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dI

검색결과 3,179건 처리시간 0.032초

직류(直流) 전동기(電動機)를 위한 디지탈 P.I.D 예측(豫測) 보상(報償) 제어기(制御器) (P.I.D Predictive Controllers for The Various Types of D.C Drives)

  • 김윤호;윤병도;양원영;조용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8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 /
    • pp.278-282
    • /
    • 1989
  • A Digital P.I.D Predictive Controller is applied to the various types of D.C drives. The system with predictive controllers is compared to the system with conventional P.I.D controllers. The effect of the predictive control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s are investigated. The stability of the system with predictive controllers is also studied.

  • PDF

Actinodura roseorufa에서 생산되는 UK-58,852로부터 PKS type I 에 관련된 생합성 유전자의 분리 및 분석

  • 김자용;이주호;김대희;김동현;송재경;이희찬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660-664
    • /
    • 2000
  • UK-58,852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분리하기 위해 Actinomadura roseorufa의 genomic DNA와 E. coli-Streptomyces shuttle cosmid vector인 pOJ446이 genomic library를 만들었다. Genomic library는 dehydratase PCR product와 eryA 유전자를 probe로 하여 sugar 생합성 유전자와 polyketide typel 유전자가 집단으로 존재하는 cosmid pHD54를 분리하였고, 이를 제한 효소인 BamHI, SmaI와 Sonicater를 이용해서 subcloning 하였다. 이들의 염기서열을 부분 분석한 결과, polyketide 생합성에 관여하는 ketoacyl synthase, methylmalonyl acyltransferase, ketoreductase, enolreductase 그리고 PKS loading domain 등 polyketide synthase type I 임을 보여주고 있고, BLAST 분석된 결과를 보면 polyketide synthase 유전자는 rifamycin 생합성 유전자와 유사성이 높다. 그리고 sugar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로는 oxidoreductase, dTDP-D-glucose 4,6 dehydratase, dTDP-D-glucose synthase 그리고 dTDP-4-keto-6-deoxy-D-glycose 3,5-epimerase으로 구성된 gene cluster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염기서열 분석된 유전자중 dTDP-D-glucose synthase를 발현하여 유전자의 기능을 확인하였다.

  • PDF

Metagonimus yokogawai 세르카리아의 감각유두에 관한 연구 (Study on Sensory Papillae of Metagonimus yokogawai Cercaria)

  • 김재진;민득영소진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1호
    • /
    • pp.11-20
    • /
    • 1984
  • A number of studies on the papillae of cercariae of trematodes reported that the papillar patterns (or chaetotaxy) of cercariae might be an excellent method to attain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igenetic trematodes (Richard, 1971 ; Short and Cartrett, 1973; Bayssade-Dufour, 1979) .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the number, distribution pattern and structure of the sensory papillae of Metagonimus yokogawai cercariae, and to elucidate the chaetotaxy of this digenetic trematode. M. yokogawai cercariae were pipetted from a vial in which infected snails (Semisulcospira libertina) had been kept for 3 hours. The snails were collected from an endemic area of M. yokogawai, Boseong river in west-southern part of Korea. Observations of papillae were based on light microscopy of those stained with silver nitrate, and 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ll papillae observed were uniciliated. 2. Cilia in anterior tip were shorter than the others in other portions. 3. The body papillae were arranged in essentially symmetrical patterns, Total number of the papillae was 126(63 pairs) in average; anterior tip 40(20 pairs), ventral 20(10 pairs), lateral 42(21 pairs), and caudal 8(4 pairs). 4. The chaetotany of M. yokogawai cercaria was: Ci cycle ($3+3C_{I}V,{\;}2+2C_{I}L,{\;}2+3C_{I}D),{\;}C_{II}{\;}cycle(2C_{II}V,{\;}1C_{II}L,{\;}2C_{II}D),{\;}C_{lll}{\;}cycle{\;}(1+lC_{III}V,{\;}1C_{IlI}L),{\;}C_{IV}{\;}cycle{\;}(1C_{IV}V,{\;}IC_{lV}L){\;}in{\;}cephalic{\;}region:{\;}A_I(1A_{IV}V,{\;}1+2A_{I}L,{\;}1A_{I}D),{\;}A_{II}(1A_{II}V,{\;}1+3A_{II}L,{\;}1A_{II}D),{\;}A_{III}(1A_{III}V,{\;}1+1A_{III}L,{\;}1A_{III}D){\;}and{\;}A_{IV}(1A_{IV}V,{\;}2A_{IV}L)$ in antacetabular region: $1M_{I}V{\;}and{\;}2M_{I}L$ in median: $1+1P_{I}L,{\;}1P_{II}L,{\;}1P_{II}D,{\;}1P_{III}L,{\;}1P_{IV}L{\;}and{\;}1P_{IV}D$ in postacetabular region: 2-2-2-2 in caudal region.

