH 나타났다. 그러므로 환경관리 및 규제목적으로 미꾸리 성체를 사용하여 독성실험을 할 경우에는 독성을 과소평가 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