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hydroepiandrosterone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5초

Correlation of Occupational Stress Index with 24-hour Urine Cortisol and Serum DHEA Sulfate among City Bus Drivers: A Cross-sectional Study

  • Du, Chung-Li;Lin, Mia Chihya;Lu, Luo;Tai, John Je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2권2호
    • /
    • pp.169-175
    • /
    • 2011
  • Objectives: The questionnaire of occupational stress index (OSI) has been popular in the workplace, and it has been tailored for bus drivers in Taiwan. Nevertheless, its outcomes for participants are based on self-evaluations, thus validation by their physiological stress biomarker is warranted and this is the main goal of this study.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of sixty-three city bus drivers and fifty-four supporting staffs for comparison was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24-hour urine cortisol testing, and blood draws for dehydroepiandrosterone-sulfate (DHEA-S) testing were performed. The measured concentrations of these biological measures were logarithmically transformed before the statistical analysis where various scores of stressor factors, moderators, and stress effects of each OSI domain were analyzed by apply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Results: For drivers, the elevated 24-hour urine cortisol level was associated with a worker's relationship with their supervisor and any life change events in the most recent 3 months. The DHEA-S level was higher in drivers of younger age as well as drivers with more concerns relating to their salary and bonuses. Non-drivers showed no association between any stressor or satisfaction and urine cortisol and blood DHEA-S levels. Conclusion: Measurements of biomarkers may offer additional stress evaluations with OSI questionnaires for bus drivers. Increased DHEA-S and cortisol levels may result from stressors like income security. Prevention efforts towards occupational stress and life events and health promotional efforts for aged driver were important anti-stress remedies.

Effect of Surgical-Site, Multimodal Drug Injection on Pain and Stress Biomarkers in Patients Undergoing Plate Fixation for Clavicular Fractures

  • Yoo, Jae-Sung;Heo, Kang;Kwon, Soon-Min;Lee, Dong-Ho;Seo, Joong-Bae
    • Clinics in Orthopedic Surgery
    • /
    • 제10권4호
    • /
    • pp.455-461
    • /
    • 2018
  • Background: Surgical-site, multimodal drug injection has recently evolved to be a safe and useful method for multimodal pain management even in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trauma. Methods: Fifty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plating for mid-shaft and distal clavicular fractur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o evaluate whether surgical-site injections (SIs) have pain management benefit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I and no-SI groups). The injection was administered between the deep and superficial tissues prior to wound closure. The mixture of anesthetics consisted of epinephrine hydrochloride (HCL), morphine sulfate, ropivacaine HCL, and normal saline.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pain scores were measured at 6-hour intervals until postoperative hour (POH) 72; stress biomarkers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DHEA-S], insulin, and fibrinogen) were measured preoperatively and at POH 24, 48, and 72. In patients who wanted further pain control or had a VAS pain score of 7 points until POH 72, 75 mg of intravenous tramadol was administered, and the intravenous tramadol requirements were also recorded. Other medications were not used for pain management. Results: The SI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S pain scores until POH 24, except for POH 18. Tramadol requireme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SI group until POH 24, except for POH 12 and 18. The mean DHEA-S level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no-SI group ($74.2{\pm}47.0{\mu}g/dL$) at POH 72 compared to that in the SI group ($110.1{\pm}87.1{\mu}g/dL$; p = 0.046).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sulin and fibrinogen levels between the groups. The correlation values between all the biomarkers and VAS pain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 > 0.05). Conclusions: After internal fixation of the clavicular fracture, the surgical-site, multimodal drug injection effectively relieved pain on the day of the surgery without any complications. Therefore, we believe that SI is a safe and effective method for pain management after internal fixation of a clavicular fracture.

