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rmal papilla cells proliferation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7초

송라 추출물의 세포 수준에서 항노화 및 모유두세포 활성화 효과 (In Vitro Anti-aging and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Activation Effects of Usnea diffracta Vain Extract)

  • 김민정;최원영;심현우;신은진;이정노;박성민;유화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7-48
    • /
    • 2024
  • 송라(Usnea diffracta Vain.)는 송라속(Usnea)에 속하는 지의류 중 하나이며, 이전 연구에서 항산화, 항균, 항염, 항종양 및 심혈관 보호 등의 약리학적 활성이 보고되어 있으나 피부 및 모발에서의 효능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포 수준에서 송라 추출물(UDE)의 항노화 및 모유두세포 증식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송라 추출물은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UVA에 의해 증가된 MMP-1의 발현 및 상위기전인 MAPKs (ERK, p38, JNK)와 AP-1 (c-Fos, c-Jun)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송라 추출물은 인간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모발 성장인자인 VEGF 및 KGF의 mRNA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이로 인하여, 모발 증식 및 성장인자의 발현에 관여하는 ERK/CREB의 인산화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송라 추출물의 주성분 확인을 위해 송라 추출물을 농축 후 Prep-LC를 이용하여 main peak로 나타난 분획을 분리 정제하였고, NMR 및 Mess 분석을 통해 diffractaic acid로 동정하였다. Diffractaic acid는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UVA에 의해 증가된 MMP-1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인간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이를 통해 송라 추출물은 항노화 및 모유두세포 활성 증가 효능을 갖는 화장품 천연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6종의 미세조류 추출물의 탈모예방 및 두피 개선 효과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Six Species of Microalgae Extracts on Hair Loss Prevention and Scalp Improvement)

  • 정민화;이수선;김현아;황혜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45-350
    • /
    • 2018
  •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6종의 미세조류 ; Phaeodacylum tricrnutum (PT), Chaetoceros gracilis (CG), Nanochloris oculata (NO), Pavlova lutheri (PL), Chlorella ellipsoidae (CE), and Scendedemus obliquus (SO)를 이용하여 탈모 예방 및 두피 개선효과를 살펴보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에서는 SO, CG, ST9 순으로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OH 소거능 실험 결과, CG (6.6~42.1%), ST9 (26.0~44.0%), SO (7.8~44.3%)으로 유의적인 효과를 보였다. 그외에도 세포증식실험에서는, SO가 인간표피세포주인 HaCaT 세포 증식을 촉진시켰으며, CG와 SO가 모유두세포주인 HFDPC 세포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5-alpha reductase 저해능 실험결과, PT, CG, SO가 유의적으로 효소활성을 저해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 사용한 6종의 미세조류들 중, 항산화활성, 세포증식 효과, 5-alpha reductase 저해능을 보인 몇가지 조류들이 탈모예방 및 두피개선을 위한 제품개발에 좋은 원료가 될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사과 '히로사키' 캘러스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특성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Callus Extracts of Apple 'Hirosaki' for Cosmetic Materials)

  • 고승희;김영수;이진혁;김일현;김승범;노경백;신승우;정은선;박덕훈
    • KSBB Journal
    • /
    • 제28권4호
    • /
    • pp.244-248
    • /
    • 2013
  • In order to investigate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callus extracts of apple 'Hirosaki' for cosmetic materials, biological activities of its extracts including wrinkle improvement, hair growth, and anti-inflammatory effect were investigated. The callus extract showed similar activity with TGF-${\beta}$ used as positive control at 50 ${\mu}g/mL$ in the test of collagen synthesis, and increased 40% of proliferation of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Especially, in case of anti-inflammatory effect, callus extract inhibited about 50% of COX-2 expression which was known as response for intermediating inflammation, and about 70% of eotaxin-1 production which was increased by atopy dermatitis.

