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elopment on standard model

검색결과 1,076건 처리시간 0.033초

블렌디드 러닝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만족도 (Academic Stres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Exposed to Blended Learning)

  • 박의정;정경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5-153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lended learning on learning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60 current nursing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at K university located in city B. All students included in the study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provided informed consent to participat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y 3 and July 9, 2021 and analyzed using SPSS/WIN 22.0.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reated, and t-test, ANOVA, and Scheffé test for post hoc analysis were performed. Correlations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academic stress according to the online classes environmental satisfaction (F=4.10, p=.001), online classes experience (t=4.11, p=.001)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the grade (F=4.10, p=.001), online classes environmental satisfaction (t=4.11, p=.001). The academic stress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blended learning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r=-.480, p<.001), and learning satisfaction (r=-.236, p<.001).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satisfaction (r=.524, p<.001). The regression model for the factors affe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 3.027, p<.001). The major influential factors of learning satisfaction were grade (𝛽=.154, p=.013),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𝛽=.168, p=.032), and satisfaction with non-contact learning environment (𝛽=-.141, p=.028). The explanatory power was 28 %.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reduce academic stress and increas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enhance learning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through blended learning. In additi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tailored intervention program is required to help improve learning satisfaction.

가상 PLC 검증 시스템의 구현 사례 : 자동차 의장 라인의 예 (A Case Study of Virtual PLC Validation System’s Implementation : In Case of An Automobile Trim Line)

  • 배성훈;김연민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9-16
    • /
    • 2010
  • 본 사례 연구는 가상환경에서 자동차 의장 라인의 PLC 코드 검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그간 인력과 PLC 검증 시간을 줄이고자 표준화된 PLC 에디터를 개발하려고 노력해왔으나, 실제 현장 환경에서 PLC 에디터를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는 현장의 PLC 모듈과 통신하며, 특별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연결 환경을 구축하는 가상장비를 개발했다. PLC 모듈과 가상장비가 OPC 프로토콜에 의해 실시간으로 통제되므로 실제 장비를 설치하지 않고 PLC 코드를 검증할 수 있게 되었다. 실험적 모델을 자동차 공장의 최종 조립라인에 적용하고, DELMIA Automation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PLC 코드 검증 과정과 가상장비 작동에 이 시스템이 유용하게 이용되었다. 이 시스템은 PLC 코드 개발 시간을 절약하며 조립라인의 생산성, 무결성을 높이는데 기여했다.

지역거점 공공병원의 폐렴 적정성 평가 지표 개선을 위한 융복합 실행연구 (An Action Convergence Research to Improve Evaluation Index of Pneumonia Adequacy in Regional Public Hospital)

  • 최은영;박연임;강승주;김자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1권1호
    • /
    • pp.19-27
    • /
    • 2023
  • 본 연구는 지역거점 공공병원의 폐렴 적정성 평가 지표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행연구이다. 이 연구는 N시에 소재한 지역거점 공공병원에 근무하는 내과의사 1명, 간호사 8명, 전산실 직원 1명, 간호학 교수 1명이 참여하였으며 2021년 3월부터 10월까지 이루어졌다. Zuber-Skerritt & Fletcher의 개념모형을 바탕으로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계획, 실행, 평가, 성찰의 단계를 2 cycle 로 운영하면서 2분기와 3분기에 효과평가를 하였으며 폐렴 적정성 평가지표를 효과평가의 도구로 사용하였다. 2019년 폐렴 적정성 평가지표와 비교하여 2021년에는 모든 지표가 기준목표에 100% 도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보다 질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학제간 참여와 협조 아래 실행연구를 통한 의료 질 개선 활동을 적용하고 임상현장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식·의약 위해 감시체계(K-RISS)의 우선순위 평가를 위한 시계열 구조변화 기반 기준선 설정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Baseline Setting Model Based on Time Series Structural Changes for Priority Assessment in the Korea Risk Information Surveillance System (K-RISS))

  • 진현정;허성윤;이헌주;장보윤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5-137
    • /
    • 2024
  • Background: The Korea Risk Information Surveillance System (K-RISS) was developed to enable the early detection of food and drug safety-related issues. Its goal is to deliver real-time risk indicators generated from ongoing food and drug risk monitoring. However, the existing K-RISS system suffers under several limitations.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ugment K-RISS with more detailed indicators and establish a severity standard that takes into account structural changes in the daily time series of K-RISS values. Methods: First,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derive the required weights. Second, a control chart, commonly used in statistical process controls, was utilized to detect outliers and establish caution, attention, and serious levels for K-RISS values. Furthermore, Bai and Perron's method was employed to determine structural changes in K-RISS time series. Results: The study incorporated 'closeness to life' and 'sustainability' indicators into K-RISS. It obtained the necessary weights through a survey of experts for integrating variables, combining indicators by data source, and aggregating sub K-RISS values. We defined caution, attention, and serious levels for both average and maximum values of daily K-RISS. Furthermore, when structural changes were detected, leading to significant variations in daily K-RISS values according to different periods, the study systematically verified these changes and derived respective severity levels for each period. Conclusions: This study enhances the existing K-RISS system and introduces more advanced indicators. K-RISS is now more comprehensively equipped to serve as a risk warning index. The study has paved the way for an objectiv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food safety risk index surpasses predefined thresholds through the application of severity levels.