  • PDF

도메틱 수 문제에 관한 최대차수 정점 지배집합 알고리즘 (Maximum Degree Vertex Domatic Set Algorithm for Domatic Number Problem)

  • 이상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63-70
    • /
    • 2015
  • 최대 지배집합의 수인 도메틱 수 문제 (DNP)는 정확한 해를 다항시간으로 구하는 알고리즘이 존재하지 않아 NP-완전 문제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DNP의 해를 다항시간으로 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래프의 최대 차수 ${\Delta}(G)$ 정점 $v_i$$D_i,i=1,2,{\cdots},k$의 지배집합의 원소로 선택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V_{i+1}=V_i{\backslash}D_i$의 축소된 그래프에 대해 $D_{i+1}$을 구하였다. 또한 $V{\backslash}D_i=N_G(D_i)$$D_i$가 지배집합으로 되는지 여부를 검증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15개의 다양한 그래프에 적용한 결과 정확한 해를 다항시간 복잡도 O(kn)으로 구하는데 성공하였다. 결국, 제안된 알고리즘은 도메틱 수 문제가 P-문제임을 보였다.

Two Extensions of a Star Operation on D to the Polynomial Ring D[X]

  • Chang, Gyu Whan;Kim, Hwankoo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61권1호
    • /
    • pp.23-32
    • /
    • 2021
  • Let D be an integral domain with quotient field K, X an indeterminate over D, ∗ a star operation on D, and Cl∗ (D) be the ∗-class group of D. The ∗w-operation on D is a star operation defined by I∗w = {x ∈ K | xJ ⊆ I for a nonzero finitely generated ideal J of D with J∗ = D}. In this paper, we study two star operations {∗} and [∗] on D[X] defined by A{∗} = ∩P∈∗w-Max(D) ADP [X] and A[∗] = (∩P∈∗w-Max(D) AD[X]P[X]) ∩ AK[X]. Among other things, we show that Cl∗(D) ≅ Cl[∗](D[X]) if and only if D is integrally closed.

디메틸아미노안트라퀴논계 분산염료와 아조계 모노클로로트리아진형 반응염료에 의한 P/C혼방직물의 일단계 날염에 있어 고착거동 (Fixing Behaviors of Dimethylamino Anthraquinone Disperse Dyes and Monochlorotriazinyl Azo Reactive Dyes on P/C Blended Fabrics in One-Step Printing)

  • 박건용;서기성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8-25
    • /
    • 2007
  • The fixing behaviors of anthraquinone disperse dyes containing dimethylamino substituent, such as C. I. Disperse Violet 26(D.V.26) and C. I. Disperse Blue 14(D.V.14), or containing diamino substituent, such as C. I. Disperse Blue 73(D.B.73), and monochlorotriazinyl azo reactive dyes, such as C. I. Reactive Orange 13(R.O.13), C. I. Reactive Red 3(R.R.3). C. I. Reactive Yellow 2(R.Y.2) on polyester/cotton blend(P/C) fabrics were examined for the one-step printing of P/C fabrics. The high temperature steaming of $175^{\circ}C$ is the most satisfactory fixing method for P/C one-step printing with above disperse and reactive dyes among the four different fixing methods: $175^{\circ}C$ steaming, $102^{\circ}C$ steaming${\rightarrow}175^{\circ}C$ steaming, $190^{\circ}C$ thermosol, $102^{\circ}C$ steaming${\rightarrow}190^{\circ}C$ thermosol. $190^{\circ}C$ thermosol is unfit to fix R.R.3 and R.Y.2 whose heat stability is poor. It was found that D.V.26 and D.B.14 containing dimethylamino substituent are unstable for heat and alkali, but D.B.73 is stable for them to print P/C blend fabrics with R.O.13 which is also stable for heat. Therefore we found that D.B.73, R.O.13 and a pair of D.B.73 and R.O.13 were very suitable for one-step printing of P/C blend fabrics.

