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xtrin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2초

목단피 추출물의 혈당 강하 효과 (Hypoglycemic Effects of Crude Extracts of Moutan Radicis Cortex)

  • 박선민;전동화;박춘희;장진선;박성규;고병섭;김보중;최수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72-477
    • /
    • 2004
  • 한의학에서 당뇨병(소갈) 처방으로 사용되는 육미지황환의 성분 중의 하나인 목단피의 혈당 강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목단피를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XAD-4 column으로 분획하여 인슐린 민감성을 향상시키고 ${\alpha}-glucoamylase$ 활성을 억제하는 분획층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3T3-L1 지방세포에서 소량의 인슐린(1 ng/mL)의 존재하에서 20, 40, 60% 메탄올 분획층은 인슐린 작용을 증가시켜 포도당 흡수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인슐린 민감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20, 40, 60, 80% 메탄올 분획층에는 ${\alpha}-glucoamyl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말토즈와 dextrin의 ${\alpha}-glucoamylase$ 결합이 분해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었다. In vivo에서 실험동물에게 목단피의 70% 메탄올 추출물을 투여한 후 말토즈와 dextrin로 경구부하 검사를 하였을 때 dextrin만이 투여하였을 때에 대조군인 셀룰로즈에 비해 혈당의 상승이 현저하게 낮았고 이것은 dextrin의 소화 흡수의 감소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앞으로 효과가 있는 분획층을 더 분리하여 인슐린 민감성 물질과 ${\alpha}-glucoamylase$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유효성분을 분리하고자 한다.

초음파 트랜스듀서 응용을 위한 세라믹/고분자 복합 압전체의 제작 (Preparation of piezoceramic/polymer composite for ultrasonic transducer application)

  • 박정학;사공건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 /
    • pp.219-221
    • /
    • 1993
  • In this study, piezoceramics/polymer composites with 3-3 connectivity were made by BURPS(Burnout Plastic Sphere) technique with PZT ceramics and plastic sphere. And the properties dependent on the Dextrin wt.% were investigated. The density of porous piezoceramic and piezoceramic/polymer composites were decreased almost linearly with increasing the Dextrin wt.%.

  • PDF

고추장의 당 성분에 관한 연구 (Sugars in Kochuzang)

  • 안용근;김승겸;신철승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46-452
    • /
    • 1997
  • 한국산 고추장의 당 성분을 끓는 물에서 3분간 가열하여 추출한 다음 HPLC 및 TLC로 분석하였다. 시판 고추장은 한계덱스트린 0.8~6.5%, 말토트리오스 0.3~7.5%, 말토오스 5.3~16.5%, 글루코오스 8.6~29.4%, 프룩토오스 0.3~3.4%를 나타냈다. 그러나 수크로오스는 검출되지 않았다. 가정에서 제조한 고추장은 한계덱스트린 0.9~1.4%, 말토트리오스 3.3~6.9%, 말토오스 6.1~11.5%, 글루코오스 6.1~11.7%, 프룩토오스 3.4~5.2%, 수크로오스 3.6~3.8%를 나타냈다. 시판 고추장의 한계덱스트린을 1H-NMR 분석한 결과 회사 1의 $\alpha$-1,4-글루코시드 결합에 대한 $\alpha$-1,6-글루코시드 결합의 비율은 5:1, 회사 3은 9.1:1을 나타냈다.

  • PDF

단감 저상품과와 팥을 이용한 앙금 제조 (Processing of Paste by Combining Low Quality Sweet Persimmon and Red Bean)

