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ys from sowing to flowering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 of Sowing Dates on Flowering and Maturity of Sesame

  • Shim Kang-Bo;Kang Churl-Whan;Kim Dong-Whi;Chae Yong-Am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13-117
    • /
    • 2006
  • To identity the effect of sowing dates on flowering and maturity of sesame, some agronomic traits including days to flowering and days to maturity were investigated under five different sowing dates. Plant height, days to flowering, days to maturity, days from flowering to maturity and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were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by years, sowing dates and varieties. Interaction between sowing dates and varieties affected to days to flowering, days to maturity, days from flowering to maturity and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Plant height, days to flowering and days to maturity decreased significantly as sowing dates were delayed, but number of capsules and seed weight per plant showed highest at the sowing date of May 10. At the regression analysis of shortness degree of growth period by the response of days to flowering and days to maturity under different sowing dates, sesame varieties with earlier flowering habit were much less affected by day length rather than ones with later flowering habit. $R^2$ and gradient value on the days to maturity regression graph were smaller indicating that maturity was much less sensitivity than flowering to the change of day length and temperature in the move of sowing dates. Therefore, it would be concluded that early maturity sesame varieties have higher potential adaptability to various sesame cropping systems in view of their less sensitivity to day length changes under different sowing dates.

남부지역에서 콩의 적기파종 대비 후기 파종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and Yield of Soybean on Late-Sowing Compared to Optimal Sowing in the Southern Region of South Korea)

  • 김예린;김종혁;노일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9권1호
    • /
    • pp.61-69
    • /
    • 2024
  • 남부지방(진주)에서 콩 생태형에 따라 적기파종 이후 파종 시기를 달리하였을 때 온도와 일장이 생육일수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적기파종 이후 파종시기를 달리하여 파종하였을 때 모든 생태형에서 출현일, 개화소요일수, 전체 생육일수는 단축되었다. 2. 일장과 온도가 생육일수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파종~개화기까지 소요일수는 일장과 온도 모두 정의 상관이였고, 개화기~수확기까지 소요일수는 일장은 정의 상관, 온도는 부의 상관이 있었다. 3. 추정 회귀모형은 파종~개화까지 소요일수(Y) = 3.177 + (0.030 × (누적일장 + 적산온도)), 개화기~수확기까지 소요일수는 (Y) = 20.945 + (0.021 × (누적일장+적산온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수량은 적기파종에서 가장 높았고 적기파종 이후 늦게 파종할수록 수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조생종은 7월 20일, 중만생종은 7월 10일 이전까지는 파종을 해야 급격한 수량감소를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Effect of Delayed Sowing on Growth, Flowering Date, and Yield in Sesame

  • Lee, Sung-Woo;Kang, Churl-Whan;Kim, Dong-Hwi;Shim, Kang-B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30-13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creased ratio of growth and yield by delayed seeding and flowering because drought of spring season often cause to delay seeding and sprout emergence. Equation of linear regression, y=-11.914x+818.61 ($R^2$=0.916) and y=-16.96lx+913.98 ($R^2$=-0.885) were derived from relationship between sowing date and yield of leading variety, Yangbaeckkae in 1999 and 2000, respectively. Yield was decreased by 7, 24, 40, 57, 74%, respectively, according as sowing date was delayed more 5, 15, 26, 36, 46 days than May 15, standard sowing date under the culture mulched with black P.E. film.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and length of stem bearing capsule were greatly decreased, while plant height, stem diameter, and day to flowering were affected little by delayed seeding date. Equation of linear regression, y=-0.7081x+41.04 ($R^2$=0.861) was derived from relationship between flowering date and yield of 33 accessions. Yield was decreased by 7.7, 8.3, 9.2, 10.1, 11.2%, respectively, according as flowering date was delayed more 1, 2, 3, 4, 5 days than July 3, normal flowering date of Yangbaeckkae when it was sown on May 15, and the more flowering date was delayed, the more yield was decreased.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and length of stem bearing capsules were greatly decreased, but plant height and harvest index were decreased little by delay of flowering date

  • PDF

파종기 이동이 들깨 생태변이에 미치는 영향 (Responses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 Different Sowing Times with Perilla(Perilla ocimoides L.))

  • 박종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33-440
    • /
    • 2005
  • 들깨 4품종을 4월 25일부터 30일 간격으로 7월 25일까지 4차에 걸쳐서 파종하여 각 파종기에 따른 생태변이를 조사하였다.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초장, 1차분지수 착화방수, 생체중, 건물중, 발아요소일수 및 개화소요일수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임으로서 파종기와 이들 형질간에 높은 부의상관 및 개화소요일수와 소요적산온도 사이에는 높은 정의상관관계를 보였다. 저온, 장일조건하에 조기파종하면 영양생장이 길어서 개화기까지 약 132일이 소요되고, 그 후 파종은 점차로 단축되어 불과 57일만에 개화를 볼 수 있다. 파종기에 따른 종실수량은 품종에 따라 다르다. 즉 A형(논산종)과 B형(진천종)은 조기파 종할수록 수량이 많았고, C형(남양종과 울진종)은 5월 25일 파종구가 가장 많았다. 1000립종은 파종기가 늦을수록 무거워 지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들깨는 단일성작물로서 파종기 여하를 막론하고 9월상$\~$중순까지 개화함으로 품종에 따라 충분한 영양생장기간을 고려하여 파종하여야 한다.

