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watering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31초

충전제가 습부 탈수 및 종이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iller loading on the wet end dewatering and paper properties)

  • 원종명;김흥배
    • 펄프종이기술
    • /
    • 제42권4호
    • /
    • pp.33-38
    • /
    • 2010
  • The effects of fillers on the wet end dewatering and paper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confirm the possibility that the fillers can be used as a means for saving energy in papermaking process. The performance of GCC, PCC and talcs were evaluated. The dewatering in wire and wet press was improved by the increase of filler addition, but it was observed that the dewatering behavior was depended by the filler characteristics. PCC was superior to other fillers in the bulk, opacity, air permeability and stiffness while the lowest tensile and burst index were obtained. We found that the response on the wet end dewatering and paper properties were affected greatly by the filler characteristics including particle shape and size.

침지공정에서의 탈수 및 용질 침투현상에 관한 고찰 (Study on Dewatering and Impregnation Soaking Process)

  • 최동원;신해헌;최형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62-467
    • /
    • 1997
  • 최근 건조 및 탈수공정으로 사용되고 있는 침지(soaking)에 의한 방법인 DIS 공정(dewatering and impregnation soaking process)은 상온에서 침지용액에 식품시료를 담금으로서 시료내의 수분이 탈수되는 현상을 이용한 공정으로서 이 때 용액 속의 용질들이 시료 속의 세포 내로 침투하는 확산현상도 동시에 발생한다. 따라서 영양분의 손실과 관능적 품질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며, 건조시의 에너지를 절감하는 등의 특성을 갖는다. DIS 공정에서는 용질의 크기에 따라 원형질막 분리현상과 세포벽 붕괴현상이 발생하며, 시료의 조직상태와 운전조건에 의하여 그 탈수 정도는 차이가 나타난다. DIS 공정을 제어하기 위한 모형화는 주로 비정상상태에서의 Fick의 법칙과 물질수지를 기초로 한 여러 가지 모델들이 제안되어 등온상태에서 시간에 따른 탈수량과 용질 침투량을 정확히 예측하고자 하고 있다.

  • PDF

석회안정화 방법을 이용한 돈사분뇨공공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탈수슬러지의 퇴비화 (Composting using the Lime Stabilization of Dewatering Sludge from Centralized Swin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 황인수;민경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87-694
    • /
    • 2006
  • Dewatering sludge using inorganic chemicals with polymer has been evaded for reuse on account of the risks of high heavy metals contained and soil acidification. Composting feasibility of coagulation & dewatering sludges produced from livestock waste treatment plant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of analysis prove that dewatering sludge is valuable matter with suitable elements for composting if high quality ferric chloride ($FeCl_3$) is used for coagulation & dewatering process. In pot-cultivation of harvestes, using effects of dewatering sludge improved with lime treatment was very effective. The results of pot-cultivation proved that harms of crops according to different acid tolerances were not detected. But it was not applied to crops with weak acid tolerance or greenhouse for free from gas damage. Also, Further studies and monitorings are necessary to use sludges because results of pot-cultivation were generated differently by characteristics of soil, nutrient demand of plants, mature degree of sludge, consecutive cultivation and etc.

동전기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에 관한 연구 (Dewatering of Sewage Sludge by Electrokinetics)

  • 김지태;원세연;조원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6B호
    • /
    • pp.661-66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동전기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탈수 실험을 실시하였다. 소화 과정을 거치고 탈수과정에 투입되기 전 응집제가 첨가되지 않은 슬러지에 중력 및 가압, 전기삼투 및 전기삼투펄스 기법을 적용하여 탈수 효율을 분석하였으며, 소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농축조에서 배출된 슬러지에 대하여도 동일한 방법으로 탈수 실험을 실시하여 농축 슬러지의 탈수율을 평가하였다. 압력을 가하지 않은 중력 탈수 방식에 직류전기장을 적용한 경우 적용 전압에 비례하여 탈수율이 증가하여 전기삼투에 의한 슬러지 탈수의 가능성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짧은 시간에 높은 탈수율을 얻기 위해서는 고전압이 필요한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슬러지 내에서 높이에 따른 함수비 변화폭을 줄여줄 것으로 기대되는 펄스 기법을 도입한 결과 실험 중반부터 배출량 및 부피감소량이 정전압에 비해 증가하는 특성을 보여 슬러지 내 함수비가 감소하면서 그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농축 슬러지에 대한 중력식 및 압력식 전기삼투 탈수 기법도 소화 슬러지와 마찬가지로 높은 탈수율을 나타내어 동전기에 의한 탈수 가능성이 입증되었으며, 소화조 운영 목적 중 화학적인 부분들이 전기 삼투에 의한 탈수에 의해 어느 정도 보완될 수 있는지가 평가된다면 슬러지 처리 공정 및 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안료 슬러지 감량화(減量化)를 위한 열필터프레스 기술(技術)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Thermal Filter Press for the Reduction of Pigment Sludge)

