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arture time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29초

출발시각기준 링크통행시간 정보의 공간적 설계 (연속류를 중심으로) (Optimal Link Length Design for Departure Time-based Link Travel Time Information)

  • 김재진;노정현;남궁성;박동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5-155
    • /
    • 2007
  • 본 연구는 출발시각기준 실시간 통행시간 정보를 제공을 위한 공간적 설계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적정 링크길이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간 통행시간 정보제공 오차를 정의하고, 기존의 방법보다 개선된 실시간 통행시간 제공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연구대상에 적용한 결과 첫째, 실시간 통행시간 정보제공을 위한 공간적 설계는 경로단위보다는 링크단위가 오차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시간 통행시간 정보 제공방법 비교에서는 기존방법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동적특성 반영)이 오차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셋째, 적정 링크길이는 약 4km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출발시각기준 실시간 통행시간 정보제공을 위한 공간적 설계는 동적특성을 반영한 링크단위로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사용자 제한이 적용되는 2계층 대기행렬 네트워크 구조의 이탈과정에 관한 분석 (A Study of Departure Process on the Open and Nested Population Constrained Tandem Queueing Network with Constant Service Times)

  • 이영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13-121
    • /
    • 2009
  •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departure process from the open and nested tandem Queueing network with population constraint and constant service times. It is known that the Queueing network can be transformed into a simple Queueing network which can be easy to analyze. Using this simple Queueing network, upper and lower bounds on the interdeparture time are obtained. We prove that the variance of the interdeparture time is bounded within these two bounds. Validation against simulation data is shown that how it works the variance of the interdeparture time within two bounds. These bounds can be applied to obtain the better variance of the interdeparture time using a suitable method.

Performance Analysis of a Finite-Buffer Discrete-Time Queueing System with Fixed-Sized Bulk-service

  • Chang, Seok-Ho;Kim, Tae-Sung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9B호
    • /
    • pp.783-792
    • /
    • 2003
  • We consider a finite-buffer discrete-time queueing system with fixed-size bulk-service discipline: Geo/ $G^{B}$1/K+B.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performance analysis of this system that has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i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and other related telecommunication systems. For this purpose, we first derive the departure-epoch probabilities based on the embedded Markov chain method. Next, based on simple rate in and rate out argument, we present stable relationships for the steady-state probabilities of the queue length at different epochs: departure, random, and arrival. Finally, based on these relationships, we present various useful performance measures of interest such as the moments of number of packets in the system at three different epochs and the loss probability. The numerical results are presented for a deterministic service-time distribution - a case that has gained importance in recent years.s.

실시간 차선 이탈 경고 및 Smart Night Vision을 위한 HDR Camera Platform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for Real-time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 Smart Night Vision Based on HDR Camera Platform)

  • 박화범;박지오;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3-126
    • /
    • 2017
  • 최근 발전되고 있는 정보통신 IT기술은 자동차 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치며 발전하고 있다. 근래에는 운전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위해 IT 기술이 접목된 장치들이 장착 되고 있다. 하지만 편의성이 증가된 장점과 함께 운전자의 주의 분산으로 인해 교통사고를 증가시키는 단점도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여러 방식과 종류의 안전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Radar Sensor나 Stereo Video 영상을 이용하지 않고 보행자 및 차선 이탈 경보를 알려주는 다기능 카메라 주행 안전 System을 구현하는 방법과 차선 이탈 경보 Software 결과 분석에 관한 연구를 제안하고 한다.

  • PDF

An Optimal Solution Algorithm for Capacity Allocation Problem of Airport Arrival-Departure

  • Lee, Sang-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77-83
    • /
    • 2015
  • This paper suggests heuristic algorithm to obtain optimal solution of minimum number of delay aircraft in airport arrivals/departures problem. This problem can be solved only mathematical optimization method. The proposed algorithm selects the minimum delays capacity in various airport capacities for number of arrivals/departures aircraft in $i^{th}$ time interval (15 minutes). In details, we apply median selection method and left-right selection method. This algorithm can be get the optimal solution of minimum number of delay aircraft for sixes actual experimental data.

Convergence and Measurement of Inter-Departure Processes in a Pull Serial Line: Entropy and Augmented Lagrange Multiplier Approach

  • Choe, Sang-Woong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1권1호
    • /
    • pp.29-45
    • /
    • 2002
  • In this study, we consider infinite supply of raw materials and backlogged demands as given two boundary conditions. And we need not make any specific assumptions about the inter-arrival of external demand and service time distributions. We propose a numeric model and an algorithm in order to compute the first two moments of inter-departure process. Entropy enables us to examine the convergence of this process and to derive measurable relations of this process. Also, lower bound on the variance of inter-departure proc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ving the existence and uniqueness of an optimal solution for a numeric model and deriving the convergence order of augmented Lagrange multipliers method applied to a numeric model. Through these works, we confirm some structural properties and numeric examples how the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our study.