중간신육 직립형 동부의 파종기 이동에 따른 재배적 특성 변화 (Effects of Sowing Date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te-erect Type Cowpea)

  • 김동관;이경동;임요섭;정정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04-510
    • /
    • 2016
  • 본 연구는 중간 신육형 직립 초형 동부 계통의 파종기 이동이 생태반응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전남 나주(위도 35° 04' N, 경도 126° 54' E)에서 2013년과 2014년에 수행하였다. 시험계통으로 전남1호와 전남2호(옥당)를 이용하여 4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1개월 간격으로 5회 파종하였다. 출현일수는 4월 중순 파종에서 12일로 길었고, 기타 파종기에서는 5∼3일이었다. 개화일수는 4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는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짧아지다 8월 중순 파종에서 길어졌다. 즉, 4월 중순 파종에서 62일 내외로 가장 길었고, 7월 중순 파종에서 35일로 가장 짧았다. 개화시에서 수확기까지의 소요일수는 4월 중순부터 7월 중순 파종에서 17∼15일로 짧았으나, 8월 중순 파종에서는 24일로 긴 편이었다. 경장은 5월 중순과 6월 중순 파종에서 긴 편이었고, 화경장은 4월 중순 파종에서 긴 편이었으며, 주경절수는 7월 중순 파종, 분지수는 4월 중순 파종에서 많았다. 전남1호와 전남2호(옥당)의 10 a당 수량은 4월 중순 파종에서 각각 199, 211 ㎏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7월 중순 파종에서 각각 191, 195 ㎏로 많았다.

온도와 일장조건에 따른 참깨 개화 및 생육특성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Daylength on Flowering and Growth Characteristics)

  • 심강보;구본일;신명나;전원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3호
    • /
    • pp.241-247
    • /
    • 2020
  • 온도와 일장처리를 달리하여 참깨 개화, 생육특성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2019~2020년 2년에 걸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일조건(12시간)에서 온도 증가에 따른 참깨 품종의 개화일수 단축정도는 90일깨가 11일, 풍성깨가 10.5일, 아름깨가 10일이었으며 고온조건(28℃)에서 일장이 길어 질수록 참깨품종의 개화지연일수는 90일깨가 7.5일, 안산깨와 양백깨가 각각 9일, 풍성깨가 14.5일, 성분깨가 15일, 아름깨가 18일로 나타났다. 2. 개화일수와 경장, 주당삭수, 천립중, 10a당 수량간에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는데 개화소요 일수가 길어 개화가 늦어지면 생식생장기간이 줄어들고 수량관련 형질들의 기본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간이 부족해진다. 3. 일장과 온도에 따른 품종 간 수량성 변화를 보면 안산깨, 아름깨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수량이 감소하였으나 양백깨, DT45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일장이 길어질수록 수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으며 참깨 품종간 반응을 다양하게 나타났다. 4. 풍성깨, 성분깨는 파종기를 앞당겨서 조기파종에 적합하였으며 DT45, 풍성깨, 90일깨, 안산깨, 성분깨는 파종기를 늦추어 만파를 할 경우 적합하였다. 양백깨와 아름깨는 5월 상순부터 중순까지 파종을 하였을 경우 수량성 확보에 유리하였다.

Growth Characteristics as Affected by Polyethylene Film-Mulching in Sesame

  • Lee, Sung-Woo;Kang, Churl-Whan;Kim, Dong-Hwi;Shim, Kang-Bo;Seong, Nak-Su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69-272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varietal differences on growth characteristics under the conditions of PE film-mulching and non-mulching in sesame. At maturing stage from 76 to 95 days after sowing, Yangbaeckkae, non-branching plant type, under non-mulching showed larger leaf area index (LAI) than that of film-mulching, while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were similar to those of film-mulching. LAI of Ahnsankkae, branching plant type, under non-mulching was similar to film-mulching, while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were smaller than those of film-mulching. Net assimilation rate (NAR) of two varieties under non-mulching was lower at seedling stage from 25 to 35 days after sowing but higher at flowering stage from 45 to 55 days after sowing. At maturing stage from 66 to 77 days after sowing, NAR and crop growth rate (CGR) of Yangbaeckkae under non-mulching were greater than those of film-mulching, whereas those of Ahnsankkae under non-mulching were lesser than those of film-mulching. Yield under non-mulching was decreased by 7 % in Yangbaeckkae and 33 % in Ahnsankkae compared with that of film-mulching, therefore Yangbaeckkae was more adaptable for non-mulching than Ahnsankkae. Main factors decreasing yield of Yangbaeckkae under non-mulching were small LAI, NAR, and CGR at the stage of young seedling, and small number of capsules at early maturing stage from first flowering to 20 days after first flowering.