  • 이정언;이재근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3호
    • /
    • pp.55-61
    • /
    • 2009
  • 안료 생산 공정의 슬러지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감량화 공정은 제품의 질 향상, 건조경비 절감 그리고 안료 운송경비 절감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안료입자는 크기가 $5{\mu}m$ 이하로 미세하여 기계적인 힘에 의한 탈수가 어렵다. 미세입자의 탈수율 향상을 위해 기존의 필터프레스 탈수장치의 압착판 사이에 고정 열판을 장착하고, 열수를 고정열판에 공급하여 케이크 층에 열을 공급하여 슬러지 탈수하는 열필터프레스 탈수장치를 개발하였다. 이 장치를 통해 압착공정의 유무 탈수시간 변화와 같은 변수 실험을 통해 안료슬러지에 대한 탈수율 평가하였다. 그 결과 열 탈수 시 압착공정에 의한 탈수율이 비압착공정에 비하여 약 20% 증가하였다. 압착공정이 있는 경우, 탈수시간을 70분과 80분으로 하여 수행한 결과 탈수시간이 80분으로 길게 하였을 때, 함수율 46.7wt%에서 43.9wt%로 감소하였고, 탈수속도는 $4.0DSkg/m^2{\cdot}hr$에서 $3.5DSkg/m^2{\cdot}hr$으로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열 탈수는 케이크 층으로부터 액체의 배출을 원활이 할 수 있어 장치의 여과포 막힘 현상(Clogging)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압착공정이 탈수율 향상에 효과적이며, 탈수시간이 80분으로 길게 할 경우, 저함수율 탈수 케이크를 생산할 수 있지만 탈수속도의 감소로 인한 생산량 저감을 초래할 수 있다. 즉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열필터프레스 탈수장치를 안료와 같은 미세입자가 함유된 슬러지에 적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탈수케이크를 생산 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지오텍스타일 튜브를 활용한 준설오니 탈수처리에 관한 연구 (Dewatering of dredged sludge using geotextile tube)

  • 신은철;장우람;김성환;오영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23-29
    • /
    • 2008
  • 지오텍스타일을 활용한 탈수처리공법은 지오텍스타일의 최신 적용분야로, 여과, 배수기능을 이용하여 기 직조한 지오텍스타일 포대 내에 산업슬러지, 하수정수장 슬러지, 특히 유수지의 준설오니슬러지 등을 주입 후 자중압밀과정을 통하여 고형물단계까지 탈수처리 하는 공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스터 두 종류의 지오튜브(지오텍스타일)의 물리적 특성을 살펴보고, 채움재 토사의 물리적 특성에 따른 탈수 효율과, 여과 및 배수기능을 원활이 수행할 수 있는 국산 고분자 토목섬유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실내시험은 지오텍스타일과 채움 토사간의 복합적 투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현장시험은 세립질(ML-OL) 토사의 채움 시 시간에 따른 유효높이 변화를 측정하여 적절한 슬러리 비율을 도출하였다. 각종 실내 및 현장시험결과, 세립질(ML-OL) 토사의 경우 물과 토사의 혼합비율은 최소한 6:4 이상이 되어야 하며,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지오텍스타일이 필터 및 배수기능이 우수하며, 탈수처리 공법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응집제를 이용한 양돈폐수의 침감성 및 슬러지의 탈수성 증대 (Enhancement of Dewatering and Settling Characteristics for Swine Wastewater Using Coagulants)

