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3 acts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32초

작업현장의 안전을 위한 LoRa기반 통신의 음영지역 해소를 위한 연구 (A Study on Resolving Shadow Area of LoRa-based Communication for Workplace Safety)

  • 김승용;김동식;황인철;김경수;김경용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402-410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의 통신 음영지역을 해소하는 것이다.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은 고위험 작업장(산업현장, 재난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실시간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중계할 수 있다. 데이터는 구조팀에게 구조작업 시 '골든 타임'을 제공한다.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 안전 태그는 사용자의 중계기 역할을 하도록 설계 및 구현되었다. 연구결과: 다시 말해, 안전 태그와 지휘부의 통신 구간에서 통신 음영이 생길 경우, 안전 태그는 해당 지역의 다른 안전 태그에 대한 중계기 역할을 한다. 결론: 이 연구는 개발한 안전 태그가 통신 음영지역이 있는 특정 건물에서 통신두절 문제가 해소되는지 테스트했다. 먼저, 안전 태그와 지휘부 단말기 사이에서 통신 음영지역을 확인했다. 동일한 상황에서 추가 안전 태그를 배포한 결과 통신 음영지역이 해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계기 역할을 하는 안전 태그는 테스트 빌딩에서 최대 지하 3층 까지 통신 음영지역을 해소할 수 있었다.

Autocrine Regulation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Operates at Multiple Control levels of GnRH Gene Expression in GT1-1 Neuronal Cells

  • Jin Han;Sehyung Cho;Woong Sun;Kyungjin Kim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4호
    • /
    • pp.483-488
    • /
    • 1998
  • We previously found that a potent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gonist, buserelin, decreases GnRH promoter activity together with GnRH mRNA level, providing evidence for an autoregulatory mechanism operating at the level of GnRH gene transcription in immortalized GT1-1 neuronal cells. To examine whether agonist-induced decrease in GnRH mRNA level requires the continuous presence of buserelin, we performed a pulse-chase experiment of buserelin treatment. Short-term exposure (15 min) of GT1-1 neuronal cells to buserelin ($10{\mu}M$) was able to decrease GnRH mRNA levels when determined 24 h later. When GT1-1 cells were treated with buserelin ( $10{\mu}M$) for 30 min and then incubated for 1, 3, 6, 12, 24, and 48 h after buserelin removal, a significant decrease in GnRH mRNA levels was observed after the 12 h incubation period. These data indicate that inhibitory signaling upon buserelin treatment may occur rapidly, but requires a long time (at least 12 h) to significantly decrease the GnRH mRNA level. To examine the possible involvement of de novo synthesis and/or mRNA stability in buserelin-induced decrease in GnRH gene expression, actinomycin D ($5{\mu}m/ml$), a potent RNA synthesis blocker, was co-treated with buserelin. Actinomycin D alone failed to alter basal GnRH mRNA Revel, but blocked the buserelin-induced decrease in GnRH mRNA level at 12 h of post-treatment. These data suggest that buserelin may exert its inhibitory action by altering the stability of GnRH mRNA. Moreover, a polvsomal RNA separation by sucrose gradient centrifugation demonstrated that buserelin decreased the translational efficiency of the transcribed GnRH mRNA.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GnRH agonist buserelin acts as an inhibitory signal at multiple levels such as transcription mRNA stability, and translation.

  • PDF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컴페션을 매개효과로 - (The Effect of CSR Perception Within Organization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Compassion -)

  • 고성훈;문태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3호
    • /
    • pp.189-220
    • /
    • 2013
  • 본 논문은 조직 내 구성원들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SR)에 대한 인식이 컴페션을 매개로 조직몰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즉, 조직의 CSR 활동이 조직 내 구성원들의 조직에 대한 의미형성(sense-making)에 영향을 미쳐 결국 조직 내 구성원들의 태도와 행동 변화를 유발하여 컴페션을 증가 시키고, 결국 이를 통해 조직몰입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기업의 400명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실증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 CSR인식은 컴페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컴페션 역시 종속변수인 조직몰입에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CSR 인식과 조직몰입의 정(+)의 관계를 컴페션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상호작용 공정성은 CSR인식과 컴페션 간의 관계를, 조직후원인식은 컴페션과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 생태계 유형별 탄소 저장 및 거동 산정 연구 현황 분석 (Estimation of Carbon Storages and Fluxes by Ecosystem Type in Korea)

