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ixi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슬라브어 담화 직시와 대용 (Discourse Deixis and Anaphora in Slavic Languages)

  • 정정원
    • 비교문화연구
    • /
    • 제45권
    • /
    • pp.381-431
    • /
    • 2016
  • 본고에서는 슬라브어, 특히 러시아어, 폴란드어, 체코어, 불가리아어 담화 직시의 전반적 특징을 살펴본다. 슬라브어에서는 무엇보다도 근칭지시사가 담화 직시사로 기능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개별 슬라브어에서 담화 직시사의 구체적 사용 양상은 상이하다. 폴란드어와 체코어에서는 원칭지시대명사와 인칭대명사가 담화 직시사로 거의 기능하지 못하는 반면, 러시아어는 원칭지시대명사가 담화 직시사로 활발하게 사용되며, 인칭대명사도 사용 가능하다. 불가리아어에서는 원칭지시대명사가 담화 직시사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 반면, 인칭대명사는 자주 사용된다. 이와 같이 슬라브어 담화 직시사는 개별 언어에서 상이하게 직시와 대용 기능을 수행하는데, 근칭, 원칭 지시대명사와 인칭대명사가 모두 담화 직시사로 기능하는 러시아어에서는 그것의 직시성이 다른 언어에 비해 두드러지며, 가장 분석적인 슬라브어인 불가리아어에서는 인칭대명사의 사용이 잦아 다른 슬라브어에 비해 담화 직시사의 대용 기능이 두드러진다.

독일어 3인칭 대명사의 사용과 의미 (Gebrauch und Bedeutung der Personalpronomina der dritten Person im Deutschen)

  • 진정근
    • 한국독어학회지:독어학
    • /
    • 제1집
    • /
    • pp.189-212
    • /
    • 1999
  • In diesem Aufsatz haben wir uns $zun\"{a}chst\;damit\;besch\"{a}ftigt$, unter welchen Bedingungen die Pronomina der dritten Person korrekt verwendet werden. Doch davor haben wir uns darauf einlassen, wann die Pronomina Restriktionen unterliegen. Die Situationen, in denen die betreffenden Pronomina sowohl grammatisch, als auch kommunikativ korrekt gebraucht werden, sind 1) Prasentation des Referenzobjekts durch den Sprecher, 2) $Auff\"{a}lligkeit$ des Referenzobjekts, 3) Gemeinsame Fokussierung der Kommunikationspartner auf Referenzobjekte, 4) Warten auf das Referenzobjekt und 5) Erinnerung an Referenzobjekte. In diesen Situationen werden verschiedene Faktoren, z.B. die Lage des Referenten im aktuellen Sprechsituation, fur den Pronominagebrauch mitgewirkt. Seit der Antike bilden die Pronomina einen Gegestand der linguistischen Untersuchung. Seitdem werden sie nach unterschiedlichen Aspekten betrachtet und beschrieben. Vor allem wird der Weg der Forschung zu den personalen, aber auch demonstrativen Pronomina durch zwei Begriffe, namlich Deixis und Anaphora, $ma{\ss}geblich$ bestimmt. Im Hinblick darauf haben wir die Frage diskutiert, ob das $Ph\"{a}nomen$ der Anaphora unter dem der Deixis bzw. der Textualdeixis subsumiert werden kann oder nicht. Man kann dafur $pl\"{a}dieren,\;da{\ss}$ Anaphora und Deixis kommunikativ verschiedene Phanomene darstellen $k\"{o}nnte$. Wir neigen allerdings dazu, $da\ss$ es eine semantische $Integrationsm\"{o}glichkeit$ der Anaphora in die(Textual)Deixis gibt. Nach dem Durchmustern verschiedener Verwendungsweisen und theoretischer Positionen haben wir uns mit der Semantik der Pronomina $befa{\ss}t$, die in der Pronominaforschung bisher weitgehend $vernachl\"{a}ssigt$ worde ist. Dabei stellte sich heraus, $da\ss$ die Beeutung des betreffenden Pronomen vor allem durch die Angabe der $Kommunikationssituationsabh\"{a}ngigkeit$ beschrieben werden kann. Damit wurde ein Versuch unternommen, die festgestellten verschiedenen Gebrauchsweisen semantisch zu systematisieren und somit auf eine einheitliche Semantik $zuruckzuf\"{u}hren$.

  • PDF

Children's Acquisition of Demonstrative Pronouns in Mandarin Chinese

  • Zhao, Yi-jing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대회
    • /
    • pp.532-541
    • /
    • 2007
  • This paper investigates children's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demonstrative pronouns (DPs), 'zhege' (this) and 'nage' (that), in Mandarin Chinese. Subjects are children of ages three, four, five and six.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experiment,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and the corresponding age grading are provided. Also, the present study incorporates a physical clue into the experiment. The result suggests that in the acquisition of deixis children rely highly on physical context to work out the meaning distinction. In addition, Piaget's egocentrism hypothesis and H. Clark's marking hypothesis are examined in the study. The result seems to support the egocentrism hypothesis. Subjects under the age of six do fail to shift the deictic center when they and the experimenter have a different perspective. As for the marking hypothesis, the study seems to challenge the hypothesis. The result shows that children actually performed better on the marked term 'zhege' than the unmarked member 'nage'.