  • 최윤희;김은미;조용식;박신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73-578
    • /
    • 2011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nhance the value of low quality sweet persimmon by processing paste by combining low quality sweet persimmon and red-bean. In order to make sweet persimmon paste containing red-bean,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executed : 1) the sweet persimmon was cleaned by water 2) the fruit stalk was removed 3) it was peeled, sliced, pitted and crushed 4) steamed and peeled red-bean paste was mixed 5) sweetening materials(starch syrup, sugar and dextrin) and salt were mixed 6) boiled and stored in refrigerator. Sweet persimmon was peeled, stem and seed was removed to make the paste. When mixing sweet persimmon paste and red-bean paste in the ratio of 6 : 4, sensory point of taste and overall desirability were higher than mixing in 5 : 5 and 4 : 6 but texture was lower. The sweet persimmon paste containing red-bean was softened and the sugar content was increased from 41.4$^{\circ}$Brix to 53.1$^{\circ}$Brix when 10% dextrin was added. The overall sensory evaluation was higher in sweet persimmon paste containing red-bean than commercial red-bean paste when 10% dextrin was added. The overall desirability also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Even though findings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weet persimmon powder with red-bean paste increased in texture and overall desirability compared with commercial red-beans paste. Sweet persimmon powder paste containing red-bean significantly decreased in flavor, color, taste and overall desirability compared with sweet persimmon paste containing red-bea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best combination for the quantity of sub-materials to make sweet persimmon paste was 600g of sweet persimmon, 400g of red-bean, starch syrup 120g, sugar 60g, salt 4g and dextrin 100g.

한약재 추출물, 가열 및 코팅 처리가 신선절단 사과의 갈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cinal Herb Extracts and Heat and Coating Treatments on the Browning Degree of Fresh-Cut Apples)

  • 정헌식;이주백;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813-817
    • /
    • 2012
  • 신선절단 '후지' 사과의 갈변도에 화학물질(ascorbic acid, cystein, sod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histidine: 1% 용액), 한약재(갈근, 당귀, 산약, 오약, 천궁, 황기: 1% 추출액), 가열(절단과실과 원형과실, $40-60^{\circ}C$ 증류수) 및 코팅(albumin, dextrin, sucrose poly ester, whole soy flour: 0.5-4% 용액) 처리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 처리방법별 신선절단 사과의 갈변도는 1% calcium chloride 용액 처리, 황기 추출물 처리, 3% dextrin과 1% whole soy flour 코팅 처리에 의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가열처리의 갈변도는 절단과실 처리시에는 $50^{\circ}C$에서, 원형과실 처리시에는 $45^{\circ}C$에서 각각 처리한 시료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로써 신선절단 사과의 갈변에 대한 한약재 추출물, 가열 및 코팅 처리의 억제 효과와 조건이 확인되었고, 이러한 방법은 화학물질을 부분적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rn Starch-derived Branched Dextrin Produced by a Branching Enzyme

  • Song, Eun-Bum;Min, Byoung-Cheol;Hwang, Eun-Sun;Lee, Hyong-J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234-240
    • /
    • 2008
  •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branched dextrin from com starch (CSBD) using branching enzyme (BE) were established by investigating the degree of retrogradation of the gelatinized starch.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SBD prepared using the established process were evaluated. It was found that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 starch were greatly modified by BE treatment. CSBD had a higher dextrose-equivalent value and water solubility than the corresponding control. On the other hand, the viscosities in gelatinized solution and amylose contents of CSBD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 high-performance size-exclusion chromatography/multiangle laser light scattering/retractive index (HPSEC/MALLS/RI) system showed that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CSBD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pasting viscosities of CSBD were stable during the entire temperature cycle. In general, the BE treatment resulted in the retrogradation during storage being lower for CSBD than for the control.

코팅프로세스를 사용한 5,6-디하이드록시인돌의 산화 및 광에 대한 안정화 연구 (Study of Stabilizing 5,6-dihydroxyindole with Coating Process Against Oxidation and Light)

  • 한상근;이동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18-527
    • /
    • 2013
  • 5,6-dihydroxyindole was easily oxidation with air and light Conditions. Availability of 5,6-dihydroxyindole was studied for hair dye as a precursor of melanin. This study used wet and dry coating process to stabilize 5,6-dihydroxyindole. In wet process used dimethicone and cyclometicone, the 5,6-dihydroxyindole had darkened through the drying process at $58^{\circ}C$. Wet coating process was inappropriate to stabilize the coating. In dry coating process, shea butter coating was stable until 3 days. Dextrin palmitate was most efficient ingredient to prevent oxidation by sun light and air until 7days. Oxidation test with 1.0% and 1.5% of dextrin palmitate was not different under conditions of sun light and air and was not dependent on contents. Vitamin E acetate under conditions of sun light and air,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 in preventing oxidation.

