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of EEG and Sleep Structure in Pediatric Sleep Apnea and Controls

소아 수면무호흡증 환아와 정상 소아에서 수면구조와 뇌파 양상 차이

  • 안영민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 신홍범 (코모키 수면센터) ;
  • 김의중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Introduction: In this study, we compared sleep structure, EEG characteristic of pediatric obstructive sleep apnea (OSA) and normal controls which were matched in sex and age. Methods: Fifteen children (male:female=4:11) who complained snoring and were suspected to have sleep apnea and their age and sex matched normal controls (male:female=5:10) have been done nocturnal polysomnography (NPSG). Sleep parameters, sleep apnea variables and relative spectral components of EEG from NPSG have been compared between both groups. Results: Pediatric OSA group were distinguished from normal controls in terms of apnea index,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and nadir of oxyhemoglobulin desaturation. Pediatric OSA group showed increased percent of sleep stage 1, decreased rapid eye movement sleep percent and increased delta power in O1 EEG channel. However other sleep parameters and spectral power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In pediatric OSA group, sleep structure parameter disruption may be not prominent as the previous studies for adult OSA group because of including mild OSA data in diagnostic criteria. In addition, EEG changes might not be distinct due to low arousal index compared to adult OSA patients. We can observ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articularity of pediatric OSA through this study.

목 적:본 연구에서는 소아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수면구조와 뇌파특성을 성별, 연령이 짝 지워진 정상군과 비교하여 수면무호흡의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코골이 증상을 호소하고 소아과 의사의 임상소견상 수면무호흡증이 의심되는 15명(남:여=4:11)와 정상군 15명(남:여=5:10)을 대상으로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였다. 두 군의 수면다원검사에서 얻어진 수면구조관련 변인, 수면무호흡관련 변인과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서 얻어진 뇌파 주파수별 스펙트럼을 비교하였다. 결 과:수면무호흡증군은 정상군에 비해 무호흡지수, 호흡장애지수, 혈중산소포화도 최저값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수면무호흡증군은 수면구조 분석상 1단계 수면의 비율증가, 렘수면 비율 감소 소견을 보였으며 뇌파 스펙트럼 분석상 O1채널의 델타파 증가 소견 외에는 정상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소아수면 무호흡의 경우, 진단기준의 특성상 수면 무호흡이 심하지 않은 경우가 많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무호흡으로 인한 수면구조의 와해가 뚜렷하지 않았다. 또 각성 횟수도 성인수면 무호흡에 비해 적어서 뇌파변화도 뚜렷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소아수면 무호흡증의 일반적인 양상과 특수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