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ure discomfort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초

하악 소수 잔존치에서 텔레스코픽 의치를 이용한 수복 증례 (A case report on telescopic denture with a small number of residual teeth in mandible)

  • 오상민;이재훈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46-50
    • /
    • 2015
  • 하악의 잔존 치조제가 얇고 낮은 증례에서 국소의치를 이용한 수복은 잔존 치조제에서 적절한 전후방의 안정성 및 지지를 얻을 수 없어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고 치조제에 과도한 교합력을 주게 된다. 또한 서로 멀리 떨어진 소수의 잔존치가 남았을 경우 스플린트하기 어렵고, 스플린트를 하지 않을 경우 고립 지대치가 되어 현명한 치료가 될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 텔레스코픽 시스템은 클래스프 의치에서 발생될 수 있는 치아에 작용하는 무리한 측방하중을 줄여주며, 안정적이고 확실한 유지력과 견고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증례는 전반적인 중등도의 치주염으로 인해 상악은 무치악, 하악은 소수 잔존치가 남은 상태에서, 상악은 총의치, 하악은 텔레스코픽 의치로 수복한 증례이다. 치료 계획 시 서로 멀리 떨어진 하악 소수 잔존치가 남고, 적절한 지지를 얻을 수 없는 치조제를 가져 클레스프 의치를 수복하더라도 많은 불편함과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텔레스코픽 의치로 수복하였다.

엇갈린 교합 및 교합평면 부조화를 가진 부분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증례 (Rehabilitation of a crossed-occlusion patient using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Locator® attachment: A case report)

  • 김동운;최정윤;서재민;이정진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7호
    • /
    • pp.513-520
    • /
    • 2016
  • In crossed occlusion, displacement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is likely to occur during function due to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abutment and supporting tissue. It increases discomfort to the patient. In addition, adverse effect on the residual ridge and abutment can induce an unfavorable prognosis of the denture. In this case, a small number of implants can be placed in strategic locations. Attachment can be added for additional support and retention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assisted by implants. This article describes the rehabilitation of a crossed occlusion patient using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Locator$^{(R)}$ attachment. After 24 months, the patient was satisfied with the aesthetic and function of the prosthesis that is maintained stable.

  • PDF

Wettability of denture relining materials under water storage over time

  • Jin, Na-Young;Lee, Ho-Rim;Lee, Hee-Su;Pae, Ahra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권1호
    • /
    • pp.1-5
    • /
    • 2009
  • STATEMENT OF PROBLEM. Poor wettability of denture relining materials may lead to retention problems and patient discomfort. PURPOS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evaluate wettability of nine denture relining materials using contact angle measurements under air and water storage over time. MATERIAL AND METHODS. Nine denture relining material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wo heat-curing polymethyl-methacrylate(PMMA) denture base materials: Vertex RS, Lang, one self-curing polyethyl-methacrylate(PEMA) chairside reline resin: Rebase II, six silicone relining materials: Mucopren soft, Mucosoft, $Mollosil^{{R}}$ plus, Sofreliner Touch, GC $Reline^{TM}$ Ultrasoft, Silagum automix comfort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Contact angles were measured using high-resolution drop shape analysis system(DSA 10-MK2, KRUESS, Germany) under three conditions(in air after setting, 1 hour water storage, and 24 hours water storage). Nine material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material composition(Group 1: PMMA, Group 2: PEMA, Group 3: Silicone). Mean values of contact angles were compared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followed by a Scheffe's post hoc analysis($\alpha$=0.01). RESULTS. Contact angles of materials tested after air and water storage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Group 1(PMMA), Group 2(PEMA), Group 3(Silicone). Heat-cured acrylic denture base resins had more wettability than silicone relining materials. Lang had the highest wettability after 24 hours of water storage. Silicone relining materials had lower wettability due to their hydrophobicity. Wettability of all denture relining materials, except Rebase II and $Mollosil^{{R}}$ plus, increased after 24 hours of water storage. CONCLUSIONS. Conventional heat-cured resin showed the highest wettability,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heat-cured acrylic resin is material of choice for denture relining materials.

