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fect management

검색결과 634건 처리시간 0.027초

공동주택 생애주기의 체계적인 하자관리를 위한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Method for Systematic Defect Management of Apartment Life-cycle)

  • 박창욱;윤석현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18-621
    • /
    • 2007
  • 현행 실행되고 있는 하자관리의 경우 마감전단계, 시공자 사전점검, 입주자 사전점검시기에만 주로 하자점검을 하고 각각의 하자 데이터는 서로 연관성이 없다. 그리고 기존의 하자관리 연구의 경우 주로 하자를 분류함에 있어 공종 및 공종별 하자 유형으로 하자데이터를 분류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자 데이터를 분류하는 기준에 하자의 부위를 추가 하여 하자 데이터를 분류하였다. 또한 부위별 하자관리에 의한 상시 하자관리 체계 방안으로 Web을 기반으로 하는 PDA와 3DCAD이용을 제안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MOBILE APPLICATION BASED RFID AND BIM FOR DEFECT MANAGEMENT ON CONSTRUCTION FIELD

  • Oh-Seong Kwon;Hwi-Gyoung Ko;Hee-Taek Park;Chan-Sik Par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7-13
    • /
    • 2013
  • Recently, defect management have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issues for more large-sized and complicated in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However, the defect management have not been performed systematically because of special manpower, excessive amount of documents, 2D based inspection work, unclear traditional checklists, complicated work process and difficulty in communicating construction information. Therefore, the construction field manager could not performed the quality inspection and defect management work on time as well as the reliability of recorded quality and defect factors was decreased.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develop a Construction Defect Management Application CDMA) using a mobile (smartphone). The application can be sharing a hug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ased on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which enables field mangers to efficiently gather the information of defection in construction on-site.

  • PDF

소규모 조직을 위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기반의 결함 관리 프로세스 (A Defect Management Process based on Open Source Software for Small Organizations)

  • 한혁수;오승원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5권3호
    • /
    • pp.242-250
    • /
    • 2018
  • 고품질의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위해서는 발생하는 결함을 발견하고 해결해야 한다. 결함 관리 작업의 소홀함은 후에 재작업을 요구하게 되고, 결국 납기 지연 등 프로젝트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조직들은 결함 관리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내재화해야 한다. 관련 표준 모델들은 결함 관리 프로세스를 프로젝트 모니터링 및 제어 영역에서 다루고 있다. 하지만, 소규모 조직에서는 표준 문서 기반의 프로세스 구현에 어려움을 느끼고,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규모 프로젝트 참여 인원과 기간에 적합한 결함 관리 프로세스와 체계적인 지원을 위한 Redmine과 Subversion, Maven, Jenkins 등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기반의 SW Visualization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결함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이를 기반으로 결함 데이터 분석 및 제어 활동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한 프로세스와 Tool Chain을 중소기업에 적용하여 그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기계학습 알고리즘 기반 하자 정보 관리 시스템 개발 - 공동주택 전용부분을 중심으로 - (A Developing a Machine Leaning-Based Defect Data Management System For Multi-Family Housing Unit)

  • 박다슬;차희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35-43
    • /
    • 2023
  • 공동주택 하자 분쟁의 증가와 함께, 하자관리의 중요성 또한 커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공용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또한 하자관리의 주체인 '관리사무소'를 위한 시스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관리사무소의 하자관리 능력의 부족과 관리 품질의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관리사무소를 위한 기계학습 기반의 하자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OCR과 NLP 모듈을 사용하여 관리상의 불편한 점을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OCR을 통해 수기로 작성된 하자 정보를 디지털 문서로 변환한다. 이후 언어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양식과 함께 하자 정보를 재생성한다. 최종적으로 생성된 텍스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계적 분석을 실행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관리사무소의 하자관리 역량을 향상할 수 있도록 돕고,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공동주택의 하자정보관리시스템 개선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efe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Apartment House)

  • 장효성;서치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5-123
    • /
    • 2010
  • 우리 국민의 거주 형태로 아주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공동주택의 하자는 입주민에게 큰 불편과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그러나 시공사에서 하자정보의 관리에 조금 더 관심을 기울인다면 많은 하자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자 발생을 방지시키기 위한 개선된 하자정보관리시스템을 도출하려 한다. 먼저 관리시스템의 취약으로 인한 하자사례를 조사하여 개선된 하자정보관리시스템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다음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그 결과로써 현재의 하자정보관리시스템의 문제점과 개선 필요성을 파악 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하자정보관리시스템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는데 이는 하자 발생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수기문서 전자화 프레임워크 기반의 교육시설 하자관리 시스템 (A Handwritten Document Digitalization Framework based Defect Management System in Educational Facilities)