DHEA의 항비만 효능 및 ob 유전자(leptin)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HEA on the Antiobesity and Obese Gene Expression in Lean and Genetically Obese(ob/ob) Mice)

  • 정기경;신미희;한형미;강석연;김태균;강주혜;문애리;김승희
    • 약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391-398
    • /
    • 2000
  • Leptin, the product of the ob gene, is a small peptide molecule synthesized by white adipocytes with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body fat and food intake. Based on the evidence that synthesis of leptin is regulated by female sex hormone, estrogen, this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whether sex hormone precursor DHEA, can regulate obese gene expression in lean and genetically obese (ob/ob) mice. Antiobesity activity of DHEA was evaluated by determining body weight, food consumption, epididymal fat weight and serum levels of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ICR, C57BL/6J, and ob/ob mice. The treatment of C57BL/6J lean and obese mice with a diet containing 0.3% and 0.6% DHEA resulted in lowered rates of weight gain in comparison to non-treated mice, although much greater response was found in the obese mice. All other concentrations of DHEA (0.015%, 0.06%, 0.15%, 0.3%) except the highest one(0.6%) showed no significant effects on weight gain in ICR mice. Food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mice treated with 0.6% DHEA, whereas it was not decreased in ICR mice at lower concentrations than 0.6% DHEA. DHEA decreased significantly epididymal adipose tissue weight and serum triglyceride levels dose dependently in lean and obese mice. However serum cholesterol levels were decreased at lower concentrations than 0.15% DHEA and increased at concentrations of 0.3% and 0.6% DHEA in lean and obese mice. These increases in serum cholestrol levels at high concentrations of DHEA might result from the fact that DHEA has a cholesterol moiety thereby interfered the assay system. As an approach to elucidate the mechanism for antiobesity activity of DHEA, we examined mRNA levels of obese gene in the adipocyte and obese gene product (leptin) in the serum. The results showed that DHEA did not affect obese gene expression in ICR and C57BL/6J mice. Therefore, we concluded that antiobesity activity of DHEA was not modulated by obese gene expression.

  • PDF

Study on the Marker Steroids of New Zealand Deer (Cervus elaphus var. scoticus) Velvet Antler by UPLC-MS/MS and HPLC-PDA Methods - (II)

  • Lee, Nam Kyung;Jang, Kyoung Hwa;Lee, Jong Tae;Park, Hee Won;Han, Sung Tai;In, Gy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5권1호
    • /
    • pp.49-58
    • /
    • 2019
  • Eleven steroid hormones (SHs: androstene-3,17-dione, estrone, ${\beta}$-estradiol, ${\alpha}$-estradiol, testosterone, dehydroepiandrosterone, $17{\acute{a}}$-hydroxyprogesterone, medroxyprogesterone, megestrol acetate, progesterone, and androsterone) were detected from New Zealand deer (Cervus elaphus var. scoticus) velvet antler (NZA, 鹿茸 ). A method for the quantification of eleven SHs was established by using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MS/MS. The linearities ($R^2$ > 0.991), limits of quantification (LOQ values, 0.3 ng/mL to 23.1 ng/mL), intraday and interday precisions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 2.43%), and recovery rates (97.3% to 104.6%) for all eleven SHs were determined. In addition, a method for the quantification of three 7-oxycholesterols (7-O-CSs: 7-ketocholesterol, $7{\alpha}$-hydroxycholesterol, and $7{\beta}$-hydroxycholesterol) in the NZA was established by using an HPLC-photodiode array (PDA) method. The linearities ($R^2$ > 0.999), LOQ values (30 ng/mL to 350 ng/mL), intraday and interday precisions (RSD < 1.93%), and recovery rates (97.2% to 103.5%) for the three 7-O-CSs were determined. These quantitative methods are accurate, precise, and reproducible.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the five steroid compounds of androstene-3,17-dione, androsterone, 7-ketocholesterol, $7{\alpha}$-hydroxycholesterol, and $7{\beta}$-hydroxycholesterol could be marker steroids of NZA. These methods can be applied to quantify or standardize the marker steroids present in NZA.