문주란의 모발 성장기 유도 기전 (The Mechanism of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on the Activation of Anagen)

  • 강정일;최주환;이종건;유은숙;김영호;강희경
    • 생약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48-154
    • /
    • 2017
  •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and its active component, norgalanthamine have been reported to have hair growth-promoting effect via the proliferation of dermal papilla cel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other mechanisms of C. asiaticum extract var. japonicum and norgalanthamine on the hair growth. The C. asiaticum var. japonicum extract inhibited $5{\alpha}$-reductase activity by 16%, which converts testosterone to dihydrotestosterone (DHT), a main cause of androgenetic alopecia, whereas the C. asiaticum var. japonicum extract didn't function as an opener of the $K_{ATP}$ channel. On the other hand, we examined whether norgalanthamine can inhibit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beta}$) signal pathway, which is essential in the regression induction of hair growth. Norgalanthamine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of Smad2/3 on TGF-${\beta}1$-induced canonical pathway in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C. asiaticum var. japonicum extract and norgalanthamine had the potential to influence hair growth through the inhibition of $5{\alpha}$-reductase activity and TGF-${\beta}1$-induced canonical pathway.

도라지 분획물의 항산화 및 탈모예방 효과 (Evaluation of Antioxidant Fractions and Hair Loss Prevention Effe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 정민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779-784
    • /
    • 2019
  • 도라지의 탈모예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몇가지 용매를 이용하여 도라지 분획물을 준비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두피혈관을 좁게 하여 모근으로의 영양공급을 방해함으로써 탈모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분획물인 BF와 WF는 DPPH 라디칼 소거능의 $IC_{50}$값이 각각 16.2 mg/ml와 121.8 mg/ml로,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소거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 실험결과에서도 BF와 WF 처리시 $IC_{50}$값이 각각 4.9 mg/ml와 39.8 mg/ml로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인간피부세포인 HaCaT cell 증식 실험결과, 24시간 BF와 WF 처리 시 각각 최대 31%($1{\mu}g/ml$)와 18%($1{\mu}g/ml$)로 HaCaT cell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추출물이 피부재생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탈모의 원인중의 하나인 두피의 염증에 대한 분획물의 효능을 확인하고자, RAW264.7 cell을 이용하여 염증반응 생성물인 NO와 $PGE_2$ 생성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BF와 WF 각각 최대 88.5%($0.1{\mu}g/ml$)와 88.0%($50{\mu}g/ml$)까지 NO와 $PGE_2$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낭을 구성하는 모유두세포인 HFDPC cell 증식 실험 결과, 4, 48, 72시간 처리 시 모두 HFDPC cell 증식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 사용된 도라지로부터 추출한 부탄올 분획물과 물 분획물이 탈모예방에 효과적이며, 그중에서도 특히 부탄올 분획물이 탈모예방제품의 유용한 천연재료로써의 가치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발모효과를 가지는 한방복합처방단 (Medicinal Herbal Complex Extract with Potential for Hair Growth-Promoting Activity)

  • 이준영;임경란;정택규;이명희;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77-287
    • /
    • 2012
  •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를 가지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한의학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23가지 한방소재를 선정하여 한방복합처방단을 개발하였다. 한방복합처방단을 구성하는 한방소재들은 예로부터 전통적으로 발모 및 탈모방지, 흰머리방지, 염증 치료 및 혈액순환개선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 당귀, 보골지, 측백엽, 한련초, 구기자, 복분자, 상백피, 숙지황, 여정실, 적하수오, 흑지마, 고삼, 백지, 익모초, 단삼, 도인, 몰약, 감국, 유향, 인삼, 천궁, 합환피, 현호색 등이다. 또한, 한방복합처방단의 발모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in vitro와 in vivo 평가모델을 이용하여 모발성장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In vitro 상에서는 모유두세포,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확인하였다. 또한, 흰머리방지 효과와 관련하여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멜라닌 합성능력을 확인하였다. 한방복합처방단의 in vitro 상에서의 육모효과는 C57BL/6 마우스를 이용한 in vivo 상에서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한방복합처방단은 $50{\mu}g/mL$의 농도에서 모유두 세포의 증식을 175 %까지, 섬유아세포인 NIH3T3 세포의 증식은 120 %까지 증가시켰으며, $20{\mu}g/mL$의 농도에서 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의 증식을 133 %까지 증가시켰다. 멜라닌 합성의 경우, $50{\mu}g/mL$의 농도에서 154 %까지 증가시켰다. 또한, C57BL/6 마우스를 이용한 육모효과에 있어서는 한방복합 처방단 처리 4주 후 98 % 이상의 육모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방복합처방단은 모발의 성장 촉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처방으로 사료된다.