  • 장인영;정헌모;한상학;안나현;김덕엽;강성룡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17-425
    • /
    • 2023
  • 생태계는 탄소순환에 있어 매우 중요한 탄소 저장고이다. 기후변화가 점점 심화됨에 따라, 생태계의 이러한 기능을 활용하여 기후변화를 완화하려는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생태계를 대상으로 생태계 유형(산림, 농경지, 습지, 초지, 정주지) 및 탄소저장고별(지상부·지하부 생체량, 고사목, 낙엽, 토양유기탄소 및 생태계 전체) 탄소 저장 및 거동과 관련된 연구를 목록화 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선행연구 결과를 모아 각 생태계 유형과 탄소저장고를 대상으로 탄소 저장 및 거동량의 평균값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66%) 국내 탄소 저장·거동 관련 연구가 산림에서 수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림에서 수행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탄소저장고별 저장량을 분석한 결과, 식생의 지상부(4,166.66gC m-2)와 지하부(3,880.95gC m-2)와 토양(4,203.16gC m-2)에 많은 양의 탄소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산림 지하부에 많은 탄소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생태계 유형의 경우, 데이터의 제한으로 탄소저장고별 저장·거동량은 확인이 불가능하였다. 다만, 토양유기탄소 저장의 경우 산림과 초지의 데이터가 비교 가능하였는데, 두 생태계가 상대적으로 비슷한 탄소의 양을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각각 4,203.16 gC m-2, 4,023.23 gC m-2). 본 연구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다양한 생태계 유형에서의 탄소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방기술사의 안전의식, 안전행동과 인명안전과의 관계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Life Safety Awareness and Safety Behaviors of Fire Professional Engineers on Life Safety)

  • 김명철;고한목;박재관;서해열;유병선;유창범;윤해권;주승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5호
    • /
    • pp.112-121
    • /
    • 2018
  • 본 연구는 소방기술사(Fire Professional Engineer)의 안전의식, 안전행동과 인명안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단순회귀 분석,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소방기술사의 안전의식이 높아지면 안전행동은 72.1% 상승하고,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이 높아지면 인명안전은 각각 61.5%와 64.5%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행동은 안전의식과 인명안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모든 연구가설(H1, H2, H3, H4)의 채택으로 소방 관련법은 인명안전 중심으로 개정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통계적으로 검증되어, 향후 인명안전을 반영한 분석 자료로 널리 활용 될 것이다.

A549 폐 상피세포에서 합토글로빈에 의한 염증반응 조절 (Inflammatory Regulation by Haptoglobin in A549 Cells)

  • 김남훈;이명재;김인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00-504
    • /
    • 2006
  • 합토글로빈(Hp)은 조직손상이나 감염 등의 염증시에 혈중 농도가 증가하는 급성기반응단백질로서 주로 간에서 생합성되지만 염증을 동반한 폐에서도 발현됨이 보고되었다. 폐에서 합성되는 Hp이 염증반응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고자, Hp을 과발현하는 폐상피세포를 사용하여 COX-2 및 염증관련 cytokine들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Stable transfection 또는 transient transfection된 A549 세포에서 Hp이 잘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한 후 COX-2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Hp의 과발현에 의해 COX-2 합성이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Hp을 과발현하는 A549세포에 LPS ($1{\mu}g/ml$) 또는 $IL-1{\beta}$ (100 U/ml)를 각각 24시간 동안 처치하였을 때, Hp에 의한 COX-2 발현 증가는 LPS또는 $IL-1{\beta}$자극에 의해 협동적으로 증가하였다. ACP-based PCR 방법으로 염증관련 cytokine들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Hp에 의해 SPARC의 발현이 현저히 저하되는 반면에 IL-4 및 S100A1 유전자 발현은 약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폐상피세포에서 Hp이 염증반응을 활성화시키는 기전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주택시장 변동의 지역간 인과성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Regions of Fluctuations in the Housing Market)

  • 김경훈;장호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18-527
    • /
    • 2016
  • 주택시장은 장소와 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주택시장의 변화는 다양한 분야에 걸쳐 파급효과를 미친다. 한편, 지역에서 소비되는 주택의 양은 가격이동의 중심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또한, 주택시장의 변동 원인은 주택 수요자의 특성에 따라 분리될 수 있으며, 그 소비자의 개별적인 특성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주택시장의 지역적 인과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문헌의 경우, 국내 주택매매시장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주택전세시장까지 고려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서울 강남, 강북지역 및 경기지역의 주택시장 지역적 인과성을 매매시장과 전세시장으로 세분화하여 벡터오차수정모형을 통해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 강남, 강북 및 경기지역의 주택매매와 주택전세가격을 분석변수로 정의하였으며, 시계열 자료는 2003년 6월부터 2015년 11월까지의 월별 자료이다. 분석 결과 주택매매시장의 경우 강남지역 주택가격 변동이 주변지역 주택가격 변동에 주요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택전세시장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강남지역 주택전세가격이 주변 지역 전세가격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수압 해저지반 수리특성 조사용 일체형 메인 프레임과 공내 측정장치 개발 (Development of Integrated Type Main Frame and Downhole Sonde Apparatus for Hydraulic Packer Testing in Seabed Rock under High Water Pressure)

