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ressive disorder

검색결과 414건 처리시간 0.02초

우울 및 불안장애 환자에서 아동기 학대와 정서증상 및 리질리언스와의 관계 (Relationship of Affective Symptoms and Resilience with Childhood Abuse in Patients with Depressive or Anxiety Disorders)

  • 경미하;민정아;채정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8-73
    • /
    • 2013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buse and affective symptom including resilience in patients with depression or anxiety. Methods : A total 256 outpatients diagnosed with depressive disorder or anxiety disorder according to DSM IV-TR, were evaluated with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Parent-Child Conflict Tactics Scale (PCCTS),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Independent t-test, Chi-square analysis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s of pati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symptoms including resilience and childhood abuse. Results : Among 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patients with childhood abuse history were significantly higher rate in patients who were living alone and unemployed. In affective symptoms, patients with childhood abuse history were significant more severe in depressive symptoms, and state anxiety score than patients without history of childhood abuse. Patients with childhood abuse history had higher score for trait anxiety and lower score for resilience than patients who had no history of childhood abuse. Conclusion : These finding suggest that history of childhood abuse might be risk factor on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severity. And this might be a predictable factor of poor treatment outcome.

청소년의 우울증과 우울 행동 장애에서의 부모 양육 태도에 관한 연구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PARENTAL REARING BETWEEN DEPRESSION AND DEPRESSIVE CONDUCT DISORDER IN ADOLESCENCE)

  • 전성일;이정호;이기철;최영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1호
    • /
    • pp.34-43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에서의 우울증과 우울 행동 장애 환자에서 우울의 정도와 행동 장애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두 환자 집단의 부모 양육 태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밝히고 또한 아버지 어머니의 양육 태도와 우울, 행동 장애의 정도와의 상관 관계를 알아봄으로서 이 두가지 정신 병리의 기전에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 태도가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를 밝히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저자들은 우울증 환자군 22명과 우울행동 장애 환자군 16명, 정상 대조군 24명을 대상으로 소아 우울 척도(CDI), DSM-111-R에 의한 부모 평가 행동 장애 척도,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 형태 검사(PBI)를 시행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우울증 환자와 우울행동 장애 환자사이에서 우울 정도는 의미 있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2) 어머니의 돌봄이나 과보호는 우울증과 우울행동 장애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3) 아버지의 돌봄도 두 환자군간의 차이가 없었지만 아버지의 과보호는 우울행동 환자군에서 우울증 환자군이나 정상 대조군보다 의미있게 높았다. 세 집단을 전체로 보았을때는 (1) 우울의 정도와 행동 장애의 정도는 정적인 상관 관계가 있었다. (2) 어머니의 과보호나 돌봄은 행동 문제와는 무관하고 우울과 상관 관계가 있었다. (3) 아버지의 돌봄은 우울이나 행동 장애의 정도와 무관하였다. (4) 아버지의 과보호는 우울정도와는 상관 관계가 없지만 행동 문제와는 상관 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우울증에서 아버지의 과다한 간섭과 보호가 행동 장애라는 정신 병리를 유발하는 중요한 한가지 요소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의 위험인자들에 대하여 인식하고, 약물의 용량조절시에도 주의를 하여야 한다. 가능한 발병 위험인자들에 관해서도 검토하였다. 받은 아동은 8.6% 였고 우수의 평가를 받은 아동은 30.4% 양호의 평가를 받은 아동은 52%, 불량의 평가를 받은 아동은 8.7%였다. 추적도사의 최우수의 평가를 받은 아동은 21.7%였고 우수는 13%, 양호는 21.7%, 불량은 34.8% 였다. 치료성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변수는 지능지수로 나타났다. 8) 대상군을 공생형 함구증(symbiotic mutism), 언어공포성 함구증(speech phobic mutism), 반응성 함구증(reactive mutism), 수동-공격성 함구증(passive aggressive mutism)으로 분류하였을때 각각 65%, 8.6%, 12%, 30%였다. 지능지수에 따라 정신지체로 분류된 7명과 정상지능군에 속하는 9명을 비교적 언어발달 및 성격특성, 가족역동, 치료성과 등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X>과잉행동(過剩行動)${\cdot}$공격성(攻擊性)${\cdot}$비행요인(非行要因)에서도 호전양상을 보였다. 이와같은 결과는 이 두 약물이 모두 주의력(注意力)과 인지기능(認知機能)을 증진시키기는 하였으나, 보다 뚜렷한 변화는 methylphenidate 투여후에 볼 수 있었다. 특히 methylphenidate투여후 연속과제수행(連續課題遂行)에서 민감도(敏感度)와 반응오류수(反應誤謬數)의 호전이 있었으나 반응기준(反應基準)에는 변화가 없었다는 소견, 그리고 단기기억수행(短期記憶遂行)에서의