Alleviating effects of the mixture of Elaeagnus multiflora and Cynanchum wilfordii extracts on testosterone deficiency syndrome

  • Jung, Myung-A;Shin, Jawon;Jo, Ara;Kang, Huwon;Lee, Gyuok;Oh, Dool-Ri;Yun, Hyo Jeong;Im, Sojeong;Bae, Donghyuck;Kim, Jaeyong;Choi, Chul-yu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4호
    • /
    • pp.451-455
    • /
    • 2020
  • Testosterone deficiency syndrome (TDS), also known as late-onset hypogonadism, is a clinical and biochemical syndrome associated with advanced age and characterized by deficient serum testosterone levels. The Elaeagnus multiflora fruit (EMF) and Cynanchum wilfordii (CW) have been used in traditional herbal medicin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s of EMF and CW mixtures (at the ratios of 3:7, 5:5, and 7:3) on TDS using TM3 cells and aging male rats. EMF, and mixtures of EMF and CW (at the ratios of 3:7, 5:5, and 7:3) significantly increased testosterone levels in TM3 cells (p <0.05). The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EMCW (EMF and CW mixed at the ratio of 3:7 50, 100 and 200 mg/kg/day) for 4 weeks consecutively. After 4 weeks of EMCW administration, latency time on the rotarod test, and serum testosterone and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 <0.05 and p <0.01). Moreover, the levels of globulin-bound sex hormones were decreased in the EMCW-fed groups. However, prostate-specific antigen levels did not differ among the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CW can be effectively used to alleviate TDS.

마약성 진통제 사용과 Cortisol 및 DHEAS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Opioids Use, Cortisol and DHEAS)

  • 정지훈;최윤선;김선미;이준영;김은혜;김정은;김이연;박희진;윤동진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2호
    • /
    • pp.105-111
    • /
    • 2015
  • 목 적: 치료 불가능한 암환자에서는 암으로 인한 전신적 쇠약 이외에 피로와 에너지 상실, 무력감, 식욕부진 및 통증 등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주요 증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증상은 부신 기능 부전이 있을 때 나타나는 증상과 유사한 점이 많다. 또한 말기암환자의 통증은 중등도 이상이기 때문에 대부분 마약성 진통제로 조절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마약성 진통제와 부신 기능 부전에 대한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3년 11월부터 2014년 6월까지 7개월 동안, 만 18세 이상의 말기암환자 55명을 대상으로 혈장 cortisol, DHEAS 등을 측정하였다. 또한 환자의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 기간 및 용량도 함께 조사하였고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 기간 및 용량과 부신 기능을 대표할 수 있는 혈장 cortisol, DHEAS의 농도를 각각 비교하였다. 결과: Cortisol의 평균값은 $20.24{\mu}g/dL$, DHEAS의 평균값은 $44.41{\mu}g/dL$였으며, 상관 분석 결과 DHEAS와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 기간 및 용량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관련성이 없었고, Cortisol의 경우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 기간과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으나, 진통제의 사용 용량이 많을수록 Cortisol의 수치가 유의하게(P-value 0.0322) 상승되었다. 결론: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 기간 및 용량에 따른 부신 기능의 저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진통제를 사용하고 있는 말기암환자들의 부신 기능을 대표할 수 있는 지표인 DHEAS 값은 대부분 정상 이하로 낮아져 있는 모습을 보였다.

격심한 운동후 남성 혈청 내 부신 및 정소 Androgen 변화 (Adrenal and Testicular Androgens in Serum of Men after Physical Endurance Training)

