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xtrin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19초

감압유탕 건조당근의 흡습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덱스트린의 영향 (Effect of Dextrin on Sorption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Vacuum Frying Dried Carrot)

  • 이철;조승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41-247
    • /
    • 1991
  • 본 연구는 감압유탕 당근스낵의 품질에 미치는 dextrin의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전처리 용액으로는 0%, 10%, 20% 및 30%의 dextrin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감압유탕 건조당근의 흡습성, 복원성. 색도 및 crispness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Dextrin의 농도에 따른 평형수분함량과 흡습속도는 control>10% dextrin>20% dextrin>30% dextrin의 순이었고, BET 단분자막 수분함량은 저장온도가 높을 수록 감소하었고 dextrin 전처리한 시료들의 BET 단분자막 수분함량은 그 농도가 높을 수록 감소하였다. 또한 Dextrin 전처리 농도가 낮을 수록 제품의 명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으나 적색도는 감소하였으며, 생당근과 비슷한 색상을 띠는 시료는 20%로 전처리한 시료였다. 그리고 감압유탕 건조당근제품은 전처리한 dextrin 용액의 농도가 높을 수록 crispness intensity도 높았다.

  • PDF

Cyclodextrine의 효소적 생성에 미치는 Addukt 형성물질의 영향 (Uber die Einfluss der Adduktbildungs-Substanz in der Bildung des Cyclodextrin mit Enzymlosung)

  • 이길상
    • 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5-41
    • /
    • 1962
  • 전분액은 Bac. macerans로 분해시킬때 Cyclodextrin이 형성되는 것은 Schardinger Freudenberg등에 발견된 사실이었으나 아직도 그 정확한 생성량에 대한 정량적인 조사는 되어있지 않으므로 저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alpha.-, .betha.-, .gamma.-dextrin의 정량법을 paper-chromatography법으로 확립시켰다. 또한 이때 각분자와 주분자의 포위화합물의 현미경사진에 의한 결정형성모양과 동시에 그 모액중에 있는 Cyclodextrin의 함량등으로 cyclodextrin의 포위성을 증명하는 실험과 이러한 사실에 기인하여, Enzyme액으로 cyclodextrin이 생성되어 나올때 그 생성률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cyclohexan을 첨가해 줄때 그 생성률이 가장 양호해지는 것을 보았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alpha.-Dextrin을 Enzyme과 공동작용시키면 .betha.-Dextrin이 형성되어 지는데, 각분자의 첨가로 그 .betha.-Dextrin의 생성량이 증가해지며 이때 Glucose를 가해주면 그 반응이 촉진되어 여기에 하나의 척매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본다. 이것은 전분이 효소로써 분해될때 직쇄의 Dextrin이 생긴 다음 이것이 glucosyl기 전이반응의 반복으로써 Cyclodextrin이 형성되는 것을 입증하는 것인데 Glucosyl 기의 공여체로써 Glucose및 Maltose를 사용하였을때 이와같은 사실이 촉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촉매적 역할에도 불구하고 .betha.-Dextrin을 Enzym과 공동작용시켜도 .alpha.-Dextrin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보아 .alpha.-Dextrin과 .betha.-Dextrin의 상호변화에 대해서 우리는 .alpha.-Dextrin에서 .betha.-Dextrin으로는 변화할수 있으나 .betha.-Dextrin으로 부터 .alpha.-Dextrin으로는 변화가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 본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전분액을 Bac. macerans로 분해시킬때 시간의 경과를 따라 생성되어지는 Cyclodextrin의 함량의 변화를 추적하여 4시간전후에서 최고량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동시에 포위화합물을 형성시킬수 있을때는 그 생성률이 큰 영향을 이르킬수 있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 PDF

가식성 코팅처리가 신선절단 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dible Coatings on the Quality of Fresh-cut Pears)

  • 최맑음;황태영;손석민;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7-46
    • /
    • 2001
  • 가식성 코팅 처리가 신선절단 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단백질 소재인 albumin, 탄수화물 소재인 dextrin, 지질 소재인 SPE(Sucrose polyester) 그리고 WSF(Whole soy flour)를 코팅재료로 선택하여 일정 농도로 조제한 코팅용액을 배를 dipping하여 코팅처리 한 후 $4^{\circ}C$에서 10일간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중량감소율은 모든 코팅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억제되었다. 배의 경우는 2% dexrin 및 1% WSF 및 1% albumin 및 3% dextrin 코팅처리가 효과적이었다. $\Delta$E 값은 코팅처리 후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코팅재료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과육의 경도는 1% 및 2% dextrin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같이 높은 경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저장 5일 후에는 경도가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총 산도는 코팅처리 후 저장 중 감소하며 pH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코팅처리에 의해 그 변과학 다소 억제되었으나 처리구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저장 기간동안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며 vitamin C의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코팅 재료의 농도에 따른 관능평가 결과 0.5% albumin, 4% dextrin, 1.0% SPE, 0.5% WSF 처리구가 좋은 성적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 4% dextrin 처리구가 모든 항목에서 가장 좋은 평점을 기록하였다. 가식성 코팅 처리한배의 호흡속도를 측정한 결과 dextrin 및 WSF 처리구에서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이 낮게 나타나 호흡이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배의 코팅에 사용한 소재 중 과실의 중량 및 갈변억제 측면에서는 2-3% dextrin, 당, 산 비타민 등 성분 및 경도유지 측면에서는 1% albumin, 그리고 관능적 특성에서는 4% dextrin 처리구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여겨졌다.