  • 손봉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9권3호
    • /
    • pp.1-11
    • /
    • 2010
  •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T based information system has been diversely applied to increase productivity. Although IT device such as PDA, RFID, Barcode, wireless network and web camera has been introduced to gather information in construction site, the effect of the IT device is limited, because of bringing about additional works of engineer. In this paper, we proposed a defect management system which is based on handwritten document digitalization framework for introducing applicability of new IT device, digital pen. By the proposed system, we can effectively gather and input defect information to defect management system by using digital pen and paper like conventional way. Applying the data gathering device, digital pen to defect management, it is able to increase productivity by improving work process, building up and utilizing defect information database of good quality.

민간 주택건설회사의 하자보수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nagement and judgement of defect-repair in private housing construction company)

  • 윤정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143-151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efect-repair management and judgement of apartment housing for the private housing construction company. The objectives are : 1) to investigate how the defect-repair were managed and 2) to suggest the range, period of defect-repair and the proper managial size of housing company. Data were collected by the interviews from the heads of management departments of housing construction companies. Twenty-one companies selected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amount of housing supply. Major result were as follows : 1) departments of defect-repair in housing construction company are divided into sub-system according to the size of housing supply. 2) the judgement of the range and period of defect-repair are extracted. They are,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ir importance, constructional defect, functional defect, aesthetical defect and the defect in use.

  • PDF

소프트웨어 결함 처리를 위한 Opportunity Tree 및 알고리즘 설계 (Design of Software Opportunity Tree and Its Algorithm Design to Defect Management)

  • 이은서;이경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4호
    • /
    • pp.873-88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시 발생하는 결함을 찾아내고, 원인을 식별 및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검출된 결함 항목을 기반으로 하여 결함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opportunity tree로 나타낸다. 신뢰성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와 개발과정에 존재하는 결함을 찾아내고 이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은 요인은 품질로 귀결되게 되는데, 품질은 비용, 일정과 함께 프로젝트의 성공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이다. 따라서 결함 처리 opportunity tree 및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유사한 프로젝트를 수행 시, 결함 예측하여 대비 할 수 있게 된다.

공동주택 하자관리 업무프로세스 개선 (Business Process Improvement of Defect Management in Apartment Housing Project)

  • 오정환;송영웅;최윤기;임형철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16-27
    • /
    • 2009
  • 최근 주택보급률의 상승과 공동주택 물량의 증가로 인하여 공동주택에 대한 건설기업의 공사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공급자 위주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분양시장이 변화함에 따라 고객 가치 향상을 위한 고객접점의 하자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공동주택태 하자관리는 하자관리 업무 프로세스 관리 미흡,하자관리 조직의 관리 부족, 하자 정보 피드백 부족, 시공단계의 하자관리를 위한 대비부족으보 동일 하자 요인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며 고객이 요구하는 품질 및 만족도에 부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하자관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자관리 업무 프로세스 개선 모델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하자관리 업무 프로세스 개선 모델은 하자관리와 품질관리의 통합적 관리를 통하여 정보의 피드백을 실현시키며 하자관리와 품질관리의 업무프로세스를 정렬한다. 또한 부적합 처리 업무를 개선함으로써 하자 관리 관련 업무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궁극적으로 품질 향상을 통한 건설업체의 고객 만족도 및 이미지 제고에도 크게 기여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동주택에 대한 하자정보 관리시스템의 개선 모델 (Improvement Model of Defe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partment Buildings)

  • 강현욱;박양호;김용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3-2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거주자가 하자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하고 건설회사와 정보를 공유 할 수 있는 하자정보 관리시스템에 대한 개선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하자정보 관리시스템을 고찰하고 거주자가 요구하는 기능을 적용하여 개선모델의 구조와 데이터 흐름 계통도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개선모델의 경제적 효과를 추정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과 방법에 따라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빅 데이터와 연계하기 위한 하자정보 관리시스템의 정보입력화면에 대한 기본설계를 하였다. 또한 개선 모델을 활용함에 따라 유발되는 경제적 효과는 기존 방법 대비 약 151백만원이 절감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