  • 배성호;김장순;전석원;김학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8권3호
    • /
    • pp.258-276
    • /
    • 2018
  • 정확하고 정량적인 현지 암반 수리특성 정보들은 고수압 조건 굴착 공동 주변의 수리 지질학적 거동에 대한 신뢰성 있는 평가에 필요한 핵심 인자들 중의 하나이다. 상부의 해수가 무한 수원으로 작용하는 해저지반 내 터널이나 암반 구조물 설계에서 계획 구조물의 규모와 작용 수압이 커질수록 수리특성 정보의 중요성은 크게 증가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압시험 시스템의 부적절한 구성이나 부정확한 자료 획득과 관련된 제반 문제점들의 개선을 통해 고수압 해저지반에 최적화된 일체형 메인 프레임과 30 bar 급 완전방수구조 공내측정장치를 독자적으로 개발하였다. 수리특성 조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개별 시험장치들을 단일 프레임에 통합함으로써 협소하고 위험요소가 많은 해상 시추용 플랫폼에서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시험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되었다. 또한 유압유 이중 조절장치를 고안하여 공내 순 주입압력 기준 $2.0kgf/cm^2$ 이하 간격으로 정밀한 단계적 가압과 압력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개발 장치들의 시스템 성능과 작동 안정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연구 시험공 2개소에서 현장 적용성 시험을 완료하였으며 제주 현무암 분포 지역 내 시험공 1개소에서 대표요소체적 규모 수리특성 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 장치들의 주요 특성들과 다양한 실내 및 현장 성능시험에서 획득된 주요 결과들을 간단히 소개하였다.

리테일 매장에서 제품 희소성이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큐레이션 메시지의 역할을 중심으로 (The Scarcity Effect on Product Evaluation in Retail: The Curation Message Role)

  • 이승윤;채수준;김진욱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79-86
    • /
    • 2018
  • Purpose - Many retail stores tend to use scarcity-laden message in order to influence consumers, where scarcity refers to insufficiency of product supply or time of availability. For example, inside stores, the displayed products are often accompanied by scarcity message such as 'exclusive offer, limited time only.' According to past research, scarcity has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evaluation, since scarcity can acts as a signal of consumer demand, and thus product quality. Prior studies argue that consumers face a scarce product, they logically infer that other consumers buying the product in large numbers cause the scarcity. We propose that scarcity can be interpreted as a sales tactic artificially created by retail stores in order to increase sales of produc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use a persuasion knowledge perspective framework to develop our hypotheses. In the present research, we show that product curation type is a key variable that moderates consumer response to scarcity, and thus the scarcity effect on product evaluation. Results - In this research, we showed when scarcity-laden message was used inside the store using consumer-centric curation message, scarc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evaluation. In contrast, when scarcity-laden message was used inside the store using marketer-centric curation message, the positive of scarcity message on product evaluation was diluted. Conclusions - Our study makes two important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 on consumer response to scarcity. First, we identify a variable - namely, product curation type - that determines when either 'scarcity = good' or 'scarcity = marketing tactic' interpretation is likely to be dominant. Second, we cite persuasion knowledge perspective to explain the moderating function of product curation type in a retail store-related scarcity context. This research is relevant to practitioners, such as brand manager, retail environment manager, and advertising agencies, for the effective use for the scarcity-laden message in retail. The proposed moderator can operate in many real-life situations in retail where consumers are exposed to scarcity. And curation message related to scarcity has been facilitated by the inner-retail activities. These factors of the marketplace indicate that the boundary conditions of scarcity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al-life consumer judgment.

스테인레스 강 용접중 발생하는 망간의 발생량 및 함량변화에 관한 연구 (Generation Rate and Content Variation of Manganese in Stainless Steel Welding)

  • 윤충식;김정한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54-263
    • /
    • 2006
  • Manganese has a role as both toxic and essential in humans. Manganese is also an essential component in the welding because it increases the hardness and strength, prevents steel from cracking of welding part and acts as a deoxidizing agent to form a stable weld. In this study, manganese generation rate and its content was determined in flux cored arc welding on stainless steel. Domestic two products and foreign four products of flux cored wires were tested in the well designed fume generation chamber as a function of input power. Welding fume was measured by gravimetric method and metal manganese was determin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photometer. The outer shell of the flux cored wire tube and inner flux were analy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o determine their metal compositions. Manganese generation rate($FGR_{mn}$) was increased as the input power increased. It was 16.3 mg/min at the low input power, 38.1 mg/min at the optimal input power, and up to 55.4 mg/min at the high input power. This means that $FGR_{mn}$ is increased at the work place if welder raise the current and/or voltage for the high productivity. The slope coefficient of $FGR_{mn}$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generation rate of total fume(FGR). Also,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FGR_{mn}$ was 0.65 whereas that of FGR is 0.91. $FGR_{mn}$ was equal or higher in the domestic products than that of the foreign products although FGR was similar. From the electron microscopic analytical data, we concluded that outer shell of the wire was composed mainly of iron, chromium, nickel and less than 1.2 % of manganese. There are many metal ingredients such as iron, silica, manganese, zirconium, titanium, nickel, potassium, and aluminum in the inner flux but they were not homogeneous. It was found that both $FGR_{mn}$ and content of manganese was higher and more varied in domestic flux cored wires than those of foreign products. To reduce worker exposure to fumes and hazardous component at the sourc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new welding filler materials that improve the quality of flux cored wire in respect to these points. Welder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FGR, $FGR_{mn}$ and probably the generation rate of other hazardous metals were increased as the input power increase for the high produ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