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fensible spac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8초

면목역 만남의 광장 설계 (The Meeting Plaza Design around "Myeonmok" Subway Station, Seoul)

  • 김성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0-27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a landscape design for the meeting plaza around the "Myeonmok" subway station. The site is located at 120-1 Myeonmok 1-dong, Jnngrang-gu, Seoul, and its area is approximately $2,664.7m^2$. The goal of the design was to mak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eeting and rest place which was related to the subway station. To achieve this goal, concepts of history, tradition, sense of place, community,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function were developed. For history, stone sculpture and art tiles symbolizing the paleolithic area were introduced because the site is located near an archaeological site of paleolithic min. For tradition, considering that the site is a 'sailing ship' form in terms of Pungsu theory, a sculpture symbolizing a sailing ship and paving patterns symbolizing waves were introduced. For asense of place, a grass hill, a waterfall and a pond symbolizing an old meadow for horse pasture was introduced. In addition, a multi-purpose round plaza as a meeting place for local community and subway users was proposed. A zelkova grove symbolizing a village forest was proposed for a restand relaxation area. All areas were designed to b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barrier-free. Concepts for a defensible space wereadapted for safety because the site was a crime-prone area.

아파트의 형태에 따른 범죄유형과 범죄예방 방법 모색 (The Search of the Crime Prevention Method through the Crime Pattern to Apartment Type)

  • 최환영;채종민
    • 대한수사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3-31
    • /
    • 2007
  • 우리나라는 좁은 국토에 비하여 인구밀도가 높아 광복 이후 도시에는 아파트에 많은 인구가 살아 왔고, 최근 재개발 및 재건축으로 도시를 재정비함에 있어서도 아파트가 주된 건설 형식으로 진행 중이다. 그러나 도시화와 산업화로 이웃 간에 온정이 사라지고, 개인주의와 사생활 보호, 익명성 등으로 아파트 거주민들은 이미 범죄에 노출되어 있고, 이러한 현상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시 되었다. 미국과 영국에서는 1960년대 말부터 도시의 환경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여 방어공간(Defensible Space)이론,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이론(CPTED)을 통하여 환경과 범죄간의 연구를 발전시켜 왔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판교신도시 건설 및 부천시의 도시개발 계획 등에서 환경과 범죄의 관계를 반영하여 범죄가 발생하기 어려운 도시환경을 만들고자 민(民), 관(官), 학(學), 경찰(警察) 등 여러 분야에서 머리를 맞대고 연구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시각으로 아파트의 형태별 범죄유형을 분석하였다. 아파트의 분류 방법 중 평면의 형식에 따른 분류로 계단실형 아파트와 편복도형 아파트를 기준으로 하고, 거주민들이 발생면(發生面)이나 빈도면(頻度面)에서 가장 많이 체감(體感)한다고 볼 수 있는 절도사건의 유형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창원시내에서 발생하여 경찰에 신고된 절도사건을 중심으로 주거침입절도, 오토바이 및 차량 등 절도, 노상에서 발생하는 날치기, 기타 등으로 분류를 하였고 창원시내 아파트 중 서로 인접하여 비슷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비교대상 아파트 12개를 선정하여 계단실형 아파트와 편복도형 아파트를 분류하여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주거침입절도는 계단실형과 편복도형 아파트에서 비슷한 비율로 발생하였고, 오토바이 및 차량 등 절도는 편복 도형에서, 날치기는 계단실형 아파트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특히, 다양한 여러 세대가 함께 거주하는 아파트에서는 다른 지역과 달리 오토바이 및 차량 등 절도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지상 및 지하 주차장에 대한 방범대책이 요구된다.

  • PDF

Effects of Students' Perceived Safety of Public Outdoor Environment on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y Campus

  • Kim, Wonpil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13-20
    • /
    • 2015
  • The physical environment can dramatically affect students' feeling and their behavior, educational attainment, and the way in which we do school activities. Unlimited access to campus areas without appropriate securities have reported an increase of crime in school area and safety issues has encouraged school facility planners to install securities devices at every corner of buildings. However, it is still questionable whether this approach is enough to protect students and staffs from the victimization of crime, including thefts, burglaries and sexual offences. There has been continued doubt about the safety of educational facilities where individual college students are studying and enjoy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ption of safety by students on the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 at public outdoor environment of university campus. An extensive literature noted that the central element of modern school design principle mainly holds the theory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and the concept of defensible space. The second generation of CPTED also focused on social soft issues as well as situational factors, which extends beyond mere physical design to include social factors. The correlation analysis found that the effect of sense of safety does appear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facilit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e analysis of Chi-square concluded that the perception of safety was not related to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profiles of the group except for gender. Further,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prime predictor for academic achievement were 'safe public outdoor space/paths' at university campus environment, implying careful design of public open space and sidewalks based on the guideline of CPTED. The study also demonstrated that as the level of positive perception of safety rose, the overall academic achievement also responded to the specified rate (${\beta}=.99$). Finally, the findings reinforce an evidence that high-quality school environments are a positive factor in student academic performance.

