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aturation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3초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일주기 리듬 특성에 따른 주간 졸음과 우울감의 차이 (Morningness-Eveningness Affects the Depressive Mood and Day Time Sleepiness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atient)

  • 김성호;주은정;이규영;구영진;김의중
    • 수면정신생리
    • /
    • 제19권2호
    • /
    • pp.77-83
    • /
    • 2012
  • 목 적: 저녁형일수록 우울해지기 쉽다는 경향성이 일반 인구집단이 아닌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와 상황별 졸음 평가지 등을 통해 얻은 자료 중 저녁형일수록 증가되는 항목과 우울할수록 증가되는 항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8년 1월 1일부터 2011년 2월 18일까지 을지병원 수면장애 클리닉에 내원한 환자들 중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OSA로 진단받은 환자 211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자료와 신체 계측 자료를 얻었으며, 상황별 졸음 평가지(ESS). 아침형-저녁형 설문지(HOQ), 한국판 기분상태척도(K-POMS),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아침형군과 저녁형군, 중간형군 별로 인구학적 자료 및 신체계측자료, 수면다원검사 자료에 대한 평균값 비교를 시행하였다. 이후 연령과 체중을 보정하여 인구학적 자료 및 신체계측자료, 수면다원검사 자료들간의 편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연령과 체중을 보정한 공분산분석을 통해 아침형군과 저녁형군, 중간형군 별로 각각의 인구학적 자료 및 신체계측자료, 수면다원검사 자료에 대한 평균값 비교를 시행하였다. 결 과: 나이와 체중을 보정한 편상관분석에서 HOQ점수에 따라 저녁형일수록 K-POMS, POMS-T, POMS-D, POMS-A, POMS-F, POMS-C 점수가 상승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대로 아침형일수록 POMS-V, AHI, respiratory arousal index, snore time(%)이 증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우울할수록 POMS 총점과 POMS-T, POMS-A, POMS-F, POMS-C, sleep latency, stage 2 sleep(%)가 증가되는 경향성이 나타나고, 우울할수록 HOQ점수가 낮아지므로 저녁형이며, 우울할수록 stage 1 sleep(%), AHI, TAI, respiratory arousal index, 목 둘레가 감소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공분산 분석을 통해 나이와 체중을 보정한 뒤 아침형, 중간형, 저녁형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은 K-POMS, POMS-T, POMS-D, POMS-F, POMS-C, spontaneous arousal index이다. 결 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도 일반인구집단에서처럼 저녁형일수록 우울한 경향성이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성은 주간 졸음 등과는 무관하며, 무호흡의 심각도와도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평가할 때 무호흡의 심각도를 평가하는 것과는 별도로 아침형-저녁형의 일주기리듬을 확인하고 저녁형인 경우 환자의 우울감에 대한 추가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체외순환 시 뇌대사에 대한 정상 탄산분압과 고 탄산분압의 임상적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The Clinical Effects of Normocapnia and Hypercapnia on Cerebral Oxygen Metabolism in Cardiopulmonary Bypass)

