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elopment of framework

검색결과 3,885건 처리시간 0.031초

웹 컨텐츠 및 디자인 중심의 감리모형 연구 (A Study on the Audit Framework for Web Contents and Design)

  • 김동수;백혜진;강재화;김희완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87-101
    • /
    • 2009
  • The current information system audit merely inspects a web based information system by focusing on checking items that are extracted from structured and information engineering model and object-oriented component model. As a result, the checking item of web contents and design is inadequate. This paper aims to extract audit framework in order to strengthen the audit of web contents and design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web based information system and to suggest checking items based on audit framework. For this, the web development process and web site evaluation model were studied,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current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audit. From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adequacy of the suggested audit framework and audit checking items is above the average value. It is believed that the suggested audit framework is helpful for the audit of web based information system.

공공분야 융합 서비스 개발 Framework에 대한 연구 : 서울시 스마트교통카드 서비스와 싱가포르 CFC 사례를 중심으로 (A Framework of the Convergent Service Development Process in the Public Sector : The Smart Transportation Card Service of Seoul City and the Call for Collaboration Case in Singapore)

  • 이진휘;이석규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87-410
    • /
    • 2013
  •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Convergence and Creative Economy became hot issues. For example, products become more intelligent and services are likely to be connected and integrated around core services or provided as bundle solution. Meanwhile products and services are integrated in the context of mutual supplementation, which leads to Servitization of Products and Productization of Services in many industries. Previous studies have addressed Convergence with different terms and definitions such as Convergent, Multicategory Multifunctional Product, Clouding Service, Bundle and so on from one perspective such as consumers, suppliers or technology according to a wide range of academic approaches.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e most typical convergence products released in the convergence environment and categorize those products. Furthermore, this study has pointed out the problems in the New Product Development Framework discussed in the studies on marketing by taking the situation of the public sector into account and then suggested "New Service Development Framework in the Public Sector" that a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e-Gov. approach basically and will enable the government to create public information service and provide them to enterprises or citizens. It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Business Conceptualization Stage in the framework; argued that there is a necessity of an integrative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ology on the basis of the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marketing and Policy such as a study of consumer behaviors, design and marketing channel and Policy Integr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dissipation; and furthermore suggested the cases-the development/Diffusion of Transportation Card Service in Seoul and CFC (Call for Collaboration) in Singapore-in order to verify the framework. There is a need to supplement New Service Development Framework so it is able to reflect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sector from the academic perspective and be used as practical guidelines for SI (System Integration) business to shift into IT Service business. Last but not the least,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limitations and the directions for the future studies.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CBD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와 성능분석 (A Flexbile and Extensible CBD Application Framework and Performance Analysis)

  • 이용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3권1호
    • /
    • pp.46-58
    • /
    • 2007
  • 최근 많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들은 지속적으로 요구사항들이 변경되는 대규모의 복잡한 시스템이며 컴포넌트 기반이나 제품계열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과 같이 아키텍처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개발환경에서 생산성이나 유지보수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아키텍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CBD(Component Base Development) 기반의 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유지보수 시 생산성과 유지보수 향상을 위해 필요한 유연성과 확장성 품질속성을 가진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제시하고 이들 품질속성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을 아키텍처 모델을 통해 설명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최근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프레임워크(Framework)로 잘 알려진 Struts와 JBean이라 불리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의 성능을 비교했다. JBean 프레임워크는 프리젠테이션 프레임워크와 비즈니스 로직 프레임워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정한 실험을 위해 JBean에서 비즈니스 로직 프레임워크에 관련된 모듈을 제거하고 단지 프리젠테이션단 프레임워크만 가지고 실험을 한 결과 JBean의 프리젠테이션 단 프레임워크가 평균 초당 18개의 거래를 더 처리하고 있다.

A Framework for Agile Development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

  • Younas, Muhammad;Ghani, Imran;Jawawi, Dayang Norhayati Abang;Khan, Muhammad Murad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67-74
    • /
    • 2016
  • Distributed agile software development faces difficulties for instance lack of visibility across development and delivery processes, complex and disjointed development processes, inability to capitalize on business opportunities, lack of communication agility between disconnected owners, development teams, and users or clients. However these difficulties are solved with the help of cloud computing services. This study proposes a framework to provide a skeletal or structural environment for distributed agile software development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 The framework guide towards the best tooling to deliver a consistent, automated, governed, and unified agile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with reduced technical debt, and minimized project backlog. In addition to this, the study highlights the benefits of cloud computing in agile software development.