  • PDF

우울증 치료에서 빠른 효과와 적은 부작용을 가진 새로운 N-Methyl-D-Aspartate(NMDA) 수용체 길항제 (Other N-Methyl-D-Aspartate (NMDA) Receptor Antagonists with a Rapid Onset of Action and Less Side Effect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 최범성;이화영
    • 생물정신의학
    • /
    • 제22권4호
    • /
    • pp.149-154
    • /
    • 2015
  • Mood disorder is a common psychiatric illness with a high lifetime prevalence in the general population. Many prescribed antidepressants modulate monoamine neurotransmitters including serotonin, norepinephrine and dopamine. There has been greater focus on the major excitatory neurotransmitter in the human brain, glutamate, in the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Recently, ketamine, an N-methyl-D-aspartate receptor antagonist, has received attention and has been investigated for clinical trials and neurobiological studies. In this article, we will review the clinical evidence for glutamatergic dysfunction in MDD, the progress with ketamine as a rapidly acting antidepressant, and other N-methyl-D-aspartate receptor antagonist for treatment-resistant depression.

주요우울증 환자에서 일주기 형태에 따른 양극성 경향, 자살 사고, 청각유발전위와의 관련성 : 예비 연구 (Chronotype in Relation to Bipolarity, Suicidal Ideation, and Auditory Evoked Potentials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 Preliminary Study)

  • 박영민;이승환
    • 생물정신의학
    • /
    • 제21권1호
    • /
    • pp.14-20
    • /
    • 2014
  • Objective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putative relationship between chronotype and suicidality or bipolarity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Method Nineteen outpatients who met the criteria for MDD according to the fourth edition of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text revision were recruited for the current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based on their Basic Language Morningness (BALM) scores (dichotomized according to the median BALM score). The Loudness Dependence of Auditory Evoked Potentials (LDAEP)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s before beginning medication with serotonergic agents. In addition, K-Mood Disorder Questionaire (K-MDQ), Beck Scale for Suicidal Ideation (BSS), Beck Hopelessness Scale (BHS), Barratt Impulsiveness Scale (BIS) were applied. Results The K-MDQ, BSS, BHS, BIS score was higher for the eveningness group than for the morningness group. However, the LDAEP,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amilton Anxiety Scale scor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m.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total BALM score and the total K-MDQ, BSS, and BHS scores (r=-0.64 and p=0.0033, r=-0.61 and p=0.0055, and r=-0.72 and p=0.00056, respectively). Conclusions Depressed patients with eveningness are more vulnerable to the suicidality than those with morningness. Eveningness is also associated with bipolarity.

산림활동이 우울증 환자들의 호전에 미치는 영향: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과 병원 프로그램 집단, 산림욕 집단, 대조군 비교 연구 (Synergistic Effect of Forest Environment and Therapeutic Program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 우종민;박상미;임성견;김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677-68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숲 환경을 이용한 주요우울장애의 정신사회적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대조군 비교 연구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다. 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주요우울장애로 진단 받고 현재 정신과 외래에서 항우울제 약물치료 중인 사람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각각 네 집단으로 나뉘어 세 집단은 각각 산림에서 시행한 치유 프로그램, 병원에서 시행한 치유 프로그램, 단순 산림욕에 참여하였고, 나머지 한 집단은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않고 일반 진료만 받은 대조군이었다. 이들은 모두 프로그램 전후의 우울증상 변화, 생리적 지표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Hamilton Rating Scales for Depression(HRSD), Montgomery-Asberg Depressin Rating Scales(MADRS),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hort Form Health Survey Questionnaire(SF-36), Heart Rate Variability(HRV)검사를 받았다. 연구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의 HRSD 점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MADRS 점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 병원 프로그램 집단이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미한 호전을 보였다. HRSD 7점 이하로 정의되는 관해율은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이 가장 높았다. 또한 SF-36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에서만 건강 상태와 관련된 삶의 질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Heart Rate Variability(HRV)에서도 생리적 이완감을 나타내는 HF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산림환경을 이용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외래 치료 중인 우울증 환자에게 적용했을 때 우울증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진 않지만, 우울증상 감소와 관해율에 있어서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 병원 프로그램 집단, 산림욕 집단, 대조군 순으로 좋은 결과를 보였다.