노인시설 내 공간영역의 통합과 분리측면에서 본 환경적 프라이버시 (The Environmental Privacy on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and Segregation of Spatial Areas in Facilities for the Elderly)

  • 이민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89-9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privacy on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and segregation of spatial areas in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rough investigating required environmental privacy at each hierarchical space, the contextual situation and counterplan for the privacy. For the study, a content analysis for 35 foreign academic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August of 2013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ur hierarchical spaces had somewhat integrated characteristics as being required various types of privacy beyond the original features of each space. Especially semi-public and public spaces were needed the privacy similar to in private or semi-private areas. Second, the contextual situation for the privacy was mainly from undesirable access and psychological pressure of other residents, staff and etc. to the residents' personal space, stuff, and behaviors. The other was from no space (no sitting) or no equipments for privacy. Third, the counterplan for privacy was categorized as improvements of physical environments and making defensible space or keeping physical distance of the elderly. It is suggested that welfare of the aged act in Korea about the room capacity for the elderly facilities needs to be reconsidered for the privacy in their individual rooms and the privacy in semi-public and public area must be considered to make the behavior scope of the elderly extended.

중국 사합원의 평면유형과 공간구성의 특징에 관한 개괄적 연구 (A Study on the Feature of Plan Type and Space Composition of the Siheyuan Housing in China)

  • 최장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9-2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d analyse the features of plan type and space composition of the Siheyuan(courtyard house) which is one of the most remarkable types of the traditional dwellings in China. With the passage of time this house developed into one of the chinese house style. The technique of Siheyuan's spatial composition goes so far back in the New Stone Age. The relics of this are the colony layout, the system of four sides, the layout type of a palace, the picture of lacquered ware, the pictured brick, the earthenware of house type, the cave painting, the paintings of painters and others. The fundamental spatial conception of it arranges one or more courtyards to compose, sometimes in a very complex way, a general walled compound. The main longitudinal axis is mainly north-south, but the chief buildings, or halls are always placed transversely to it. These rectangular buildings mayor may not connect, by means of open galleries variously planned, with rows of smaller buildings flanking the courtyards on both sides. On this system, enlargement is never carried out by adding to height, but by continual duplication of existing units, and growth in breadth or preferably depth. The need for family security is thought to have led to the development of this rectangular houses with walls mainly blank on the outside, defensible entrances, and public service facilities in the center of the houses.

범죄발생 예측프로그램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rime Prediction Program(CPP))

  • 김영환;문정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21-230
    • /
    • 2006
  • 급격하게 변화하는 현대도시의 삶은 도시인의 평균 정주기간을 갈수록 짧아지게 하였으며 이것은 도시 주거지의 정체성을 약화시킴으로써 급격한 강력범죄 발생을 유도하였고 이에 따라 도시안전은 심각하게 저해되었다. 도시는 메크로 할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한 특성을 갖는 매우 복합적인 구조로써 범죄발생 또한 범죄자의 개인적인 동기를 포함하여 도시의 사회적, 경제적, 공간적 구성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매우 복합적인 현상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속히 증가하는 도시 내의 강력범죄 발생패턴을 사회적, 경제적, 공간적으로 분석하여 그 구조적 역학관계를 메크로하며 마이크로하게 규명함으로써 범죄발생을 유형적 시간적, 공간적으로 예측하는 범죄예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범죄발생과 밀접하게 관련된 다양한 인자들을 도출한다면 도시범죄의 발생구조를 보다 명확히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신도시계획의 계획지표를 반영한 U-City의 U-방범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U-Service for Security in U-City Newtown Planning)

  • 윤효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5D호
    • /
    • pp.645-65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시대를 선도하는 U-City 추진이나 U-City 관련기술의 연구개발도 중요하지만, 오랜 역사적 경험과 지속적 연구로 성숙되어진 공간계획기법들과 연계되는 U-City의 추진이 필요하다는 시점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 최근의 신도시계획에서 나타나는 각종 공간계획지표의 변화특성, 특히 안전이나 방범에 대한 계획지표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어서 안전한 도시공간 형성을 위한 유비쿼터스 기법과 전통적인 안전도시구상을 위한 방어공간이론, 최근의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 등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각각의 계획적 지표들이 계획단계부터 통합되어지지 않고 추진되어지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각각의 장단점을 보완, 연계하려는 시도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의 주된 관심사였던 범죄예방를 위한 공간계획의 시점에서 보면, 건축적인 접근과 함께 비건축적인 접근이 상호보완적으로 추진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기계적인 감시 등 비건축적 접근에 치중하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즉, CCTV 등의 활용이 시대적 요구라고 할지라도 물리적 공간계획의 효과를 상승시키는 방향에서 고려가 되어야 할 것이나 이에 대한 배려는 미약한 실정이었다.