  • 김성룡;최석철;최국렬;박상섭;최강주;윤영철;전희재;이양행;황윤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0호
    • /
    • pp.712-723
    • /
    • 2002
  • 체외순환은 뇌 혈류의 변화를 유도하며 이러한 변화가 수술 후 직 간접적인 뇌 손상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최근 체외순환 중 뇌 혈류 변화는 동맥혈액의 이산화탄소 분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체외순환을 이용한 심장수술시 뇌 대사에 대한 정상 탄산분압과 고 탄산분압의 임상적 영향을 비교 조사하기 위해 전향적으로 계획되었다. 대상 및 방법: 심장수술이 계획된 36명의 성인 환자들을 연구목적에 따라 무작위적으로 정상탄산분압군(Pa$CO_2$35~40 mmHg, n=18) 혹은 고탄산분압군(Pa$CO_2$45~55 mmHg, n=18)으로 나눈 뒤 중등도 저체온(비인두 온도 29~3$0^{\circ}C$)의 비박동성 체외순환을 실시하였다. 수술 중, 각 환자들의 중대뇌동맥 혈류속도(뇌혈류 속도), 뇌동정맥 산소함량 차, 뇌산소 추출률, 뇌산소 대사율, 뇌산소 운반율, 뇌산소운반/뇌산소대사 비율, 뇌정맥 산소 불포화도(내경 정맥구 혈액 산소 포화도$\leq$50%), 동맥혈액 및 내경정맥 혈액 가스분석 등을 평가하였고, 수술 후 신경학적 합병증(섬망증세) 발생 정도 역시 관찰하여 양 그룹간에 비교하였다. 결과 : 체외순환 동안 고탄산분압군이 정상탄산분압군에 비해 뇌혈류 속도(169.13 $\pm$ 8.32 vs 153.11 $\pm$8.98%), 뇌산소 운반율(1,911.17$\pm$250.14 vs 1,757.40$\pm$249.56), 뇌산소운반/뇌산소대사 비율(287.38$\pm$28.051 vs 246.77$\pm$25.84), 내경 정맥구 산소분압(41.66$\pm$9.19 vs 31.50$\pm$6.09 mmHg), 그리고 내경 정맥구 산소포화도(68.97$\pm$10.96 vs 58.12$\pm$12.11%) 등이 유의하게 더 높았으나 (p=0.03), 뇌동정맥 산소함량차(3.9$\pm$0.3 vs 4.9$\pm$0.3 mL/dL), 뇌산소 추출률(0.3$\pm$0.03 vs 0.4$\pm$0.03), 뇌산소 대사율(5.8 $\pm$0.5 vs 6.8$\pm$0.6), 동맥혈 pH는 고탄산분압군이 더 낮았다(7.36$\pm$0.09 vs 7.46$\pm$0.07, p=0.04). 체외순환 동안 뇌정맥혈 불포화를 보인 환자 수는 고탄산분압군이 정상탄산분압군 보다 유의하게 더 적었다(3명 vs 9명, p=0.03). 수술 후 신경학적 합병증(섬망)의 지속시간 역시 고탄산분압군이 정상탄산분압군 보다 더팔았다(36시간 vs 60시간, p=0.009).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심장수술 동안 고탄산분압 체외순환이 뇌대사 및 수술 후 신경학적 결과에 보다 유익한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소아 수면무호흡증 환아와 정상 소아에서 수면구조와 뇌파 양상 차이 (Differences of EEG and Sleep Structure in Pediatric Sleep Apnea and Controls)

  • 안영민;신홍범;김의중
    • 수면정신생리
    • /
    • 제15권2호
    • /
    • pp.71-76
    • /
    • 2008
  • 목 적:본 연구에서는 소아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수면구조와 뇌파특성을 성별, 연령이 짝 지워진 정상군과 비교하여 수면무호흡의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코골이 증상을 호소하고 소아과 의사의 임상소견상 수면무호흡증이 의심되는 15명(남:여=4:11)와 정상군 15명(남:여=5:10)을 대상으로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였다. 두 군의 수면다원검사에서 얻어진 수면구조관련 변인, 수면무호흡관련 변인과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서 얻어진 뇌파 주파수별 스펙트럼을 비교하였다. 결 과:수면무호흡증군은 정상군에 비해 무호흡지수, 호흡장애지수, 혈중산소포화도 최저값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수면무호흡증군은 수면구조 분석상 1단계 수면의 비율증가, 렘수면 비율 감소 소견을 보였으며 뇌파 스펙트럼 분석상 O1채널의 델타파 증가 소견 외에는 정상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소아수면 무호흡의 경우, 진단기준의 특성상 수면 무호흡이 심하지 않은 경우가 많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무호흡으로 인한 수면구조의 와해가 뚜렷하지 않았다. 또 각성 횟수도 성인수면 무호흡에 비해 적어서 뇌파변화도 뚜렷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소아수면 무호흡증의 일반적인 양상과 특수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Molecular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Analysis of Chicken Δ-6 Desaturase