정신병적 우울증의 치료 전략 (Treatment Strategies for Psychotic Depression)

  • 이소영;정한용
    • 생물정신의학
    • /
    • 제13권4호
    • /
    • pp.234-243
    • /
    • 2006
  • 정신병적 우울증의 심한 정도와 나쁜 예후, 그리고 현재까지의 연구 실적을 고려했을 때, 임상의사들은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한 우울증과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우울증을 구분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자들은 체계적인 검색을 통해 광범위하게 조사를 하였으나, 정신병적 우울증 환자의 약물치료에 대한 근거는 아직 부족한 것으로 생각한다. 소수의 연구 결과들이지만 현재까지 발표된 근거에 의하면, 항우울제와 항정신병약물의 병합치료와 전기충격요법이 그 효과에 대한 근거 수준이 가장 높아서 정신병적 우울증 환자를 위한 일차적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최근에 항우울제 단독치료가 항우울제와 항정신병약물의 병합치료에 비해 효과 면에서 떨어지지 않는다는 분석 결과가 발표되면서 항우울제-항정신병약물 병합치료법과 항우울제를 사용하다가 필요시에 항정신병약물을 추가하는 방법 둘 다 권고된 바 있다. 이는 기존 치료 권고 사항과 대조가 되기 때문에, 향후 이러한 관점에서 기존의 치료 전략들이 어떻게 영향을 받을지 주목된다. 그러나 적어도 정신병적 우울증 환자에게 항정신병약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은 항우울제와 병합하였을 때 보다 덜 효과적이므로 항정신병약물 단독으로 시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데에는 연구자들 간에 의견이 일치하고 있다. 항우울제 중에서는 삼환계 항우울제에 대한 근거 수준이 가장 높고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의 경우 현재는 근거가 부족하나 앞으로 유망할 것으로 보인다. 항우울제와 항정신병약물 병합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부작용으로 인해 투여할 수가 없을 경우에는 항우울제의 종류를 바꾸거나 lithium을 강화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실제 임상에서는 환자 개개인의 위험과 이득을 고려하여 약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선택된 약물을 충분한 양, 그리고 충분한 기간 동안 시도했는지도 중요하다. 이와 함께 부작용의 출현에 대해 잘 모니터링을 해야 하고, 특히 우울증 자체가 악화되는 것과 구분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임상의사들은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하는 우울증 환자의 치료 전략을 현재까지 수행된 연구 근거의 양과 수준을 감안하여 받아들여야 하고, 아직까지 명백한 결론을 이끌어내기에는 부족하기 때문에 향후 이에 대한 많은 체계적 연구들이 필요할 것이다.

  • PDF

다면적 인성검사 II 재구성판으로 살펴본 주요우울장애 자살 시도자의 심리적 특성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er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using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Restructured Form)

  • 최지현;박은희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1호
    • /
    • pp.1-10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MMPI-2-RF를 통해 주요우울장애 환자군 중 자살 시도자들의 심리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한 입원 및 외래 환자 중 한국판 K-MINI-Plus 5.0을 통해 DSM-IV의 주요우울장애 진단적 준거를 충족시키는 자 1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C-SSRS를 사용하여 자살 시도군(n=43)과 비시도군(n=64)으로 분류하였고 ANOVA를 통해 두 집단 간 MMPI-2-RF 척도 점수에서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더불어 우울 증상의 심각도와 공존질환의 이환 여부가 자살 시도 여부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고려해 이를 공변인으로 하여 추가적으로 ANCOVA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 과 본 연구에서 자살 시도군이 비시도군에 비해 효능감 결여(NFC), 대인관계 수동성(IPP), 자살/죽음 사고(SUI) 척도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0.05). 다만 자살/죽음 사고(SUI) 척도의 경우 우울 증상과 공존질환의 이환 여부를 통제한 이후에는 두 집단 간 차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향성을 보여주었다(p<0.10).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MMPI-2-RF가 중등도 이상의 증상 심각도를 지닌 주요우울장애 집단에서 실제 자살 시도로 이행될 위험이 있는 환자를 심리적 특성을 확인하는데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도서(섬)지역 노인의 우울정도에 따른 식행동단계와 영양소 섭취상태 조사 (A Survey on Stages of Dietary Behavior Change and Nutrient Intake Status of Old People in Islands Areas According to Depression Degree)