식혜주에 관한 연구 -1보. 멥쌀식혜 올리고당주- (Studies on Sikhye Wine -1. Rice Sikhye Wine-)

  • 안용근;김승겸;신철승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60-364
    • /
    • 1997
  • 멥쌀식혜에 Saccharomyces cerevisae를 가해 28$^{\circ}C$에서 10일간 발효시켜서 식혜주를 제조하였다. TLC 및 HPLC 분석 결과 발효에 따라 글루코오스는 하루, 말토오스는 4일, 말토트리오스는 6일까지만 존재하였다. 그러나, 분자량이 큰 말토올리고당과 한계덱스트린은 발효되지 않았다. 에탄올은 6.5%를 나타냈다. 식혜주의 아미노산 함량은 2.9$\mu$mol/ml, 단백질 함량은 457$\mu\textrm{g}$/ml를 나타냈다. pH는 3.67, 산도는 3.1ml를 나타냈다. 한계덱스트린은 1H-NMR로 분석 결과 식혜에 존재하는 것과 구조상 변화가 없었다. $\alpha$-1,4-결합에 대한 $\alpha$-1,6-결합의 비율도 5.6:1을 나타냈다. 관능검사 결과, 맛은 와인과 비슷하였다.

  • PDF

$\alpha$-아밀레이즈와 고정화된 글루코아밀레이즈를 이용한 전분의 액화 및 당화 (Liquefaction and Saccharification of Starch Using $\alpha$-Amylase and Immobilized Glucoamylase)

  • 안대희;장호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97-503
    • /
    • 1991
  • Packed bed column과 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에서 고정화된 glucoamylase의 catalytic activity를 비교하였다. Settling chamber를 이용한 연속애화, 당화 공정을 사용하여 액화된 전분으로부터 포도당을 연속적으로 생산하였다. . Chitin에 고정화된 glucoamylase에 의한 당화실험에 있어서는 dextrin의 농도가 100g/l일 때, 체류시간 20분 동안 20의 당화수율을 나타냈다.

  • PDF

고화방지제의 첨가가 참다래 동결건조분말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ticaking Agent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eeze-dried Kiwifruit Powders)

  • 오현정;임자훈;이주연;오영주;임상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8-188
    • /
    • 2014
  • 제주에서 육성된 참다래(한라골드)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방안으로 과육에 고화방지제를 첨가한 분말형 시제품을 제조하였다. 즉, 참다래 과육 페이스트 100%(대조구), 참다래 과육 페이스트 95%+polydextrose 5%, 참다래 과육 페이스트 95%+dextrin 5% 등 3개 시료를 제조한 다음, 동결건조 후 분말화한 각 시제품에 대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참다래 분말 수율은 고화방지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수분함량, 산도, 총페놀 함량은 고화방지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비타민C 함량은 고화방지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 고화방지제 첨가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리당(fructose, glucose, total sugar) 및 유기산(oxalic acid, lactic acid, total organic acid)의 함량은 고화방지제 첨가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전반적으로 색도는 모든 시험군에서 높은 L값과 낮은 a값을 나타내었으며, 고화방지제 종류에 따른 갈변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과육 분말의 용해도(59.57~64.84%)및 팽윤력은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시간에 따른 흡습성은 고화방지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음을 보였다. 위의 결과로부터 고화방지제 첨가(5% 수준) 과육 분말은 무첨가 과육분말에 비하여 비타민C의 유지율이 높고, 수분함량이 낮고, 시간에 따른 흡습성이 낮아 우수한 분말 품질 특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