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SPACE

검색결과 5,879건 처리시간 0.039초

Thermal Analysis of MIRIS Space Observation Camera for Verification of Passive Cooling

  • Lee, Duk-Hang;Han, Won-Yong;Moon, Bong-Kon;Park, Young-Sik;Jeong, Woong-Seob;Park, Kwi-Jong;Lee, Dae-Hee;Pyo, Jeong-Hyun;Kim, Il-Joong;Kim, Min-Gyu;Matsumoto, Toshio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9권3호
    • /
    • pp.305-313
    • /
    • 2012
  • We conducted thermal analyses and cooling tests of the space observation camera (SOC) of the multi-purpose infrared imaging system (MIRIS) to verify passive cooling. The thermal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NX 7.0 TMG for two cases of attitude of the MIRIS: for the worst hot case and normal case. Through the thermal analyses of the flight model, it was found that even in the worst case the telescope could be cooled to less than $206^{\circ}K$. This is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passive cooling test (${\sim}200.2^{\circ}K$). For the normal attitude case of the analysis, on the other hand, the SOC telescope was cooled to about $160^{\circ}K$ in 10 day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and the test, it was determined that the telescope of the MIRIS SOC could be successfully cooled to below $200^{\circ}K$ with passive cooling. The SOC is, therefore, expected to have optimal performance under cooled conditions in orbit.

3D 가상공간에서의 인상 차원에 관한 연구 -2D 기반과 3D 기반의 가상공간에서의 인상차원 비교- (Empirical study of impression dimensions in 3D cyber space : Comparison research between 2D cyber space and 3D cyber space)

  • 이수정;김희선;박수이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218-1224
    • /
    • 2009
  • 온라인 3D 게임에 기원을 두던 3D 가상공간은 오늘날 3D 기술의 발달로 점점 현실과 유사하게 구현되어 사회성이 강조된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3D 가상공간에서도 현실세계와 똑같이 의미 있는 인간관계를 갖길 원하게 되었고 3D 가상공간에서 인상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본 연구는 웹사이트 기반의 사이버 공간에서의 인상 차원과 비교되는 3D 가상공간에서의 인상차원을 제시할 것이다. 2D 기반의 가상공간과 구분되는 3D 가상공간만의 인상을 도출함으로써 전 매체에 걸친 인상 연구에 대한 바탕이 되는 이론으로서의 가치를 지니며, 향후 지속적인 기술발전에 따라 변화될 3D 가상공간 상에서의 대인관계 및 문화적, 사회적 현상에 대한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다.

  • PDF

FUZZY D-CONTINUOUS FUNCTIONS

  • Akdag, Metin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17권1호
    • /
    • pp.1-17
    • /
    • 2001
  • In this paper, fuzzy D-continuous function is defined. Some basic properties of this continuity are summarized; and sufficient conditions on domain and/or ranges implying fuzzy D-continuity of fuzzy D-continuous functions are given. Also fuzzy D-regular space is defined and by using fuzzy D-continuity, the condition which is equivalent to fuzzy D-regular space, is given.

  • PDF

Korea Multipurpose Statellite(KOMSAT) Program

  • Lee, Sang-Ryool;Lee, Jin-Ho;Kim, Jhoon;Ryoo, Jang-Soo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1995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4권1호
    • /
    • pp.36-36
    • /
    • 1995
  • No Abstract. See Full-text

  • PDF

MIRIS EOC 주경의 광기계 해석 (Opto-mechanical Analysis for Primary Mirror of Earth Observation Camera of the MIRIS)

  • 박귀종;문봉곤;박성준;박영식;이대희;이창희;나자경;정웅섭;표정현;이덕행;남욱원;이승우;양순철;한원용
    • 한국광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262-268
    • /
    • 2011
  •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한 다목적적외선영상시스템(Multi-purpose IR Imaging System, MIRIS)은 과학기술위성 3호(STSAT-3)의 주탑재체이다. 지구관측카메라(Earth Observation Camera, EOC)는 MIRIS를 구성하는 두 개의 적외선 카메라 중에 하나로, 지구의 $3{\sim}5{\mu}m$ 파장대의 적외선을 관측하기 위한 카메라이다. EOC의 광학계는 카세그레인 방식으로써 구경이 100 mm이고, 주경과 부경은 모두 비구면 반사경이다. EOC 주경의 플렉서는 링 타입으로써 발사환경에서 주경이 겪을 수 있는 충격과 진동을 견디도록 예압을 가하며 주경을 지지한다. 이는 마치 리테이너로 렌즈를 지지하는 것과 같은 메커니즘으로 주경을 지지하기 위한 시도이다. 광기계 해석을 통해 EOC 주경이 효과적으로 지지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ON D-COMPACT TOPOLOGICAL SPACES

  • QOQAZEH, HAMZA;AL-QUDAH, YOUSEF;ALMOUSA, MOHAMMAD;JARADAT, ALI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39권5_6호
    • /
    • pp.883-894
    • /
    • 2021
  • The aim of this work is to introduce for the first time the concept of D-set. This is done by defining a special type of cover called a D-cover. we present some results to study the properties of D-compact spaces and their relations with other topological spaces. Several examples are discussed to illustrate and support our main results. Our results extend and generalized many will known results in the literature.