전문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선택 영향 요인 분석을 위한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a Measurement Scale for 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College Choice of College Freshman's)

  • 김명은;장원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50-62
    • /
    • 2016
  • 본 연구는 전문대학을 선택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과 초기문항을 설정하였고 내용타당도와 1차 예비조사과정을 거쳤다.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위해 충북 제천 소재의 일개 전문대학 신입생 230명을 대상으로 2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문항분석과 문항 신뢰도 분석,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요인분석, Cronbach's ${\alpha}$ 계수를 통한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변량의 68.37%를 설명하는 15요인(61문항)이 추출되었으며 속성에 따라 매체경로정보수집(4문항), 대학활동경로정보수집(3문항), 대학지원 및 환경(4문항), 교육관련(5문항), 의사결정영향인사(3문항), 교육품질(4문항), 교육서비스(5문항), 대학명성(3문항), 접근성(2문항), 개인상황(2문항), 매체광고(5문항), 대학프로모션(4문항), 온라인홍보(4문항), 인적홍보(3문항), 대학 이미지(10문항)로 분류되었다. 본 설문도구의 Cronbach's ${\alpha}$는 전체 0.916이었고 각 요인별로 0.694~0.878로 나타났다. 개발된 측정도구는 급격한 환경변화로 신입생 충원에 어려움이 많은 지방 전문대학의 정책적 전략 수립 시 필요한 기초자료 수집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지반침하를 고려한 교량 접속판의 차량하중에 의한 휨모멘트 평가 (Evaluation on Bending Moment of Bridge Approach Slabs under Vehicle Load Considering Soil Settlement)

  • 백성용;김정강;조백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939-5946
    • /
    • 2013
  • 교량과 도로 포장사이의 주행성 향상을 제공하는 교량 접속판(BAS)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현행 도로설계요령은 접속판 길이의 70%를 지간으로 한 단순보로 계산하고 있으며 슬래브 아래의 침하와 공극을 고려하지 못한다. BAS의 휨모멘트에 대한 지반침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탄성지반 보(BAS-ES)를 본 연구에서 사용했다. 사용된 매개변수는 경간장, 유실길이, 유실위치, 지반 반력계수이다. 중앙지간에 가까운 유실이 접속판에 최대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을 매개변수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BAS 아래의 공극은 일반적으로 교대 주위에서 발생되므로 사용모델은 침하와 공극을 형상화하기 위해 교대로부터 스프링을 제거하여 유실위치를 고려했다. 탄성지지 보 모델을 사용해 AASHTO LRFD 교량설계기준에 근거한 설계모멘트와 국내 도로교설계기준의 설계모멘트를 비교하였다. 유실을 고려한 탄성지반 접속판의 설계모멘트가 현행 접속판 설계와 비교해 여전히 작게 나타나 비용절감 효과를 꾀할 수 있다.

채취 시기 및 부위가 다른 표고버섯의 급여가 당뇨 마우스 뇌조직의 신경전달물질 및 지질과산화물 수준에 미치는 영향 (Supplementary Effects of Lentinus edodes with Different Harvest Period and Part on Neurotransmitters and Lipid Peroxide Levels in the Brain of Diabetic Mice)

  • 박홍주;김대익;이성현;이영민;정현진;조수묵;전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182-1187
    • /
    • 2005
  •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과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평균수명이 증가하였지만 이에 반해 성인병, 암, 치매 등 질병 유병율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실정이다. 특히 당뇨와 치매는 고령화 현상에 따른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그 심각성이 더욱 크다. 또한 문경에서는 품질이 낮은 향신 표고버섯의 대 부위를 분말화하여 조미료로 이용함으로써 표고버섯의 활용 및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으나, 표고버섯의 채취시기 및 부위별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KK 당뇨마우스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표고버섯 품질 (동고, 향신) 및 부위별(갓, 대) 분말을 섭취한 4종의 실험군을 8주간 사육한 다음 치매관련 뇌조직 신경전달 물질(neurotransmitter) 및 그 관련효소를 조사하고 활성 산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지질과산화(lipid peroxide)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뇌의 가장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 함량은 표고버섯 향신갓 부분을 섭취한 실험군 HSC에서 약 12$\%$의 유의적인 증가효과를 보였으며, 아세틸콜린 분해효소인 AChE효소의 저해활성은 동고갓 부분을 섭취한 DGC실험군에서 약 10$\%$의 유의적인 아세틸콜린에 스테라아제 활성 저해효과를 보였으며, 향신갓 부분를 섭취한 HSC 실험군에서도 저해되는 경향을 보였다. 카테콜아민계 신경전달물질의 파괴에 관계하는 MAO-B효소의 저해활성은 향신갓 부위 첨가 식이 HSC에서 약 12$\%$의 유의적인 활성 저해효과를 보였으며, 지질과산화는 동고갓 부위를 섭취한 실험군 DGC에서 약 10$\%$의 유의적인 지질과산화 감소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표고버섯은 대 부분보다는 갓 부분이 채취시기 및 품질에 상관없이 당뇨모델 마우스 뇌조직의 AChE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여 ACh의 농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MAO-B효소와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신경전달물질을 잘 보존하여 인지능력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표고버섯의 급여기간 및 첨가수준을 달리한 계속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한 표고버섯 소재의 다양한 제품 개발과 부가가치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출물 재사용성을 위한 MND-AF와 ADDMe 프로세스 정렬 (Process Alignment between MND-AF and ADDMe for Products Reusability)