  • Kang, Xiangtao;Bai, Yichun;Sun, Guirong;Huang, Yanqun;Chen, Qixin;Han, Ruili;Li, Guoxi;Li, Fad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호
    • /
    • pp.116-121
    • /
    • 2010
  •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C-PUFA) promote the development of brain and vision of the fetus, relieve inflammation, inhibit oral dysplasia of rumor cell, decrease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regulate arrhythmia. ${\Delta}-6$ desaturase is the rate-limited enzyme in the desaturation process. This study reports the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tissue expression of a ${\Delta}-6$ desaturase gene in the chicken. PCR primers were designed based on the predicted sequence of chicken ${\Delta}-6$ desaturase (accession number: XM421053) and used to isolate a cDNA fragment of 1,323 bp from chicken liver. Based on the 1,323 bp fragment an EST (BI390105) was obtained by BLAST. The EST and 5'nd of the 1,323 bp fragment were partially overlapped. Gene specific primers derived from the EST were used for amplification of the 5'nd. Another gene-specific primer derived from the 1,323 bp fragment was used for amplification of the 3'nd by 3'ACE. Then the three overlapping cDNA sequences obtained were assembled with DNAMAN software and a full-length ${\Delta}-6$ desaturase of 2,153 bp was obtained. The full-length cDNA contained an ORF of 1,335 bp with a 5'ntranslated region of 147 nucleotides followed by an ATG initiation codon. Stop codon TGA was at position 1,481-1,483 bp. The deduced amino acids shared an homology above 77% with bovine, mice, orangutan, rat and human. The protein sequence had three histidine-rich regions HDFGH (HisI region), HFQHH (HisII region) and HH (HisIII region), a cytochrome $b_{5}$-like domain containing a heme-binding motif and two transmembrane domains. Sequence analysis of the chicken genomic DNA revealed that the coding sequence of chicken ${\Delta}-6$ desaturase included 12 exons and 11 introns. Semi-quantitative RT-PCR showed that the ${\Delta}-6$ desaturase expression levels were in turn liver, spleen, pancreas, lung, breast muscle, heart, and abdominal fat. The expression of ${\Delta}-6$ desaturase in liv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breast muscle (p<0.01). The expression of ${\Delta}-6$ desaturase in lu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abdominal fat (p<0.01). This is the first clone of chicken ${\Delta}-6$ desaturase.

Alloxan 유도 당뇨성 흰쥐에서 조직 중 지질 수준 및 지방산 조성 변화에 관한 연구 (The Change of Tissue Lipid Level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by Alloxan-induced Diabetes in Rats)

  • 이준호;전인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273-1278
    • /
    • 2004
  • 당뇨병의 합병증 중 지질대사성 질환으로 유도되는 대사경로를 규명하고자 6주령의 흰쥐(Sprague-Dawley) 24마리를 3군으로 나누어 4주간 chemical pure diet로 사육하였다. 당뇨병을 유발하고자 alloxan을 20 mg/kg BW 또는 40 mg BW를 매주 1회 투여하였다. 혈당치를 측정하여 당뇨증상을 확인하였으며 혈청 및 간의 지질수준과 각 조직의 지방산 조성을 측정하여 당뇨병에 의한 지질대사의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Alloxan 40 mg 투여군에서 심한 당뇨병 유발로 체중감소가 크게 나타났으며, 식이섭취량과 간중량/100 g BW도 다른 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혈당의 변화는 alloxan 40 mg/kg BW 투여한 군이 다른 군에 비해 약 2배정도로 높게 나타나 당뇨병이 유발되었음을 확실하게 알 수 있었다. 혈청지질에서 cholesterol 함량은 alloxan 40 mg/kg BW 투여한 군에서 다른 군보다 다소 증가된 경향을 보였다. Triglyceride도 역시 alloxan 투여군에서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혈청 HDL-cholesterol은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HDL-/total cholesterol 비율도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다른 군보다 alloxan 40 mg/kg BW을 투여한 군이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간 지질에서 cholesterol 함량은 alloxan 40 mg/kg BW 투여군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Triglyceride 함량은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각 조직의 인지질 지방산 조성을 보면 alloxan 40 mg/kg BW 투여군에서 lionleic acid는 증가하고 반면 arachidonic acid는 감소되어 그 결과 arachidonic/linoleic acid의 비율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혈청과 비장에서는 그 경향이 뚜렷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당뇨병이 유도된 흰쥐에서 간의 중량 및 혈청의 지질이 증가되었고, 조직의 인지질에서 desaturation이 억제되었으므로 그로 인하여 지질대사에 관련된 합병증이 유도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숙아에서 발견된 부분형 DiGeorge 증후군 1례 (A Case of Partial DiGeorge Syndrome in Prematurity)