  • PDF

고아밀로스 옥수수전분/덱스트린의 첨가가 건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 amylose corn starch/dextrin on quality of non-fried instant noodles)

  • 유재근;이주헌;박은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655-660
    • /
    • 2020
  • 본 연구를 통해 고아밀로스 옥수수 전분과 이를 가수분해한 덱스트린을 첨가함으로써 건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고아밀로스 전분이나 덱스트린을 첨가함으로써, 아밀로스-지질 복합체가 형성되었지만, 그 정도가 미미한 편이었다. 고아밀로스 전분이나 덱스트린을 건면에 첨가함으로써, 수분 흡수율과 인장강도가 감소하고, 경도와 점착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고아밀로스 전분이나 덱스트린 첨가 건면의 단면이 조금 더 밀집한 구조를 보이게 되었다. 하지만 가수분해정도가 큰 Dextrin50의 경우에는 다른 덱스트린과는 다르게 용출율을 증가시키고, 느슨한 구조의 단면을 보였다. 이는 건면의 조직감에도 영향을 미쳐, Dextrin50 첨가군은 다른 첨가군보다 더 낮은 탄성과 경도를 보이고 점착력이 증가하는 특성을 보이게 된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아밀로스 옥수수 전분과 덱스트린을 건면에 첨가했을 때, 명확한 아밀로스-지질 복합체가 형성되지는 못했지만, 수분흡수율, 용출율 미세구조, 조직감에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결합제가 표고버섯 과립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nding Agents on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nule Prepared by Lentinus edodes)

  • 황성희;김석중;신승렬;김남우;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72-577
    • /
    • 2005
  • 표고버섯 과립의 품질 특성에 결합제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버섯분말에 결합제로 corn starch, lactose, gelatin, gum arabic 및 dextrin(DE=23)을 각각 첨가하고 버섯열수추출액으로 반죽하여 압출과립을 제조한 다음 과립의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과립의 용해도는 gum arabic >gelatin>lactose, dextrin>corn starch 첨가구 순이었다. L값은 corn starch lactose>gelatin, gum arabic, dextrin 첨가구 순이었고, a값은 결합제종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b값은 lactose, corn starch>gelatin, gum arabic>dextrin 첨가구 순이었다. 점도는 gelatia corn starch>gum arabic, dextrin, lactose 첨가구 순이었고, 흡습성은 gelatin>lactose>corn starch>dextrin>gum arabic 순이었다. pH는 결합제의 종류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총당 함량은 gum arabic>lactose, dertrin>corn starch, gelatin 순이었고, 단백질 함량은 gelatin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표고버섯 과립의 용해도 증가와 흡습성 저하를 위한 결합제로gum arabic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홍삼 엑기스를 함유한 분말주의 제조 및 평가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Dry Alcohol Containing Red Ginseng Extract)

  • 이사원;최한곤;박정일;김종국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23-28
    • /
    • 2000
  • 덱스트린/에탄올/물(1/1/l, w/w/w)의 혼합용액에 라우릴황산나트륨 0.5%(w/w) 및 홍삼 엑기스 20%(w/w)를 첨가한 조성을 가지고 분무건조하여 제조한 분말 홍삼주는 최대 에탄올(31.17$\pm$ 1.33%(w/w)) 및 ginsenoside Rbl(243.0$\pm$ 7.0$\mu\textrm{g}$/g)이 봉입된 미립구로서 용해 및 복용감이 우수한 새로운 홍삼 엑기스의 제형으로서의 가능성이 있다.