  • 부용희;이태공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1-142
    • /
    • 2006
  • 최근 대다수의 조직들은 조직의 최적화를 위해 EA 방법론과 소프트웨어 재사용성 향상을 위해 CBD 방법론을 도입하고 있다. 한국정부도 EA 프레임워크, 참조모델 및 지침 등과 같은 다양한 EA 산출물을 개발하고 있을 뿐 만 아니라, 범정부 최적화를 위한 법을 제정하였다. 이에 따라 국방부도 국방 EA 개발 방법론인 MND-AF와 국방 CBD 방법론인 ADDMe를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MND-AF와 ADDMe 방법론의 프로세스간 정렬성이 부족하여 산출물의 중복개발이 예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MND-AF와 ADDMe의 프로세스 및 산출물간의 관계성을 식별하여 MND-AF 산출물을 ADDMe가 재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두 프로세스간 관계성 식별을 위해 우선 두 프로세스의 ‘정의’ 부분 관계성을 식별한 후, ‘상세설명’ 부분의 관련성을 기반으로 ‘속성’ 부분의 관계성을 식별하였다. 분석결과 MND-AE의 113개의 속성이 ADDMe의 49개의 속성과의 관계성을 제시함으로써 개발비용 및 시간이 감소되고 EA와 CBD 프로세간의 정렬에 대한 좋은 사례로 활용 될 것이다.

DEA 모형을 이용한 주업과 겸업 표고재배 임가의 경영효율성 비교 분석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Full-time and Part-time Oak Mushroom Farms using DEA models)

  • 이성연;전준헌;원현규;이정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639-645
    • /
    • 2014
  • 본 연구는 비모수추정 방법인 자료포락 기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표고버섯 재배 임가를 대상으로 경영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조사자료는 2013년 3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한 '표고버섯 경영 표준진단표' 적용 결과 중에서 20개 임가의 투입요소와 산출요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DEA 기법중 CCR 모형과 BCC 모형을 이용하여 기술효율성, 순수기술효율성, 규모효율성을 분석하였고 비효율성 임가의 개선방안도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주업과 겸업재배임가의 경영효율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표고버섯 재배 임가의 전체기술효율성은 평균 0.655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비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효율성의 원인은 순수기술효율성(0.830)보다는 규모효율성(0.747)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효율성 값이 1인 표고버섯 재배임가는 DMU2, DMU5, DMU6, DMU8, DMU10, DMU15, DMU20으로 7개 임가로 나타났다. 그리고 DMU7 재배임가의 경영효율성 진단 결과, 투입요소 중 신규접종비와 조성비에서 준거집단과 비교해 볼 때 과도하게 투입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업과 겸업임가의 효율성 비교 결과 겸업임가가 상대적으로 비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원인으로 규모효율성이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3구신호등 제어용 교통신호제어기 개발 (Development of a Traffic Signal Controller for the Tri-light Traffic Signal)

  • 한원섭;고광용;허낙원;이철기;하동익;이병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49-58
    • /
    • 2010
  •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교통신호제어기는 4구신호등(적색, 황색, 녹화살표, 녹색) 체계로 개발된 "경찰청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을 따르고 있으나, 국가정책에 따라 3구신호등체계로 바뀌어 운영될 예정에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 4구신호등 체계로 개발된 표준규격 교통신호제어기를 3구신호등(적색, 황색, 녹색) 체계에 맞도록 신호등기부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3구신호등용 교통신호제어기를 설계 개발하였다. 등기구동장치(LSU)는 2조의 3색 R-Y-G 출력스위치를 가져 총 6개의 출력용량을 갖도록 개선되었다. 이동류별 및 교통수단별(차량, 버스, 자전거, 보행) 3색 신호를 부여하기 위해 최대 16개까지 등기구동장치(LSU)를 수용하여 총 96개의 출력 용량을 갖도록 버스체계가 개선되었다. 최대 32개까지 늘어난 적색 등 점멸제어를 위해 점멸기(FLASHER) 장치를 개선하였다. 소프트웨어 부문에서는 지역제어기와 센터시스템 간 통신규약이 개선 되었으며, 3구신호등 체계의 LSU에 적합한 새로운 시그널맵 코드체계를 부여하였다. 개발된 3구신호등 제어용 교통신호기에 대해 프로토콜 운전, 원격제어기능, 제어모드별 운전기능을 각각 시험하였으며, 테스트 결과 모두 정상적으로 동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