  • 윤용달;이창주;이준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1호
    • /
    • pp.73-79
    • /
    • 2001
  • 최근 격심한 운동은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소 (HPG)축의 교란을 일으켜 여성과 남성의 생식기능에 장애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격심한 운동을 하는 여성 운동선수의 경우는 과소월경, 무배란, 황체기 단축, 성성숙 지연등에 따른 생식호르몬의 변화가 유발된다. 남성 운동선수의 경우는 과도한 운동, 정신적 장애와 긴장, 군 훈련 등 격심한 운동으로 생식호르몬의 분비에 이상이 생긴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임상적인 증상은 미약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격심한 운동이 생식이상을 초래하는 원인을 밝히는 연구의 일환으로, 정상 남자가 장기적 운동 (3개월 이상), 단기간의 격심한 운동 (1주일),그리고 1${\sim}$2시간의 집약된 심한 운동 후 혈청내 호르몬의 변화를 방사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 가지 운동 형태의 경우 모두가 부신 및 고환에서 분비되는 총 testosterone (TT), 유리형 T (fT), DHEA, A의분비 변화를 일으켰다. 특히 단기간과 1${\sim}$2시간의 격한 운동 후 일시적으로 증가되었다가, 이어 정상치 이하로 감소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Cortisol, DHEAS, ACTH 등은 운동 후 지속적인 증가를 초래하였다. 장기간의 운동 후에서는 생식소자극 호르몬의 분비가 큰 변동이 없었으나, 단기간 운동 후에는 FSH의 감소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신 및 고환의androgen이 격한 운동에 의해 감소되며, 장기간의 지속적인 남성호르몬의 변화는 생식기능의 이상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고 가정된다. 또한 단기간의 격한 운동이 HPG축 호르몬의 변화를 유발하나, 장기간의 운동으로 일어나는 androgen의 감소는 HPG축 이외의 요인(들)에 의해 남성호르몬의 분비이상이 생긴다고 가정된다.후 80%, 95%층에서 X 정자가 많이 회수되고, 활동성이 증가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자의 질도 개선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1kDa과 GA110 만이 항원-항체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 같은 결과로 미루어 사람의 난포액과 혈청에는 gelatinase A의 독특한 isoform인 GA110이 있으며 특히 난포액내의 GA110은 수란관액성분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해되는 것으로 여겨진다.두냔 tsuchigae, S. nigripinni morii, M. jeoni, C. splendidus, P. koreanus, C. lutheri, I. koreensis, C. herzi, R. brunneus 등으로 본 종들의 서식 상태는 하천의 오염 정도 및 하천개수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어류서식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보다 적극적인 하천 수질관리의 대책과 방안이 수립되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와 운동, H-R도상에서의 별의 특성과 진화 등이다. 탐구 과정에 대한 학생의 성취도는 비교적 높으므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 대해 학생의 오답 유형을 참고하여 기본 개념 지도에 보다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Cr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SW에서는 실험 초기에 감소하다 24시간 이후에는 증가 후 일정한 양상을 보였다. Pb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했지만 SW에서는 초기에 급격히 증가 후 다시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Pb 또한 Cu, Cd, As와 마찬가지로 SW1&2에서 제거속도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FW 상층수 중 Hg는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했고, 제거속도는 Fw5&6에서 가장 느렸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할 때 벼가 자라고 있고 이분해성 유기물이 풍부한 FW1&2, FW3&4 토양과 상층수에서는 유기물의 분해 활동이 활발하였지만, 벼가 경작되지

  • PDF

가와사끼병에서 부신 안드로겐과 코티솔의 변화 (A Change of Adrenal Androgen and Cortisol in Kawasaki Disease)

  • 리선희;유재홍;길홍량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5호
    • /
    • pp.654-658
    • /
    • 2002
  • 목 적 : 내분비계와 면역계는 상호 의존적이며 여기에는 부신의 역할 특히 dehydroepiandrosterone(DHEA)와 코티솔 사이의 균형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T 세포 분화 과정 및 이와 관련된 인터루킨들의 유도작용에 길항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저자들은 T 세포 면역 장애와 관련된 가와사끼병에서 부신 안드로겐과 코티솔의 역할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1년 4월부터 8월까지 가와사끼병으로 진단된 14명과 자가면역성질환의 병력이 없는 대조군을 대상으로 혈중 DHEAS와 24시간 동안 채집한 소변에서 유리 코티솔 농도를 방사면역측정법으로 검사하였다. 검체는 면역글로불린과 스테로이드를 투여하기 전에 채취하였으며, 가와사끼병의 임상적 중등도는 Harada 점수와 심초음파에 의한 심혈관계 병변을 근거로 하였다. 결 과 : 1) 환자군은 4개월에서 4세 사이로 평균 연령은 2.3세, 연령 분포는 1세 미만이 3명(21.4%), 1-2세 2명(14.3%), 2-3세 5명(35.7%), 3-4세 4명(28.6%)이었으며, 남녀 비는 1 : 1.3이었다. 2) DHEAS치는 환자군에서 $11.1{\pm}6.0{\mu}g/dL$, 대조군에서 $81.6{\pm}13.3{\mu}g/dL$로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3) 24시간 소변 유리 코티솔(F)치는 환자군에서 $36.9{\pm}21.9{\mu}g/dL$, 대조군에서 $13.6{\pm}5.5{\mu}g/dL$로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4) DHEAS/F 비율은 환자군 $0.33{\pm}0.20$, 대조군 $6.65{\pm}2.56$으로 환자군에서 현저히 감소하였으나(P=0.016),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 가와사끼병에서 임상적 중등도의 지표인 Harada 점수와 DHEAS/F 비율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심혈관계 병변(관상동 맥류)이 발생하였던 환아에서 그 비율이 매우 낮았다. 결 론: 가와사끼병에서는 부신호르몬의 균형에 변화가 발생하며, 이것이 가와사끼병의 병인인 T 세포 면역장애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관상 동맥 합병증의 예측인자의 하나로서 DHEAS/F 비율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마약성 진통제 사용과 부신기능부전 (Opioids Use and Adrenal Insufficiency)