  • 박필숙;박경옥;정구범;천병렬;최미화;박미연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349-1361
    • /
    • 2009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dietary behavior change and nutrient intake status owing to a depression degree for 143 people over 65 years old living in Echeong and Hansan islands area, South Korea. The depression degree was classified into non depression, minor depression and depressive disorder groups using.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CES-D) scale for 143 subj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depression degree significantly made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p<.001), marital status (p<.05), self-related economic status (p<.001) and living expenses (p<.05). The stage of dietary behavior according to the depression degree was as follows; the non depression group was 57.6%, the minor group was 46.8% and the depressive disorder group was 27.1% of the subjects. The intake frequency of the cereal group (p<.05) and fruit group (p<.01)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food group intake status owing to the depression degree. Mean adequacy ratio(MAR)[13], MAR[10], and MAR[4] of the depressive disorder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n depression and minor depression groups. Each average of MAR[13], MAR[10], and MAR[4] for the subjects were $0.68{\pm}0.2$, $0.67{\pm}0.2$, and $0.55{\pm}0.2$. Concerned about the nutrients over 1.0 index of nutritional quality(INQ) 8 nutrients of protein, Phosphorous, iron, zinc, vitamin A, vitamin $B_6$, niacin and vitamin C belonged to the non depression group. Additionally, 6 nutrients of protein, Phosphorous, iron, zinc, vitamin $B_6$ and niacin were included for minor depression and depressive disorder groups.

한글판 우울증 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의 신뢰도와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 박승진;최혜라;최지혜;김건우;홍진표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9-124
    • /
    • 2010
  • Objective :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 9) was examined in Korean patients with depressive symptoms. Methods : Eighty six outpatients diagnosed as major depressive disorder or depressive episode of bipolar I disorder according to the DSM-IV criteria were assessed with the PHQ-9,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DRS), the Quick Inventory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Self Report (QIDS-SR), an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Results :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from the PHQ-9 was 0.81. And the correlations of each item with the total sco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0.28-0.70, p<0.01). The test-retest correlation coefficient (r=0.89, p<0.01) was relatively high and correlations of the PHQ-9 with the HDRS, QIDS-SR and CES-D were 0.70, 0.81, and 0.81 respectively. Conclusion :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PHQ-9 could be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the screening and assessment of depressive patients. The Korean version of PHQ-9 will be a useful tool for screening depressive symptoms in Korea.

주요우울장애 환자에서 24시간 심박변이도 분석 (Analysis of Twenty-Four Hours Heart Rate Variability among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 강중근;이선미;강은호;우종민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0-146
    • /
    • 2013
  • Objective : There have been few comprehensive studies on the analysis of 24-hour HRV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utonomic nerve system of patients with a MDD with healthy patients and to examine the physiologic and clinical effects of 24-hour HRV by analyzing whether the HRV demonstrates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after improving the symptoms in patients with a MDD. Methods : The 24-hour HRV was measured in patient groups with a MDD (n=16) and control groups (n=16). The patients with a MDD received the follow up test for two months after the treatment.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indexes (SDNN, rMSSD, SDNN index, and pNN50) of time-domain analysis and the indexes (TP, VLF, LF, HF, and ULF) of frequency-domain analysis of HRV between patient and control groups. The means of RR, SDNN, SDANN, and TP increased after two month of the treatment, comparing them with before the treatment,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 The results of 24-hour HRV analysis indicated significant decrease of HRV indexes among MDD patients which may suggest decrease of parasympathetic nervous fun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