  • PDF

칼 뷜러의 삶과 사상 (Leben und Idee Karl Buhlers)

  • 이남석
    • 한국독어학회지:독어학
    • /
    • 제7집
    • /
    • pp.215-235
    • /
    • 2003
  • Karl $B\"{u}hlers$ Sprachtheorie orientiert sich an der Psychologie. Das zeigt sich im zweten Teil dieser Arbeit. $Au{\ss}erdem$ haben wir da gesehen, wie $pl\"{o}tzlich$ er im deutschen Gebiet seine Wissenschaft abbrechen und so eilig nach Amerika auswandern musste. Damit konnte er sein wissenschaftliches Ziel, also allgemeine Sematologie im Sinne der Logik der $Humanit\"{a}t$, nicht erreichen. Aber trotzdem $la{\ss}t$ sich erwarten, dass wir mit seinem $unverg\"{a]nglichen$ Buch und anderen Daten wieder starten $k\"{o}nnen$. Er nennt das Sprechereignis, das unsere Sinne $r\"{u}hrt$, den ersten Gegenstand der Sprachwissenschaft. Das ist etwas Einmaliges, ein Geschehen hier und jetzt im bestimmten Zeitraum. Das anschauliche Zeigen $geh\"{o}rt$ so zum Wesen der $nat\"{u}rlichen$ Sprache wie die Abstraktion und das begriffliche Erfassen der Welt. Karl $B\"{u}hler$ spricht von dem anschaulichen Zeigen, weil er betonen wollte, dass Deixis an die Weltanschauung gebunden ist; symbolische $Ausdr\"{u}cke$ sind begrifflich andererseits, weil sie von der Sprechsituation $unabh\"{a}ngig$ sind. Die zwei Elemente, die zum vollendeten Erkenntnis $geh\"{o}ren$, sind unelinierbar in jedem $Sprachph\"{a}nomen$ enthalten. Wir mobilisieren die zwei auf jeden fall zu unserem vollendeten Erkenntnis der Welt. Ich habe die These mit der Formel S = M$\times$P beschrieben, die als Cartesisches Produkt von pragmatischen Komponent und Proposition interpretiert werden soll. Diese $Erkl\"{a}rung$ kann auch $ad\"{a}quat$ auf Zeichensinterpretation angewandt werden.

  • PDF

중국어 말하기 교재 속의 인칭직시에 대한 일고 - '아문(我們)'을 중심으로 (Consideration on deixis on the Chinese Conversation Textbook: Focused on Women(我們))

  • 박찬욱
    • 비교문화연구
    • /
    • 제31권
    • /
    • pp.309-330
    • /
    • 2013
  • This paper aims to examine distribution and patterns of Women(我們) on Chinese conversation textbook, and also suggest that Chinese class need to impose pragmatic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plores 35 Womens in 42 conversation units on three Chinese textbooks Hanyu Kouyu vol.1~3 at first. Women is more contributed on 'exclusive Women' among three categories (inclusive, exclusive, borrowed) than other two categories, is also contributed on 'symbolic usage' than 'gestural usage'. Second, this paper examines patterns of Women on the three categories. It shows: first, 'inclusive Women', 'exclusive Women', 'borrowed Women' all show up on the textbooks even though on the textbook vol.1(for beginner) surprisingly; Second, 'exclusive Women' may be a primary one of three categories in terms of the coverage of Women. Women covers those who are related with the speaker regardless of being on the spot, and also covers those which the speaker belongs to, for example, nationality, ethnicity etc. Consequently, the results show that Chinese speaking course, from now on, needs to consider pragmatic factors including existing semantic and syntactic factors, and from the pragmatic perspective, impose 'action'(including speech act, body gesture etc.) on Chinese conversation class for the learners' improvement in Chinese speaking.

Distal Demonstrative Hitlo in Taiwanese Southern Min

  • Zhao, Yi-jing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대회
    • /
    • pp.522-530
    • /
    • 2007
  •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use of distal demonstrative Hitlo in Taiwanese Southern Min (TSM) from a discourse-pragmatic perspective. The analysis is based on a 5-hour corpus of spoken data, including daily conversations, radio interviews, TV drama series, and some random examples. A total of 172 tokens of Hitlos are identified in the data. They can b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firstly, exophoric usage, those Hitlos which refer to an object non-linguistically which can be identified in the immediate situation; secondly, endophoric usage, those which refer to an element textually; thirdly, referent introducing function, those which can be used to introduce a new but identifiable referent into the conversation (the referent usually has topical importance); fourthly, hedging expression, those which serve as a marker of imprecision; fifthly, a condition introducing marker, those which function as an indicator of the coming of a conditional sentence; finally, pause fillers, those which help speakers to manage speech turn or indicate the mental states In addition, an interactive function which Hitlo is found to serve will be discussed. Moreover, a grammaticalizational process involving semantic bleaching which Hitlo is probably undergoing is revealed in general. Finally, a filled demonstrative principle, stating that it may be a universal phenomenon to use demonstratives as filled pause will be proposed.