  • 정지훈;최윤선;김정은;김이연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3호
    • /
    • pp.113-121
    • /
    • 2014
  • 치료 불가능한 암환자들은 전신적 쇠약 이외에 피로와 에너지 상실, 무력감, 식욕부진 및 통증 등이 주요 증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증상들은 부신기능부전으로 인한 증상들과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부신기능부전으로 인한 증상들은 가벼운 증상부터 생명을 위협하는 증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신기능부전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난다. 완화의료병동에 입원 중인 말기암환자들 중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은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여 통증 조절을 받고 있는데, 이러한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은 부신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물 및 비암성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대상으로 여러 연구들이 시행되었으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마약성 진통제로 인해 부신기능의 저하가 나타났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아직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마약성 진통제로 인한 부신기능의 저하에 대한 연구 결과는 드물다. 마약성 진통제로 통증 조절을 받고 있는 완화의료병동에 입원한 말기암환자들의 부신기능을 측정함으로써 마약성 진통제의 종류, 사용기간 및 용량과 부신기능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대증치료 및 호르몬 보충 요법은 환자들의 예후 및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뇨시료에 함유된 7-keto-DHEA-acetate의 대사체에 관한 연구 (II) (A study of the metabolites for 7-keto-DHEA-acetate in human urine (II))

  • 김연제;이진희
    • 분석과학
    • /
    • 제17권5호
    • /
    • pp.401-409
    • /
    • 2004
  • 7-keto-DHEA-acetate는 DHEA의 대사체인 7-keto-DHEA로 변하고 체내에서 대사되는 과정이 서로 유사하였으며 복용 후 검출된 대사체 M3, M4 및 M5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사체 M3과 M4는 분자량이 304이며 물분자가 제거될 수 있는 히드록시기나 케톤기를 세 개 이상 가진 구조로 예상되었으며, M3의 경우 3번과 7번 탄소위치에 히드록시기가 있고 17번 탄소위치에 케톤기를 가지는 7-OH-DHEA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사체 M4는 3번과 17번 탄소위치에 히드록시기가 있고, 7번 탄소위치에 케톤기가 있는 구조인 7-oxo-diol 이었다. 대사체 M5는 분자량이 320이며 M3 및 M4와는 달리 물분자가 제거될 수 있는 히드록시기나 케톤기를 네 개 이상 가진 구조일 것이라고 예상되었으며, 3번과 7번 그리고 16번 탄소위치에 히드록시기가, 그리고 17번 탄소위치에 케톤기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7-keto-DHEA-acetate 복용 후 최대 배설량을 보인 대사체는 7-OH-DHEA 이었으며, 복용 5시간 후 최대의 배설량을 보인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매우 빠른 속도로 체외로 배설되기도 하지만 복용 58시간 후의 뇨 시료에서도 검출되기 때문에 체내 잔류성이 높은 약물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