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ay lock loop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19초

CDMA 및 OFDM 기반 무선측위의 다중경로오차 특성 비교분석 (A Comparison of the Multipath Error Property In Wireless Location of CDMA and OFDM)

  • 방혜정;이장규;지규인;김진원;정희;현문필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989-995
    • /
    • 2006
  • This paper shows that the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system is robust to multipath than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and it has a strong possibility to be utilized as a supplementing wireless location system for the forthcoming portable internet network. The OFDM system based on IEEE 802.16e is a wireless TDD (Time Division Duplex)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providing portable internet services in 2.3 GHz frequency band and is scheduled in service in Korea starting in 2006. In this paper, multipath error is calculated using a two-ray model and compared with that of a CDMA system which is following IS-95. The OFDM system shows a maximum multipath error of 3 m while a CDMA system shows a maximum multipath error of 61 m. For this simulation, an early-late technique is used. This technique is usually used to match synchronization of signal in DLL(Delay Lock Loop).

재방송 재밍 환경에서 BOC(pn,n) GNSS 변조된 신호를 위한 CP-ARC 기법 (A Combined Pseudo-random Noise Signal Based Advanced Region Correlation Scheme for BOC(pn,n) Modulated GNSS Signals in Repeat-back Jamming Environment)

  • 유승수;염동진;지규인;김선용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977-983
    • /
    • 2016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code-tracking scheme to track the fine code synchronization for BOC (pn,n)-modulate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signals in a repeat-back jamming environment. The correlation function of BOC (pn,n)-modulated signals has several peaks. The correlation function in the advanced offset region remains almost unchanged due to the repeat-back signals being received later than a line-of-sight signal in the same multipath signal receiving case. Additionally, the combined pseudo-random noise signal can be treated as repeat-back jamming signals, like multipath signal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code-tracking scheme utilizing the advantages of using a combined pseudo-random noise signal in the advanced offset region and verify its performance through simulation.

차량요 항법시스템 기반의 새로운 correlator 구조에 따른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new correlator architecture in vehicles navigation system)

  • 박지호;오영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4권12호
    • /
    • pp.44-53
    • /
    • 2007
  • 이 논문은 실외에서 실시간 적이고 안정적이며 정확도가 높은 위치 인식 정보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복합 위치인식 알고리즘 개발에 초점을 둔다. 현재 사용 중인 위성 항법 시스템에 갈릴레오 위성 항법 시스템을 병행하여 사용할 경우 사용 주파수의 증가와 가시 위성의 증가로 전리층 오차 등 여러 가지 오차 요인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더 이상 거리 오차는 위치 인식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노이즈로인해 생기는 chips 등기 오차는 acquisition이나 tracking 지연 오차를 유발하게 되어 수신기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고 정밀도 향상을 위한 correlator를 제안하여 수신기의 성능 향상에 그 목적이 있다.

왜곡된 전원 전압하에서 Composite 관측기를 이용한단상 PWM 컨버터의 정현파 전류 제어 (Sinusoidal Current Control of Single-Phase PWM Converters under Voltage Source Distortion Using Composite Observer)

  • ;이동훈;이석규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466-47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composite 관측기를 이용하여 전원전압 왜곡시 단상 PWM 컨버터의 고성능 전류제어를 제안한다. composite 관측기를 적용함으로써 전원 전압 및 전류의 기본파와 고조파 성분을 시간지연 없이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기본파 성분은 전원단의 페이저 각을 찾는 PLL시스템에 이용된다. 멀티 비례-공진 제어기로 단상 입력전류를 정현파로 제어하고 고조파 성분을 제거한다. 시뮬레이션과 실험 결과로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올-디지털 위상 고정 루프용 오프셋 및 데드존이 없고 해상도가 일정한 위상-디지털 변환기 (An Offset and Deadzone-Free Constant-Resolution Phase-to-Digital Converter for All-Digital PLLs)