  • PDF

대명사의 화시적 기능과 조응적 기능: 실어증 환자를 중심으로 (Difference between Deixis and Anaphora in Aphasics)

  • 황유미;남기춘;강명윤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대회
    • /
    • pp.297-302
    • /
    • 2000
  • 본 연구는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화시적(deictic)인 대명사와 조응적(anaphoric)인 대명사의 처리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인칭 대명사와 지시대명사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각각 화시적인 대명사와 조응적인 대명사로 구분될 수 있다. 화시적인 대명사란 발화상황에서 직접 가리킬 수 있는 대명사를 지칭하며 언어적 표현에 의존하기보다는 상황 의존적 대명사를 말하고 조응적인 대명사란 앞선 문맥에서 제시된 언어표현을 선행사로 되받는 대명사를 말한다. 인칭 대명사 가운데 1인칭('나')과 2인칭('너')은 화시적인 대명사로, 3인칭 '그'는 조응적인 대명사로, 3인칭 재귀대명사 '자기'는 화시와 조응의 혼합된 것으로 보았다. 지시 대명사의 경우 '이-/저-'는 화시적인 용법이 지배적인 것으로 분류하였고, '그-'는 조응의 '그-'와 화시의 '그-'l로 나누었다. 실험 1은 화시적인 1,2인칭 대명사 처리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실험 1의 결과 3명의 브로카 환자와 qdua의 실명증 환자는 1,2인칭 대명사를 비교적 잘 처리하였다. 실험 2는 인칭대명사 가운데 화시적인 요소와 조응적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는 3인칭 재귀대명사 '자기'와 조응적 성격의 3인칭 대명사 '그'의 처리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실험 2의 결과 3인칭 재귀사 '자기'의 경우 실험 1보다는 처리에 어려움을 보였으나 3인칭 대명사 '그'보다는 잘 처리하는 결과를 보였다. 실험 3은 지시 대명사 관련 실험으로서 화시적 용법의 '이-/그-/저-'와 조응적 용법의 '그-'의 처리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 3의 결과 지시 대명사의 처리에 있어서 화시적 용법의 '이-/그-/저-'는 비교적 잘 처리하였으나 조응적 용법의 '그-'를 처리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보였다. 실험 1,2,3에서 실어증 환자들은 화시적 대명사를 조응적 대명사보다 더 잘 처리하는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실어증 환자들이 뇌손상으로 인해 문법적 언어처리에는 어려움을 보이지만 비언어적인, 세상 지식과 관련된 화시적 대명사의 처리는 가능할 것이라는 가설을 뒷받침 해준다. 또한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해 대명사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화시와 조응의 처리가 구분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초등 수학 수업 상황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은유와 제스처 분석 (An Analysis on the Lingual Metaphors and Gestures Shown in the Math Class at Elementary School)

  • 이종희;최성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45-16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수학 수업에서 사용되는 언어적 은유와 제스처 사용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여 수학학습 지도 방안으로서의 은유 및 제스처의 가치를 재고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7단원 정비례와 반비례 중 4차시 반비례 알아보기 단원을 주제로 한 수업에서 교사에게서 나타난 언어적 은유와 제스처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관찰된 수학적 은유에는 기계은유와 가상적 이동은유가 있으며 제스처는 형상적 제스처, 은유적 제스처, 지시적 제스처의 형태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은유들은 수학 수업 전반에 걸쳐 고르게 분포하여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었으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수학 수업에 있어서 은유 활용의 교육적 의의를 재고해 보았다.

  • PDF

응집장치가 과학텍스트의 기억과 이해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hesive Devices on Memory and Understanding of Scientific Text)

  • 김세영;한광희;조숙환
    • 인지과학
    • /
    • 제13권2호
    • /
    • pp.1-13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표층 언어 표현의 응집성 (coherence)이 과학 텍스트의 이해에 어떤 효과를 주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 연구는 응집성의 강도가 과학 텍스트 이해의 정도와 관계가 있는 지 검토하고. 텍스트의 이해가 지엽적 응집성과 총체적 응집성의 관점으로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 또는 다른 요인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이해에 대한 응집성 강도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원인, 반복, 직시사 (deixis). 정박 (anchoring)등의 응집장치 (cohesive devices)를 이용하여 텍스트의 응집성 강도를 조작하였으며. 이에 대한 오프라인 처리 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응집성이 강한 텍스트가 보다 용이하게 이해된 것으로 나타났다 단락별로 분석된 회상 및 재인 검사의 결과에서는 응집장치의 종류에 따른 응집성 효과가 선택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응집장치의 지엽적 효과가 일관적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텍스트의 주제가 얼마나 긴밀하게 연결되었는지 분석한 결과. 주제 연결 (topic continuity)의 긴밀성 정도가 텍스트 이해와 관련되어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텍스트 이해가 지엽적 응집성의 선택적 효과에 의해 구축되는 상향적 (bottom-up) 과정뿐만 아니라. 텍스트 전체를 지배하는 하향적 (top-down) 과정에 의해 촉진됨을 암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