잇꽃 재배지대에 따른 개화 소요일수 추정 및 파종시기별 생육 특성 (Estimation of Days to Flowering according to Various Altitudes and the Effect of Sowing Dates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Safflower)

  • 최영민;문정섭;정동춘;유은애;송희경;이승윤;이진재;최소라;김홍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1-170
    • /
    • 2024
  • 본 연구는 잇꽃(Carthamus tinctorius) 4자원(재래종, IT323225, IT333473, IT333482)의 유효적산온도를 기반으로 개화 소요일수 추정과 파종시기에 따른 생육 및 수량 특성을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잇꽃 4자원은 3월 29일, 5월 3일, 5월 13일, 5월 24일, 6월 2일에 각기 파종하였으며, 생육기간 동안 기상정보수집과 생육단계 및 수량 특성을 조사하였다. 파종시기별 잇꽃 4자원의 평균 개화 소요일수는 재래종(61.0일)이 가장 짧았고, IT333482 (73.2일), IT323225 (74.0일), IT333473 (74.2일) 순이었다. 평균온도를 근거로 산출한 잇꽃 4자원의 기준온도와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재래종 6℃, 579℃, IT323225 11℃, 766℃, IT333473 11℃, 768℃, IT333482 10℃, 750℃이었다. 산출한 유효적산온도와 최근 5년간(2019-2023년)의 일평균기온을 이용하여 재배지대(평야지, 중산간지, 산간지)와 파종시기(4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15일 간격, 10수준)별로 적용한 결과, 잇꽃 4자원은 모두 7월 15일 파종까지 개화 소요일수가 감소한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지대별 소요일수는 평야지 < 중산간지 < 산간지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수량 특성 중 초장, 분지 수, 주당 화기 수, 화기당 종자 수, 백립중, 주당 종자량은 4자원 모두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다.

Vetch Effects for the Low-input No-till Direct-Seeding Rice-Vetch Cropping System

  • Cho, Young Son;Choe, Zhin R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21-224
    • /
    • 1999
  • A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weed control effects of vetch and to evaluate vetch characteristics on clay loam soil in no-till direct-sown rice-vetch cropping systems. The effects of weed control, forage productivity, and N content of vetch plants were investigated. With the progress of plant growth, density of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gradually decreased, but densities of foxtail and other weeds decreased steeply due to the depression by the over-shaded vetch canopy in a no-till direct-sown rice-vetch cropping paddy field. The vetch density in tillage systems was lower than in notillage cropping systems. Lower vetch density occurred with an increase in foxtail density and other weeds. Weed control effect increased by the progress of vetch growth, which indicated that the vetch canopy over-shaded the weeds. Vetch straw was degraded rapidly submergence after with water at the time of wet sowing of rice. Early harvesting of vetch seed resulted in lower seed germination. To acquire enough seedlings without re-sowing, the harvesting of seed should be delayed at least 28 days after the flowering stage in order to ensure the vetch population is sustainable in a no-till direct-sown rice-vetch cropping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survival of vetch plants, vetch seeds should germinate from the heading .stage to before the full-ripening stage of rice plants. To enhance the percent of over-wintering survival, vetch seeds should germinate no later than the end of October in southern Korea. The dry weight of vetch plants increased with the progress of vetch growth until the flowering stage but N content decreased for 30 days from before the flowering stage (2.9%) until the ripening stage (1.8%). We concluded that Chinese milk vetch could have an effect on weed control before the flowering stage, sustainability without re-sowing of seed annually, and effective green manure for rice pre-crop in no-till direct-sown rice-vetch relay cropping systems.

  • PDF

개맨드라미의 파종과 정식기가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wing Date on Growth and Flowering of Celosia argentea)

  • 이정호;조동광;송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0-125
    • /
    • 2006
  • 한국 자생 개맨드라미의 파종시기에 따라서 개화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생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재배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1월부터 8월까지 1개월 간격으로 파종하였다. 2월과 3월에 파종하여 4월과 5월에 정식한 개맨드라미의 초장은 69.1cm 이하로 짧고, 개화소요일수가 31일로 단축되었으며 측지발생이 많아서 개화수도 많았으나, 화서장이 짧고 경경도 가늘었다. 5윌부터 6월에 파종한 것은 개화소요일수가 58일로 길었고, 초장도 94.1cm에서 122.0cm로 길었다. 따라서 개맨드라미는 봄의 단일조건에서 개화가 촉진되는 상대적 단일식물로 판단된다. 시기별로 화단 조성을 위하여 개맨드라미를 파종할 경우 여름부터 가을까지의 키가 작고 총총한 화단 조성을 위해서는 2-3월에 파종하여 4-5월에 화단에 정식하는 것이 적당하고, 초장이 긴 가을 화단 식물 조성이나 절화용으로 활용할 경우는 4-5월에 파종하여 6-7월에 포장에 정식하는 것이 적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