모낭기관배양과 임상에서 제주푸른콩발효추출물의 육모 효능에 미치는 영향 (Fermented Jeju Soybean Extract Promotes Hair Growth in Human Hair Follicle Organ Culture and Clinical Trial)

  • 이용희;신승현;김세현;정규상;홍민정;박혁곤;김승훈;김은주;강영규;박병철;박원석;김수나;김형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55-263
    • /
    • 2021
  • 콩 추출물은 노화, 암, 비만 및 심혈관 질환과 같은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콩 추출물은 in vitro, in vivo 및 임상 연구에서 모발 성장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발효추출물이 일반추출물에 비해 다양하고 높은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발효된 콩 추출물의 모발 성장을 유도하는 근본적인 매커니즘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미녹시딜과 유사한 기본 매커니즘에 초점을 두고 제주푸른콩발효(FJS)추출물이 모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in vitro, ex vivo와 임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리의 연구결과, FJS 추출물은 모낭모유두세포증식, VEGF 수준 및 포타슘 채널 활성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FJS 추출물 이 함유된 토닉을 사용하였을 때, 24주 후 모발 밀도 개선을 확인한 임상결과에서도 종합적으로 입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FJS 추출물이 모낭의 미녹시딜과 유사한 매커니즘을 통해 모발 성장을 촉진하고 탈모를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Cornu cervi pantotrichum Pharmacopuncture Solution Facilitate Hair Growth in C57BL/6 Mice

  • Lee, Seon-Yong;Lee, Dong-Jin;Kwon, Kang;Lee, Chang-Hyun;Shin, Hyun Jong;Kim, Jai Eun;Ha, Ki-Tae;Jeong, Han-Sol;Seo, Hyung-Sik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2-128
    • /
    • 2016
  • Objectives: Cornu cervi pantotrichum (CCP) has been widely used in Korean and China, as an anti-fatigue, anti-aging, and tonic agent to enhance the functions of the reproductive and the immune systems. Because CCP has various growth factors that play important roles in the development of hair follicles, we examined whether CCP pharmacopuncture solution (CCPPS) was capable of promoting hair growth in an animal model. Methods: One day after hair depilation, CCPPS were topically applied to the dorsal skin of C57BL/6 mice once a day for 15 days. Hair growth activity was evaluated by using macro- and microscopic observations. Dorsal skin tissue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Expressions of bromodeoxyuridine (BrdU),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and fibroblast growth factor (FGF)-7 were examined by using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measure the messenger RNA (mRNA) expression of FGF-7. Results: CCPPS induced more active hair growth than normal saline. Histologic analysis showed enlargement of the dermal papilla, elongation of the hair shaft, and expansion of hair thickness in CCPPS treated mice, indicating that CCPPS effectively induced the development of anagen. CCPPS treatment markedly increased the expressions of BrdU and PCNA in the hair follicles of C57BL/6 mice. In addition, CCPPS up regulated the expression of FGF-7,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hair follicles. Conclusion: These results reveal that CCPPS facilitates hair re-growth by proliferation of hair follicular cells and up-regulation of FGF-7 and suggest that CCPPS can potentially be applied as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alopec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