탄성의치에 의한 구개부 골노출 증례 (Palate bone exposure from flexible denture: a case report)

  • 진수윤;김미경;김희중;이경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1호
    • /
    • pp.19-24
    • /
    • 2017
  • 탄성의치는 심미성, 유연성, 생체적합성 등의 장점이 있어서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재료 자체의 유연성에 의한 의치의 운동 때문에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저작 시 의치가 조직면으로 움직이면서 지지조직을 자극하게 되고, 이런 자극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외상과 잔존치조제의 급속한 흡수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증례에서는 안정, 유지 및 지지가 부족한 탄성의치를 장기간 사용하면서 지지점막의 지속적인 자극으로 인한 구개골 노출이 발생하였다. 안정성 및 유지력이 확보된 새로운 의치를 제작하여 환자의 불편감이 감소하였고 구개골 노출이 치유되었다. 탄성의치를 사용할 수 있는 증례를 신중하게 선택해야 하며 정기검진 및 적절한 처치를 시행하여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어야 한다.

총의치 환자 만족도의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TISFACTION WITH COMPLETE DENTURES)

  • 이석원;정문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33-649
    • /
    • 2005
  • Statement of problem: In spite of the progress in techniques and materials in complete denture prosthodontics, patients still complain of discomfort after the insertion of complete dentures. For the last several decades many prosthodontists tried to find factors influencing patient complete denture satisfaction, however the reported results became a controversy.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verify the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tisfaction with complete denture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33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dental hospital of Yonsei University, 4 to 6 weeks after the complete denture delivery,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on complete denture satisfaction, social variabl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The Prosthodontists who treated the patients with complete dentures were also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on evaluation of patients' oral condition and technical quality of dentures. The factors influencing patients' satisfaction with their complete dentures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mong the patients'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variables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economic status, housing condition, other people's opinions of dentures and gender were the influential factors on patients' satisfaction with complete dentures. Patients showing the symptoms of depression, one of the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complete dentures. In spite of the good oral condition, patients were dissatisfied with complete dentures, where-as the technical quality of dentures did not influence patients' complete denture satisfaction.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patients' socio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variables rather than clinical variables including oral condition and technical quality of dentures were the influential factors on complete dentur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not only enable prosthodontists to predict the success and failure of complete denture treatment, but also help both prosthodontists and patients be informed of the essentials of increasing satisfaction with complete dentures.

하악 편측 소수치 잔존 환자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사용하여 양측성 후방 연장 국소의치로 수복: 증례보고 (Restoration of bilateral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a fixed implant prosthesis in unilateral partial edentulous patient: A case report)

  • 기원진;박재호;임현필;윤귀덕;박상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76-181
    • /
    • 2019
  • 편측 부분 무치악에서 소수의 치아로 지대치를 형성하여 가철성 국소의치 제작 시 환자의 불편함 및 지대치 손상 등으로 인해 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다. 최근 편측 부분 무치악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지대치로 사용하여 양측성 후방 연장 국소의치로 제작하는 방법이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사용하여 환자의 수직 악간관계를 보존하고 본인의 치아와 같은 형태를 부여하여 환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며 향상된 저작 기능의 결과를 제공하였다. 또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통하여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예상되는 편측성 후방 연장 국소의치를 역학적, 기능적으로 유리한 양측성 후방 연장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국소의치의 지지, 유지, 안정 요소의 향상을 가져왔으며 환자에게 경제적 및 사용 시 만족감을 가져왔다.