  • 성태정;고은영;김달현;오지은;권영세;임대현;손병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3호
    • /
    • pp.383-389
    • /
    • 2002
  • 저자들은 미숙아에서 청색증과 무호흡증으로 입원 치료 하던 중 저칼슘혈증으로 인한 경련이 나타난 환아에게서 흉부 X선 사진과 MRI상 흉선을 관찰할 수 없으면서 T 세포수의 감소와 부갑상선 홀몬수치 감소를 나타내고 소악증, 어구, 부리모양의 코 등의 안면 기형과 합지증, 코 역류증,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구개 범인두 부전증 등의 증상을 보이며 염색체 22q11 극소결실이 FISH검사에서 확진된 부분형 DiGeorge 증후군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소아 수면호흡장애의 예측 인자 평가 (Assessment of Predicting Factors for Pediatric Sleep Disordered Breathing)

  • 문소연;이대우;김재곤;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77-388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수면호흡장애를 가진 어린이들을 선별하기 위해 휴대용 간이수면검사를 이용한 무호흡 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AHI)를 기준으로, 치과 진료실에서 사용 가능한 측모두부계측 방사선 사진, 임상 검사, 소아수면설문지(pediatric sleep questionnaire, PSQ)에서 유용한 수치들을 찾아내고 평가하는 것이었다. 교정치료를 위해 전북대학교 소아치과에 내원한 5 - 10세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61명이 이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AHI 값이 1보다 크게 나타난 어린이들을 SDB군으로, 1 이하로 나타난 어린이들은 정상군으로 분류하였다. 61명의 어린이 중 49(80%)명이 SDB군에 포함되었다. SDB군과 정상군과의 통계 분석 결과, 휴대용 간이수면검사의 ODI(oxygen dehydration index)와 코골이 시간, 설문지를 통한 PSQ scale, 측모두부계측 방사선 사진에서 아데노이드 비대율과 하악평면에서 설골까지의 거리 그리고 gonial angel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잠재적인 SDB 환자를 선별해내기 위해 측모두부계측 방사선 사진을 통한 아데노이드 비대, 설골의 위치, gonial angle과 소아수면설문지를 평가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EFFECTS OF DIETARY VITAMIN B6 LEVELS ON LIPID CONCENTR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GROWING CHICKS

  • An, B.K.;Tanaka, K.;Ohtani,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8권6호
    • /
    • pp.627-633
    • /
    • 1995
  •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various dietary vitamin $B_6$ levels on conversion from linoleic acid to arachidonic acid in various tissues in growing chicks. Growing chicks were fed the purified diet containing 7% safflower oil with different levels of vitamin $B_6$ (0, 4, 8, 40, 80 mg per kg diet) for 14 days. Feed intake and weight gain in chicks fed the vitamin $B_6$-free diet were markedly depressed. Esterified and free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serum were significantly higher, while the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ver in chicks fed the vitamin $B_6$-free diet compared to that fed diets with vitamin $B_6$. The liver triglyceride content was also lower in chicks fed the vitamin $B_6$-free diet. The liver and serum cholesterol ester fractions in chicks fed the vitamin $B_6$-free diet showed higher rate of $C_{18:2n6}$ and lower rates of $C_{18:3n6}$, $C_{20:3n6}$ and $C_{20:4n6}$ as compared with vitamin $B_6$ fed groups. In serum phospholipid fraction of chicks fed the vitamin $B_6$-free diet, rates of $C_{20:3n6}$ and $C_{20:4n6}$ were markedly lower. As dietary vitamin $B_6$ level was increased, the rate of $C_{20:4n6}$ was slightly increased, although it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adipose tissue showed almost the same pattern as those in liver and serum.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desaturation of $C_{18:2n6}$ to $C_{18:3n6}$, elongation to $C_{20:3n6}$ or both steps might be impaired by vitamin $B_6$ deficiency in growing chicks.