  • PDF

부형제 종류에 따른 아가리쿠스버섯 과립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nule Prepared by Protein-Bound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Agaricus blazei and Selected Forming Agents)

  • 정헌식;홍주헌;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47-251
    • /
    • 2005
  • 아가리쿠스버섯의 약효성분으로 고형 음용차를 제조하기 위하여 건 버섯을 열수추출, 에탄올 침전, 투석, 동결건조 등의 처리를 행하여 단백다당체를 분리하고 부형제로 dextrin(DE=9, DE=23) 및 ${\beta}$-cyclodextrin(CD)을 각각 첨가하여 분무건조한 후 압출하여 과립을 제조한 다음 부형제의 종류에 따른 과립의 품질특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과립의 수분함량은 DE=9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고, 총당 함량은 ${\beta}$-CD, DE=23, DE=9 첨가구 순이었으나, pH와 단백질함량은 부형제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값은 DE=9, ${\beta}$-CD, DE=23 첨가구 순이었고, -a값은 부형제간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b값은 ${\beta}$-CD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과립의 용해도는 DE=9보다 DE=23과 ${\beta}$-CD 첨가구에서 높았으며 두 종류의 부형제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흡습성은 ${\beta}$-CD 첨가구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DE=9 첨가구에서 가장 적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종합적인 기호도는 ${\beta}$-CD가 가장 우수하였다.

한국 및 일본산 맥주의 당에 관한 연구 - 2. 효소적 분석 - (Sugars in Korean and Japanese Beer - 2. Enzymatic Analysis -)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0-158
    • /
    • 1998
  • 한국산 맥주 3종류, 일본산 맥주 21종류의 한계 덱스트린을 에탄올 침전법으로 분리하였다. 한계 덱스트린의 양은 평균 1.1%로 전체 당 3.15%의 34.5%를 나타냈다. FPLC 분석 결과 한계 덱스트린은 평균 글루코오스 잔기 25개 정도로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1H-NMR 분석으로 한계 덱스트린의 $\alpha$-1, 4-결합에 대한 $\alpha$-1, 6-결합의 비율은 평균 1:0.183을 나타냈다. 한계 덱스트린을 $\alpha$-아밀라아제와 $\alpha$-글로코시다아제로 5시간 가수분해 하여 소화성을 평가한 결과 평균 57.22% 가수분해 되었다. 그 중 한국산 맥주의 한계 덱스트린이 가장 높은 소화성 70.38%를 나타냈다. 아밀라아제로 소화된 부분과 에탄올 침전법으로 상징액으로 제거된 작은 당을 합하면 평균 86%가 소화성 당으로, 14%가 비피두스균 증식 인자로 평가된다.

  • PDF

열처리 덱스트린을 이용한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 (Preparation of Indigestible Dextrin from Pyrodextrin)

  • 우동호;문태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618-628
    • /
    • 2000
  • 열처리 덱스트린을 내열성 ${\alpha}-amylase$로 가수분해함으로써 난소화성 텍스트린 I을 제조하였다. 황색 덱스트린으로부터 제조한 난소화성 덱스트린 I의 난소화성 획분과 식이섬유 함량의 평균치는 각각 50%와 25%였다. 또한, 열처리 덱스트린의 효소반응액으로부터 에탄올 처리에 의해 glucose를 포함하는 저분자의 당류를 제거함으로써 난소화성 덱스트린 II를 제조하였다. 초기 효소반응액의 80% 이상의 glucose와 maltose가 제거되어 난소화성 획분과 식이섬유 함량이 증가하였다. ${\alpha}-amylase$ 및 amyloglucosidase에 의한 황색 덱스트린의 가수분해액의 에탄올 침전으로 제조된 난소화성 덱스트린이 다른 효소 조합보다 높은 함량의 난소화성 획분 및 식이섬유를 나타내었으며, 각각 평균 83.6%와 62.8%였다. 따라서, 전분 가수분해 효소에 저항성을 갖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열처리 덱스트린으로부터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수용성 식이섬유로서의 생리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Effect of dietary glucose, dextrin and starch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 Lee, Sang-Min;Lee, Jong-Ha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72-72
    • /
    • 2003
  • A 10-week feeding trial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glucose, dextrin and starch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starry flounder. Triplicate groups of fish (average weight, 9.7 g) were fed iso-nitrogenous (53% CP) and iso-caloric (3.8 kcal/g diet) diets containing 20% glucose, 20% dextrin and 5-25% alpha-potato starch with 5-14% lipid levels. Survival was not affected by dietary carbohydrate. Weight gain, feed efficiency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of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20% glucose were the lowest among all groups. The best weight gain was observed in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20% dextrin. Growth and feed efficiency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potato starch level. Lipid contents of whole body and liver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glucose, dextrin and starch at the same level. However, the lipid contents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dietary starch level and those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5% alpha-potato star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receiving 10-25% alpha-potato starch. Liver glycogen content and hepatosomatic index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dietary starch leve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juvenile starry flounder are able to efficiently utilize dextrin and -potato starch compare to glucose in diets and that alpha-potato starch could be incorporated up to 25% in the diet for optimum growth by juvenile starry flound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