총의치 환자 만족도에 대한 정신의학적 측면 (PSYCHOLOGICAL ASPECT OF PATIENT SATISFACTION AND ACCEPTANCE OF COMPLETE DENTURES)

  • 정문규;이석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94-505
    • /
    • 1999
  • In spite of the progress in techniques and materials of the prosthodontic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complete edentulous arches, prosthodontists still face patients' complaints about dissatisfaction and discomfort from their dentures. In the past several decades, prosthodontists tried to fi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atient's satisfaction with dentures. However the results are contraversial especially with the psychological factor. In this study using 'patient denture satisfaction questionnaire' and Hopkins Symptom Checklist, we tri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tient's denture satisfaction and the patient's psychological aspects. 23 complete edentulous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September 1998 to June 1999 for complete denture treatment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4 to 6 weeks after the upper and lower complete delivery. After the measurement of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s, correlations between the patient's general satisfaction with their new upper and lower complete dentures and the other satisfaction questions including the satisfactions with esthetics, retention, mastication, speech, comfort and other people's opinion and between the patient's general satisfaction with their new upper and lower complete dentures and the 5 symptoms of Hopkins Symptoms Checklist including somatic, obsessive-compulsive,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and anxiety were analyzed. Among the several satisfaction questionnaire items, comfort with the lower denture showed highest relation to the patient's general satisfaction with dentures. However, only the anxiety scale of Hopkins Symptoms Checklist among the other symptom scales was related to the patient's general satisfaction with dentures. The two questionaires used in this study turned out to be valid means of analyzing patient's dent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status before and after the complete denture treatment.

  • PDF

하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에 대합되는 상악 총의치 하방의 골흡수에 대한 고찰 및 증례보고 (Maxillary Resorption under Complete Dentures Opposing Mandibular Implant Supported Fixed Prosthesis: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Report)

  • 김보국;김유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4호
    • /
    • pp.426-433
    • /
    • 2013
  • 완전 무치악 환자를 총의치로 수복할 때 특히 하악의 경우 유지, 지지 면적이 상악보다 좁아 의치의 탈락, 불량한 지지 및 안정성, 통증을 유발하여 의치의 사용이 불편할 수 있다. 이런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수복은 심미성, 안정성, 저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상악 완전무치악은 구개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총의치로 수복하였을 때 많은 환자들이 잘 적응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에 상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의 치료 옵션으로 하악은 임플란트로 지지를 받는 고정성 보철물 또는 임플란트 오버덴쳐로 수복하고 상악은 연조직에 의해 지지를 받는 전통적인 총의치로 수복하는 전악 보철수복이 제시되었다. 이 때 상악 총의치에 대합하는 하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이 상악 잔존치조제의 골흡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문헌고찰과 함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CAD-CAM을 이용한 RPD 지대치의 retrofit crown 제작 증례 (Fabricating retrofit crowns to an existing removable partial denture by CAD-CAM: a case report)

  • 이혁순;김성아;방주혁;김성용;장희원;이근우;이용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40-145
    • /
    • 2024
  • 가철성 국소의치를 사용하는 환자의 잔존 치아가 우식, 마모, 부식, 파절 등의 이유로 보철 수복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가철성 국소의치의 구조물과 접촉하는 부분이 많은 지대치의 보철 수복이 필요한 경우, 서베이드 크라운을 제작 후 가철성 국소의치를 새로 제작하는 것이 통상적인 방법이다. 이럴 경우, 환자가 적응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발생한다. 한편, 손상된 치아 외에 구강 내 다른 부분에서 가철성 국소의치의 지지, 유지 및 안정을 일부분 제공하는 경우 기존 국소의치의 사용은 임상적으로 양호하다. 이 때 기존 국소의치를 유지하면서 해당 치아를 보철 수복한다면, 환자는 불편과 비용을 줄이면서 기존 가철성 국소의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국소의치에 맞추어 보철을 제작하는 retrofit crown 제작과정에서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CAD-CAM)의 발전과 지르코니아의 물리적 성질이 개선되면서 디지털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본 증례는 하악에서 가철성 국소의치를 사용하는 환자의 지대치가 심하게 마모되어 국소의치에 맞추어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제작한 케이스로,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하는 결과를 얻었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