초고속 모바일 웹 개발을 위한 경량화 프레임워크 (Lightweight Framework For Supporting Mobile Web Development)

  • 신승우;김행곤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27-138
    • /
    • 2009
  •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들이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성능향상으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PC환경과 달리 개발환경 및 표준에 대한 고려가 적어 애플리케이션을 디바이스 별로 구현하는 등의 이유로 개발비용이 소모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Web-프레임워크를 통해 최근 각광 받고 있는 웹 프레임워크기반의 모바일 웹 개발을 수행하는 개발방법론을 제안하며 이와 더불어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동일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모바일 웹 표준 준수를 지원한다. Ruby on Rails기반의 모바일 웹 개발 아키텍처를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바일 웹 표준을 준수하는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적용한 프로세스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모바일 웹 개발 프레임워크를 통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제안한 프레임워크를 검증한다. 이를 통해 개발 수행 시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도입하여 신속한 개발을 수행할 수 있으며 모바일 웹 표준 환경을 준수하여 모바일 웹애플리케이션의 품질과 신뢰성을 획득할 수 있다. 향후 연구로 제안한 MWeb-프레임워크의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잠재적인 문제를 개선하고 이를 바탕으로 표준화를 제안한다.

  • PDF

지속가능한 개발 지표 도출을 위한 기본적 구성 (Framework for Developing of Sustainable Indicators)

  • 정용;김용범
    • 환경영향평가
    • /
    • 제5권2호
    • /
    • pp.79-91
    • /
    • 1996
  • In Chapter 40, "Information for decision-making", of Agenda 21, it was Slated that, "indicators of sustainable development need to be developed to provide solid bases for decision-making at all levels and to contribute to a self-regulating sustainability of integrated environment and development systems."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defined as "development that meets the needs of the present without compromising the ability of future generations to meet their own needs", An indicator that measures sustainability should therefore focus on this definition. One of the most widely used frameworks for environmental indicators is the Pressure-State-Response model proposed by the OECD. And we introduced the the Driving force-State-Response framework, the adaptation of Pressure-State-Response model, for UN sustainable development indicators. Therefore, in our country, indicator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developed by using the DSR framework.

  • PDF

Development of Component Framework for Supply-Chain Management

  • Wang, Gi-Nam;Choi, Jung-Won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1999년도 학술대회지 vol.2
    • /
    • pp.431-445
    • /
    • 1999
  • This paper introduces a development of component based framework of supply-chain management. The existing legacy system, which is not designed for object-oriented paradigm, is re-modeled using unified modeling language. Components are extracted from the legacy application, and frameworks are also designed in order to increase productivities of software development. Design issues concerning component and framework development are discussed with real situation. Performance and development productivity issue are also discussed with discussing component size and scope. A real case is presented in connection with the discussed issues.

  • PDF

분수에 대한 교사 지식의 평가 기준 개발 (The Scoring Framework Development for Teacher's Knowledge of Fractions)

  • 이종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2호
    • /
    • pp.215-22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ment the scoring framework for teacher knowledge of fractions. This framework is qualified in the content-validity by professional educators' evaluation and in the reliability by correlation coefficient. 2 math educators judged that this framework is composed of appropriate scoring category, scoring criterion, and scoring level. After 2 teachers scored the task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between evaluators. The coefficient is evaluated high in that it is more than 0.80.

  • PDF

M&S PlugIn-Based Architecture Framework 개발 (M&S PlugIn-Based Architecture Framework Development)

  • 원강연;최상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6권2호
    • /
    • pp.53-59
    • /
    • 2009
  • 국방 획득업무에 있어 통합적 협력에 의한 M&S의 활용을 지향하는 SBA가 적용 중에 있다.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공통하부기반을 통해 M&S 구성요소의 재사용성, 재구성, 확장성 등의 제고가 요구된다. PlugIn-Based Architecture(PBA)는 컴포넌트 간 상호독립적인 인터페이스 및 상호작용이 가능함으로써 기존 아키텍처에 비해 컴포넌트의 추가 및 조합이 용이하고 재사용을 높일 수 있는 공통하부기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이러한 PBA를 적용한 시뮬레이터 개발을 지원할 수 있도록 PBA Framework을 구현하였다. PBA Framework은 공통하부기반으로서 M&S 업무 적용 시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위한 프레임워크의 재사용성 메트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usability Metric of Framework for Embedded Software)

  • 조은숙;김철진;이숙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252-5259
    • /
    • 2011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는 최적화와 재사용 기술이 상품의 가치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기술로 간주되고 있다. 최적화와 재사용 기술의 대표적인 형태가 프레임워크 기술이다.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경우, 소프트웨어의 개발 생산성 뿐만 아니라 재사용성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는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개발 형태가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 뿐만 아니라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의 개발 또한 시작 단계에 불과해서 개발되는 프레임워크가 과연 기대하는 만큼의 재사용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점이 존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성 향상을 위해 설계한 프레임워크의 재사용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재사용성 측정 메트릭을 제안한다. 제안한 메트릭을 실제 설계 사례에 적용한 결과 기존의 설계 방식에 비해 프레임워크 기반의 설계가재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