  • 최광천;김민형;최우형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2호
    • /
    • pp.122-133
    • /
    • 2013
  • 올-디지털 위상 고정 루프에 사용되는 고해상도 위상-디지털 변환기 설계에 있어서, 위상-주파수 검출기와 시간-디지털 변환기로 이루어진 위상-디지털 변환기에 활용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아비터 기반 위상 결정 회로를 제안한다. 제안한 위상 결정 회로는 기존에 개발된 위상 결정 회로보다 적은 전력소모와 보다 작은 입력-출력 지연 시간을 가지면서도 두 펄스 사이의 매우 작은 위상 차이도 구별할 수 있다. 제안한 위상 결정 회로는 130um CMOS 공정을 사용하여 구현되었고, 트랜지스터 레벨에서 시뮬레이션으로 검증되었다. 제안한 위상 결정 회로를 이용한 오프셋과 데드존이 없는 5비트의 위상-디지털 변환기도 검증되었다. 또한 배수주기 고정 문제가 없고 위상 오프셋이 매우 적은 지연 고정 루프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지연 고정 루프는 위상-디지털 변환기의 해상도를 PVT 변화에 무관하게 항상 원하는 대로 정확히 고정시키는 용도로 활용된다.

위성 기반 측위 시스템에서의 부호 추적편이 완화 기법 (A Novel Scheme for Code Tracking Bias Mitigation in Band-Limite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 유승수;김상훈;윤석호;송익호;김선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0C호
    • /
    • pp.1032-1041
    • /
    • 2007
  • 위성 기반 측위 시스템은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위치 기반 기술의 핵심 기술로서, 통신 물리계층으로 직접수열 확산대역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 시스템을 사용한다. DS/SS 시스템의 성능은 송수신기에서 사용하는 확산 부호의 정확한 동기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본 논문은 DS/SS 시스템의 동기기법 가운데 부호 추적 기법에 초점을 맞춘다. 가장 널리 알려진 부호 추적 기법은 이른-늦은 판별기를 사용하는 EL-DLL이다 (delay lock loop with early minus late discriminator). 이상적인 환경에서 EL-DLL은 최적 부호 추정기이다. 그러나 대역 제한된 다중경로 환경에서 EL-DLL은 추적을 통해 정확한 동기시점을 결정한 후에도 여전히 추적편이가 남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대역 제한된 다중경로 환경에서 EL-DLL의 추적편이 특성 분석을 위해 상관 값이 나타나는 영역을 이른 상관시간 옵셋 영역과 (advanced offset range, AOR) 늦은 상관시간 옵셋 영역으로 (delayed offset range, DOR)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역 제한된 다중경로 환경에서 EL-DLL의 추적편이는 정확한 동기시점을 기준으로 AOR과 DOR에서 상관 값의 대칭성이 왜곡되어 발생하는 제 1형 추적편이와 최고 상관 값이 나타나는 시점이 정확한 동기시점에서 벗어나서 발생하는 제 2형 추적편이로 구별할 수 있으며, 이 가운데 제 2형 추적편이가 추적편이의 대부분을 차지함을 보였다. 또한 AOR과 DOR에서 상관 값 추이 분석을 통해 AOR에서의 상관 값이 DOR에서의 상관 값에 비해 다중경로신호에 의해 덜 왜곡되는 특성을 보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대역 제한된 GNSS에 적합한 새로운 부호 추적편이 완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대역 제한된 다중경로 환경에서 EL-DLL에 비해 정확한 추적이 가능함을 보였다.

상관 함수의 기울기 차에 기반한 GNSS의 부호 추적 기법 (A GNSS Code Tracking Scheme Based in Slope Difference of Correlation Outputs)