Three-dimensional Mixed-use Complex Spaces and Setting Criteria for Road Sections for Three-dimensional Addressing

  • Kim, Ji Young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55-465
    • /
    • 2020
  • As cities continue to expand and additional underground structures are constructed, a policy is being planned to expand addresses, which are national framework data.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scope of a proposed 3D (three-dimensional) mixed-use complex space for assigning 3D addresses was defined, based on past research on 3D address systems and by analyzing related laws. Underpass shopping malls, underground walkways (excluding underground shopping malls), and 3D mixed-use transfer centers with a gross floor area of 2,000㎡ or more are connected with each space by underground walkways or public paths. In addition, the detailed space corresponding to the public space of the 3D mixed-use complex space was presented and distinguished from the space to which the detailed address is assigned. The criteria for setting the road section were presented based on the intermediate space,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3D mixed-use complex spaces. The proposed criteria were applied to the Express Bus Terminal station (3D mixed-use transfer center) and COEX mall (underpass shopping malls). Thus, the road section was set for an unfamiliar 3D mixed-use complex space. However, by applying the proposed criteria to various 3D mixed-use complex spaces, additional and detailed criteria for different cases should be prepared.

서울시 R&D 산업체의 시공간 클러스터 분석 (Space-time cluster research of R&D industry in Seoul, Korea)

  • 박선영;김영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92-511
    • /
    • 2013
  •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에서 규정한 R&D 산업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와 '개발'을 동시에 진행하는 3차 산업에 해당한다. R&D 산업과 관련한 기존 정성적 연구들은 공간군집 사례들을 기반으로 분류한 클러스터 유형 중 하나인 하이테크 혁신 클러스터로 취급하여 분석한다(Coe et al., 2007). 그러나 이는 다양한 R&D 산업의 공간군집 사례들을 일반화하는데 그쳤으며, 특히 클러스터 형성 과정에서 시간의 흐름을 고려하지 않은 R&D 클러스터가 시공간적으로 유의미한 것인지 알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공간적인 혹은 시간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는 클러스터 분석의 한계를 인식하고, 섬유 및 의복 제조업의 비교를 통해 R&D 시공간 클러스터를 탐색해본다. 연구방법으로는 시공간 클러스터의 발견 및 위치탐색을 위해 시공간 K-함수와 시공간 스캔통계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R&D는 공간적 측면만 고려한 분석에서는 유의미한 클러스터가 발견되었지만, 공간적 분포와 시간적 흐름을 동시에 고려한 시공간 클러스터는 발견되지 않았다. 즉, 시간에 따른 R&D의 신설 과정은 이미 존재하는 R&D의 공간적 위치와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섬유 및 의복 제조업은 공간과 시공간 클러스터 모두 유의미한 클러스터를 발견했다.

  • PDF

3D 가상공간에서 의사표현을 위한 Sketch Annotation 제시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play Technique of Sketch Annotation in 3D Virtual Space for Collaboration)

  • 신은주;최윤철;임순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466-1477
    • /
    • 2009
  • 3D 가상공간은 도시 및 건축 설계 분야에 매우 적합한 활용 기술로 인식되어 다양한 연구가 시도 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 및 건축 설계의 과정이 다양한 관계자들의 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반면, 이를 지원하는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3D 가상공간이 협업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가상공간 내에 의사소통을 지원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빠르고 직접적인 의사 표현 기술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의사 표현 방법으로는 Sketch 기법이 효과적이며, Sketch의 부 정확한 선은 협업과정의 아이디어 단계에서 사고의 폭을 넓혀줄 수 있다는 점에서도 매우 효과적인 표현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Sketch 기법만으로는 사실상 3D 가상공간에서 협업을 지원하기 어렵다. Sketch 기법을 협업에 적용한 기존의 연구들이 있지만 주로 3D 가상공간에 Sketch Annotation을 입력하는 것에만 중점을 두고, 입력된 Sketch가 담고 있는 내용을 잘 전달할 수 있는 지에 대해선 고려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평면이 아닌 객체에는 Sketch Annotation 입력이 불가능하거나, 입력되더라도 그 내용전달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이 논문에서는 3차원 공간에서도 효과적으로 의사를 전달 할 수 있도록, 어떠한 형태의 면에 대해서도 Sketch Annotation의 내용이 정확히 전달될 수 있는 Sketch-Box를 이용한 Annotation기법을 연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