신생아에서 Chloral Hydrate의 부작용의 빈도와 관련 인자 (Adverse Effects of Chloral Hydrate in Neonates: Frequency and Related Factors)

  • 이주영;윤영아;김순주;이현승;김소영;성인경;전정식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130-136
    • /
    • 2011
  • 목적: Chloral hydrate는 검사 시 진정 목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약물이나 신생아에 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신생아중환자실에서 chloral hydrate의 사용 시에 나타나는 부작용의 빈도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chloral hydrate만으로 진정이 되지 않아 추가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 부작용이 증가하는지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0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검사 시 진정 목적으로 chloral hydrate를 사용한 104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Chloral hydrate 투여 시 부작용은 41.3%에서 나타났으며 산소 포화도 감소(18.8%), 무호흡 증가(17.5%), 서맥 증가(10%), 수유량 감소(3.8%)가 있었다. Chloral hydrate 투여 시부작용은 chloral hydrate 투여 시기에 산소 투여 여부와 관련이 있었다(odds ratio [OR], 10.911: 95% confidence interval [CI], 2.082-57.178). 추가 약물 투여는 chloral hydrate 투여 시 산소 투여 여부와 관련이 있었고(OR, 4.151: 95% CI, 1.455-11.840) chloral hydrate 단독 투여 군에 비해 수유량 감소를 제외하고는 부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진정 요법이 필요한 검사 시 산소를 투여하고 있는 신생아에서 chloral hydrate의 사용은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고 추가 약물 투여의 가능성이 높다. 추가 약물 투여가 필요한 경우에는 진정 유도 후 나타나는 수유량 감소에 주의하면서 진정을 유도할 수 있겠다.

Correlations betwee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Serum Phospholipids and Blood Pressure

  • Lee, Yang-Cha-Kim;Shim, Yoo-Jin;Chung, Eun-Jung;Kim, Soo-Yeon;Yangsoo Jang;Lee, Jong-Ho
    • Nutritional Sciences
    • /
    • 제5권2호
    • /
    • pp.68-74
    • /
    • 2002
  •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sition of serum fatty acids and blood pressure are complex and controversial. Fatty acids, important constituents of biological membranes, could potentially affect vasoreactivities including blood pressure. In this study the compositions of fatty acids in serum phospholipids were compared between three types of hypertensive subjects (men, pre-menopausal women, and post-menopausal women) and their respective nrmotensive controls. Serum lipids were extracted and phospholipids were separat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The percentage of palmitic acid (16 : 0) in serum phospholipids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the percentage of stearic acid (18 : 0) was significantly lower in all three hypertensive groups, compared with their corresponding control groups. Only in the group of post-menopausal women, palmitic acid was closely associated wish increases in both systolic (SBP)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while stearic acid was associated with decreases in both SBP and DBP.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serum phospholipids behaved differently from saturated fatty acids. The ratios of products / precursor fatty acids, such as $\sumLCPUFA\omega6/18 : 2\omega$6, 20 : 4$\omega$6/18 : 2$\omega$6, ∑LCPUFA$\omega$3/18 : 3$\omega$3 and 22 : 6$\omega$3/20 : 5$\omega$3, were all clearly associated with both SBP and DBP in hypertensive, post-menopausal women. Desaturation and elongation in fatty acid metabolism could affect the bioavailability of eicosanoid precursors. Changes in the constituent fatty acids of phospholipids and eicosanoid precursors may also influence fluidity, ionic transport, hormone receptors and enzyme activities in biological membranes. In conclusion, both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in post-menopausal wome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palmitic acid,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stearic acid, in serum phospholipids. The relationships between serum phospholipid-$\omega$6 and $\omega$3 series fatty acids and blood pressure in women, especially in post-menopausal women, require further investigation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hormonal status and eicosanoid metabolism. Funker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the value of dietary manipulation of fatty acid constituents of serum phospholipids, relating to hypertension in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