식품 배송의 특성을 고려한 차량경로문제의 발견적 해법 (Heuristic for Vehicle Routing Problem with Perishable Product Delivery)

  • 강경환;이영훈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65-272
    • /
    • 2007
  • The purpose of Vehicle Routing Problem (VRP) is to design the least costly (distance, time) routes for a fleet of identically capacitated vehicles to serve geographically scattered customers. There may be some restrictions such as the maximal capacity for each vehicle, maximal distance for each vehicle, time window to visit the specific customers, and so forth.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VRP to minimize the sum of elapsed time from departure, where the elapsed time is defined as the time taken in a moving vehicle from the depot to each customer.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time taken from departure in the delivery of perishable products or foods, whose freshness may deteriorate during the delivery time. An integer linear programming formulation is suggested and a heuristic for practical use is constructed. The heuristic is based on the set partitioning problem whose performances are compared with those of ILOG dispatcher. It is shown that the suggested heuristic gave good solutions within a short computation time by computational experiments.

복합 통행행태모형을 이용한 동적 기.종점 통행량 추정 (Dynamic OD Estimation with Hybrid Discrete Choice of Traveler Behavior in Transportation Network)

  • 김채만;조중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9-102
    • /
    • 2006
  • 정적 기 종점 통행량을 가정함으로써 갖는 동적 시뮬레이션 모형의 현실 모사 능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동적 기 종점 통행량 추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동적 기 종점 통행량 추정은 통행자의 출발시간, 통행수단. 통행경로 선택 행태모형을 결합한 복합통행행태 수요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요 시뮬레이션 모형과 기 개발된 공급 시뮬레이션 모형인 LiCROSiM-P를 결합하여 통합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축하였다. 단속류/연속류가 공존하는 다경로 가로망에서 출발시간/수단선택/통행경로 선택모형은 AGtt(기 종점통행시간의 시뮬레이션 시간과 기대치의 차이 백분율)는 수렴하지 않고, 평균스케줄지체는 안정 상태로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 시뮬레이션 모형은 교통시설공급 변화와 통행자의 속성 변화에 따른 기 종점 통행량 변화 추정과 효과분석이 가능함을 모형의 적용을 통해 제시하였다. 따라서 통합시뮬레이션 모형은 수요관리정책, 교통시설변화, 교통정보제공 등이 가져오는 출발시간, 통행수단, 통행경로변화를 반영한 시스템의 효과분석이 가능하다

자율주행 차량의 도로 평면선형 기반 차로이탈 허용 범위 산정 (Estimating a Range of Lane Departure Allowance based on Road Alignment in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 김영민;김형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81-90
    • /
    • 2016
  • 자율주행 차량은 변화하는 도로환경에 스스로 대응 가능하여야 하여, 인간 운전자 수준의 도로환경 인지성능을 확보하여야 한다. 자율주행 차량의 센서 중 영상센서는 주행방향 결정 및 차로이탈 방지 등 조향제어 수행을 위하여 차선인식 기능을 수행한다. 현재 제시된 영상센서의 차선인식 성능기준은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과 관련된 '운전자 보조' 관점의 성능기준으로서, 자율주행 차량의 '주체적 인지'를 위한 성능조건과 상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 시 차선인식이 비정상적으로 지속되어, 직선구간에서 곡선구간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조향실패에 따라 차로를 이탈하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차량 이동궤적을 기반하여 차로이탈 상황을 모형화하고, 차로이탈 허용 수준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 영상센서 성능수준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승용차 조건에서 차선인식 기능이 1초 이상 연속적인 오작동을 일으킨다면 차로이탈에 의한 위험한 상황에 놓일 수 있으며, 자율주행 차량을 위하여 현재 ADAS 영상센서 성능평가 방법에서의 차로이탈조건보다 심각한 차로이탈상황을 고려한 영상센서 성능평가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계제한시 선박 출항통제규정 개선에 관한 실증적 연구 -평택항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to Improve Vessel Departure Control Regulations for Restricted Visibility, Focused on Pyeongtaek Port)

  • 유상록;정재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858-862
    • /
    • 2018
  • 본 연구는 시계제한으로 인한 선박 출항통제 해제 후 교통량이 폭주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현 선박통제규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평상시의 교통량과 출항통제 해제 후의 교통량를 분석하기 위해 AIS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출항통제 유무에 따른 피크시간 교통량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통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만톤 미만 그룹에서는 t-test를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교통량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만톤 이상 그룹에서는 Mann-Whitney test 결과, 선박 통제 유무에 따른 교통량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항통제 해제 후 1만톤 미만의 중소형 선박들은 평상시 보다 교통량이 142 % 증가하여 1만톤 이상 대형선박과 동시에 출항하게 됨에 따라 교통 폭주를 야기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교통량 폭주에 따른 선박 충돌사고 개연성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현 규정을 길이 160 m 미만 또는 총톤수 1만톤 미만의 선박은 항해 가능하도록 개선할 것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