  • 유승수;유승환;정다해;안상호;윤석호;김선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6C호
    • /
    • pp.505-511
    • /
    • 2008
  • 위성 항법 시스템은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통신 물리계층으로 직접 수열 확산 대역 (direct sequence/spread spectrum, DS/SS)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DS/SS 시스템은 확산된 정보를 복원하기 위해 한 칩 (chip) 또는 그 이하로 동기를 맞추는 획득 단계와 정확한 동기를 결정하고 유지하는 추적 단계를 수행한다. 가장 널리 알려진 추적 기법은 상관 값의 대칭성을 이용해 부호를 추적하는 $\Delta$-DLL이다 (single delta delay lock loop). 여기서, $\Delta$는 이른-늦은 상관 값의 상관 시간 옵셋 간격을 뜻한다. $\Delta$-DLL은 이상적인 환경에서 최적 부호 추적 기법이다. 그러나 이 기법은 다중경로 환경에서 상관 함수의 대칭성이 깨짐으로 인해 판별기 출력이 비대칭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큰 추적 편이를 갖는다. 추적 편이는 정착한 동기 시점과 추적이 완료되어 결정한 동기 시점의 차이를 의미한다. 이러한 추적 편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법으로 작은 $\Delta$를 사용한 $\Delta$-DLL과 두 개의 $\Delta$-DLL을 조합한 ${\Delta}^{(2)}$-DLL이 (double delta DLL) 제안되었다. 그러나 두 기법 모두 여전히 추적 편이가 존재하며, 작은 $\Delta$를 사용하기 때문에 추적 단계의 동적 영역이 줄어들어 정확한 획득 단계가 요구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추적 편이를 효과적으로 줄이면서도 정확한 획득 단계가 요구되지 않는 상관 값의 최대 기울기 변화에 기반한 추적 편이 감소 기법을 제안한다.

2세대 AiPi+ 용 DLL 기반 저전력 클록-데이터 복원 회로의 설계 (A Design of DLL-based Low-Power CDR for 2nd-Generation AiPi+ Application)

  • 박준성;박형구;김성근;부영건;이강윤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8권4호
    • /
    • pp.39-5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패널 내부 인터페이스의 하나인 2세대 AiPi+의 클록-데이터 복원 회로(Clock & Data Recovery)를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클록-데이터 복원 회로의 속도는 기존 AiPi+ 보다 빠른 1.25 Gbps 로 향상되었으며 다중 위상 클록을 생성하기 위하여 Delay-Locked Loop(DLL)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패널 내부 인터페이스의 저전력, 작은 면적의 이슈를 만족하는 클록-데이터 복원 회로를 설계하였다.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자동적으로 Harmonic-locking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주파수 검출기 구조를 제안하여 기존 주파수 검출기(Frequency Detector)의 복잡도, 전류 소모, 그리고 외부 인가에 따른 문제를 개선하였으며, 전압 제어 지연 라인(Voltage Controlled Delay Line) 에서 상승/하강 시간 차이에 따른 에지의 사라짐 현상을 막기 위해서 펄스 폭의 최대치를 제한하는 펄스 폭 오류 보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제안하는 클록-데이터 복원 회로는 CMOS 0.18 ${\mu}m$ 공정으로 제작되었으며 면적은 $660\;{\mu}m\;{\times}\;250\;{\mu}m$이고, 공급 전압은 1.8 V이다. Peak-to-Peak 지터는 15 ps, 입력 버퍼, 이퀄라이저, 병렬화기를 제외한 클록-데이터 복원 회로의 소모 전력은 5.94 mW 이다.

BOC(pn,n) 변조된 확산신호의 부호동기추적을 위한 일반화된 이른영역상관기법 (A Generalized Advanced Region Correlation (G-ARC) Scheme for BOC(pn,n) Modulated Code Tracking in GNSS)

  • 유승수;이영윤;김영문;윤석호;김선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3C호
    • /
    • pp.329-34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이진천이반송파 (binary offset carrier, BOC) 변조된 확산신호의 부호동기추적에 적합한 기법을 제안한다. 이진천이반송파 변조된 확산신호의 상관함수는 정확한 상관옵셋에서 나타나는 주첨두와 여러 부첨두를 갖고 있다. 다중 경로 채널환경에서 가시신호에 비해 다중경로신호는 항상 지연되어 수신되기 때문에 여러 부침두 가운데 정확한 상관옵셋보다 이른 상관옵셋 영역에 있는 상관함수는 늦은 상관옵셋영역에 있는 상관함수에 비해 덜 왜곡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 특징을 활용해 BOC(n,n) 변조된 확산신호의 부호추적에 적합한 이른영역상관(advanced region correlation, ARC)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모의실험을 통해 안정된 다중경로 (static multipath) 채널과 지상이동체위성시스템 (land mobile satellite system) 채널에서 기존과 제안한 기법의 부호동기 추적성능을 비교한다. 또한 BOC(pn,n) 변조된 확산신호에 적합한 이른영역상관 기법의 확장 형태인 일반화된 이른영역상관기법 (generalized-ARC, G-ARC) 제안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