  • 강선홍;민경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13-319
    • /
    • 2002
  • Laboratory experiments using metal coagulants[alum, PAC(Poly Aluminum Chloride)] and polymer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to enhance dewatering and settling characteristics for swine wastewater. In this study, application of mixture of metal coagulants and polymer improved settling and dewatering characteristics for swine wastewater compared to using only metal coagulants. Also sludge volume was decreased when the mixture was applied. About 80-90% of settling velocity was increased and thickening ratio was increased as much as two times when adding 100mg/L of cationic polymers. Polymer was excellent for enhancing dewatering property among coagulants.

충전물의 Coagulation이 탈수 및 건조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agulation of Filler Particles on the Dewatering and Drying of the Particles)

  • 윤병태;오세균;전양
    • 펄프종이기술
    • /
    • 제30권2호
    • /
    • pp.40-46
    • /
    • 1998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any improvement of dewatering and energy saving on the papermaking process when the various types of fillers were used, i.e., clay, talc and grounded calcium carbonate (GCC). Cationic polyelectrolyte and alum coagulants neutralized the surface charge of the filler particles and the filler particles were coagulated. The rates of dewatering and drying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clay tended to intense anion, while talc and GCC tended to anion trend nearly to neutrality. Clay and talc added with EPI-DMA, P-DADMAC and alum respectively as optimum levels showed a significant efficiency on the dewatering and the turbidity dissipation. However, the turbidity and dewatering rate of GCC decreased, when GCC was added with EPI-DMA and P-DADMAC respectively Drying rate of clay was increased when coagulant added. However drying rates of talc and GCC were not affected by coagulant, while the apprarent drying time of talc and GCC in the absence of any coagulant was shorter than the clay in the presence of a coagulant. The result confirmed that talc or GCC was more efficient than clay on the dewatering and drying, which is consistent with a general knowledge in the collodal science.

  • PDF

고농도 용액에 침지시 감자 절편의 동력학적 탈수 모델링에 관한 연구 (Kinetic Modeling of Dewatering of Potato Slice When Soaked in Concentrated Solution)

  • 최동원;신해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77-482
    • /
    • 2000
  • 고분자 물질 용액에 감자 절편을 침지시의 탈수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1) 비정상 상태(unsteadystate)에서의 확산 식을 초기시간에 대해 단순화시킨 모델, (2) 침지시간별로 수분확산계수와 평균확산계수를 비교하여 탈수현상을 설명하고자 한 모델, (3) 물질이동에 대한 Fick의 제2법칙을 무한평판의 조건에서 전체 시간에 대해 전개한 모델 등 3가지 모델을 가정하여 검토한 결과 PEG용액에 감자절편을 침지했을 때 물질이동의 동력학적인 해석은 Fick의 제2법칙에 근거한 모델이 잘 적용되었으며 수분의 확산계수를 추정한 결과 8$\times$$10^{-7}$~4$\times$$10^{-6}$$ extrm{cm}^2$/s 범위였다.

  • PDF

전기탈수방법에 의한 하수 슬러지 탈수 특성 (Efficient Dewatering of the Sewage Sludge by Electrodewatering System)

  • 박찬정;이정언;안영철;신희수;이재근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B
    • /
    • pp.526-531
    • /
    • 2000
  • Application of electrodewatering (EDW) to mechanical dewatering system was studied to decrease water content in the sludge generated from waste water treatment process. Experiments realized the reduction of water content in the sewage sludge. EDW enhancing the conventional filtration by an electric field is an emerging technology with the potential to improve dewatering. In this study, a piston filter press was constructed, the digested sludges were dewatered by EDW under conditions of DC electric field and constant pressure in the piston filter press. Constant electric field from $0{\sim}120\;V/cm$ and constant pressure $98.1{\sim}392.4\;kPa$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as electric field was increased the dewatering rates increased and as pressure was increased the dewatering rates decreased. Also as polymer was added the dewatering rates increased. This experiments produced final sludge cake with water content of 60 wt% using EDW, compared with 80 wt% using pressure filtration alo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