민간경비와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 기법의 상호의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dependence of Private Security and Techniques of CPTED)

  • 이정덕;임유석
    • 시큐리티연구
    • /
    • 제29호
    • /
    • pp.223-249
    • /
    • 2011
  • 현대사회에서 시민들의 안전과 삶의 질적 측면을 적극 고려하는 범죄예방활동은 범죄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고, 효과적인 범죄예방 전략을 통해 사회구성원들의 관심을 이끌어내고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범죄예방을 위한 정책과 기법들은 시간이 흐를수록 보다 과학적이고 최첨단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오늘날 대표적인 범죄예방의 최첨단 전략이 민간경비영역에 많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민간경비에 첨단기술이 많아지면서 비용이 상승하고 투자대비 효과에 대한 의문도 일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 전략이다. 이는 적은 비용으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도록 주위의 환경을 개선하는 것으로 자연적 감시원리, 접근통제, 영역성, 감시강화 활동의 지원, 유지 및 관리의 원리를 강조하는 다각적인 범죄예방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범죄예방과 관련된 방어공간의 영역설정은 민간경비와 CPTED의 영역과 활동의 영역을 결정지으며, 현실적으로 범죄에 대한 예방과 방어공간을 고려해야 한다. 범죄의 사전적 예방이 강조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범죄예방을 위한 접근 시각과 방법을 달리하는 민간경비와 CPTED의 이질적인 측면과 기술적이고 전문적인 영역에서 어느 정도 중첩이 되는 동질적인 측면이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범죄에 대한 공간과 환경적인 접근을 통해 예방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민간경비와 CPTED는 범죄예방활동과 관련해서 범죄가 발생할 수 있는 기회를 감소시키기 위한 공간적인 시각과 다각적인 접근을 의미하고, 특정행동에 해당하는 범행과 그 기회를 억제하거나 유인하기 위한 범죄예방 정책이라 할 수 있다. 결국, 범죄의 사전적 예방이 강조되고 이와 관련된 전략이 요구되는 가운데 민간경비와 CPTED의 상호의존성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범죄예방에 대한 접근 방법과 주체 그리고 규모의 다양성, 둘째, 민간경비와 CPTED의 특성과 한계를 고려한 영역 설정, 셋째, 상호의존적인 민간경비의 첨단적이고 과학적인 발전과 범죄예방에 대한 CPTED의 방어공간영역을 전문적으로 연구하여 접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PDF

조망과 은신개념으로서의 초등학교 공간특성과 건축설계 방법연구 (Primary School Spatial Characteristics and Architectural Design Methods based on Prospect and Refuge Concept)

  • 심은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2권1호
    • /
    • pp.1-12
    • /
    • 2023
  • 범죄는 예방이 더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국내에도 범죄예방 환경설계 방법인 CPTED가 도입되어 다양한 공간에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전한 학교의 설계를 위해 CPTED의 근간이 되어준 '조망과 은신'의 이론의 개념과 적용방법을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초등학교의 공간을 분석하여 특성과 방법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례연구의 대상은 최근 10년 이내에 완공된 해외의 중소규모 초등학교 가운데 창의적 발상이 돋보이는 6곳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망의 공간특성은 구성의 입체성과 동선의 주목성으로 나눌 수 있었다. 구성의 입체성은 구조와 요소를 활용한 공간 입체성 그리고 파노라마와 전망의 시선 입체성의 설계방법으로 구현되고 있었다. 동선의 주목성은 형태, 재료, 색채를 활용하고 있었. 은신의 공간특성은 크게 매스의 분절과 공간 위요성으로 도출되었다. 매스의 분절성은 매스들의 관입, 적층, 병치, 중첩을 통해 선형, 중심형, 방사형, 그리드형, 클러스터형으로 재조합될 수 있으며 공간의 위요성은 크게 상부형과 측면형의 설계방법으로 구분되었다. 사례의 대상들이 국내의 사회적 여건이나 교육방식과 다른 점도 있지만, 초등학교 복합화와 개방화의 흐름 속에서 안전한 초등학교 건축을 위한 이론적 틀이자 설계방법에 대한 기초자료가 기대한다.

CPTED 요소로써 서울시 공원·녹지의 효과와 계획적 함의 (The Effects of Urban Park and Vegetation on Crime in Seoul and Its Planning Implication to CPTED)

  • 조민균;박찬;장정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7-35
    • /
    • 2018
  • CPTED 기법을 의무적으로 적용함에 있어서 공원 녹지의 부정적인 부분만 반영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는 공원 녹지의 긍정적 효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CPTED 요소로써 공원 녹지의 효과를 이론과 데이터에 근거한 실증과 이를 통하여 계획적 함의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로는 통계청과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통계자료와 USGS의 Landsat8 위성영상을 활용하였으며, 사용된 분석 도구로는 ArcGis와 통계 프로그램 SPSS, Microsoft Excel, R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공간통계분석, 상관분석, 문헌분석을 추가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회귀분석의 결과는 총인구(${\beta}=.663$), 풍속대상업소 수(${\beta}=.447$), 관할구역의 면적(${\beta}=.395$)은 범죄율과 양(+)의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녹지의 효과를 보여주는 유동인구(${\beta}=-.241$)와 수목활력(NDVI, ${\beta}=-.281$)은 음(-)의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원 녹지가 유동인구를 높이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목활력(NDVI)은 심리적 안정을 통해 폭력성을 낮추고, 영역성 강화와 이미지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CPTED 요소로써 공원 녹지의 물리적 공간배치와 프로그램 및 관리방안에 관한 계획적 함의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