Chlamydomonas에서 분리한 DNA Methylase와 엽록체 DNA Methylation (DNA Methylase and Chloroplast DNA Methylation in Chlamydomonas)

  • 김남곤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415-423
    • /
    • 1992
  • Chlamydomonas reinhardtii 21 gr(mt+) strain의 배우체로부터 두 종류의 DNA methylase를 부분 분리하여 몇가지 기질 DNA에 대한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DNA methylase I과 II는 동일한 pH와 ionic strength에서 서로 상이한 물리적인 성질과 서로 다른 분자량을 가지며 DNA methylase I과 II는 모두가 DNA 염기 중 adenine보다는 cytosine에 methylation을 수행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합성 DNA를 사용한 실험에서 DNA methylase I과는 달리 DNA methylase II는 poly(dA-dC)·poly(dG-dT)에서 보다 poly(dG-dC)·poly(dG-dC)의 oligonucleotide에서 더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Chlamydomonas reinhardtii에서 추출한 엽록체 DNA를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 DNA methylase I과 II 모두가 배우체기 보다는 영양생장기의 엽록체 DNA에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단초점 근용 안경의 수평방향 설계점 결정에 대한 이해 (The Understanding of Determination of Horizontal Centration Point of Single-vision Reading Glasses)

  • 김민호;김현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서로 다른 기준에 따른 P.D로 제작된 근용 안경을 각각 착용시킨 후에 상대적인 피로 정도를 비교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근용 안경의 굴절력[원용 안경의 굴절력(-)]이 (-)인 사람에게는 원용 P.D와 근용 P.D-B로 제작된 안경을 장용시켜 안정피로 정도를 비교하였고, 근용 안경 굴절력이 (+)[원용 안경 굴절력(+)]인 사람에게는 근용 P.D-B, 원용 P.D, 근용 P.D-A로 조제된 안경을 장용시켜 안정피로 정도를 비교하였다. 근용 P.D-A란 원용 안경의 근거리 시점에서 발생한 기저외방의 프리즘 값과 근용 안경의 시점에서 발생한 프리즘 값이 같도록 감소된 단초점 근용 안경의 중심점간 거리를 의미한다. 결과: 근용 안경의 굴절력[원용 안경 굴절력(-)]이 (-)인 경우에는 원용 P.D로 조제 가공한 경우에 안정피로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근용 안경의 굴절력이 (+)인 경우에는 단정적으로 어떤 설계점 결정방식이 옳다고 확신 할 수는 없지만 데이터 결과에 의할 경우는 근용 P.D-A로 조제 가공한 경우에 상대적으로 더 적은 안정피로를 유발 하였다. 결론: 근용 안경의 굴절력[원용 안경 굴절력(-)]이 (-)인 경우에는 이전의 원용 안경을 착용하고 근거리를 주시한 경우에 근용 주시점에서의 기저내방(Base In)의 효과를 통해 폭주요구량은 감소된다. 따라서 근용 안경(-)은 근거리에서 폭주를 도와준다. 왜냐하면 기저내방의 효과가 원용 안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졌기 때문이다. 근용 안경의 굴절력[원용 안경 굴절력(+)]이 (+)인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근용 P.D-B, 근용 P.D-A, 원용 P.D를 통해 설계점을 결정 할 수 있다.

  • PDF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를 이용한 탈회 법랑질의 재석회화 감시 (MONITORING OF REMINERALIZATION OF DECALCIFIED ENAMEL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

  • 류연숙;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57-266
    • /
    • 2012
  • 인공 우식 용액으로 72개의 건전한 치아에 백색 병소를 형성을 유도하고 $CavityShield^{TM}$(Group I), $FluroDose^{TM}$(Group II) 그리고 $Flor-Opal^{(R)}$ Varnish(Group III)를 2주 간격으로 1, 2, 3회 도포하였다. 마지막 불소 바니쉬 도포 2주 후 QLF-D 영상을 촬영하여 광도 변화량(${\Delta}L$)을 측정하였고, 편광 현미경으로 법랑질 탈회 깊이 변화량(${\Delta}D$)을 측정하여 통계적으로 비교하였다. 1. Group I, II, III에서 QLF-D로 관찰한 결과, 1회 도포군보다 2주 간격으로 2, 3회 도포군에서 유의하게 ${\Delta}L$ 값이 증가하였고, 각 불소 바니쉬에서 도포 횟수에 따라 회귀 분석 결과, y = 3.878x + 90.612, y = 3.133x + 37.168, y = 3.509x + 82.322의 회귀 방정식이 산출되었다(p < 0.05). 2. Group I, II, III에서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1회 도포군보다 2주 간격으로 2, 3회 도포군에서 유의하게 ${\Delta}D$ 값이 감소하였고, 각 불소 바니쉬에서 도포 횟수에 따라 회귀 분석 결과, y = -2.336x + 107.235, y = -2.158x + 101.620, y = -1.940x + 94.806의 회귀 방정식이 산출되었다(p < 0.05). 3. 불소 바니쉬 적용하고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한 인공 우식의 깊이 변화량과 QLF-D로 관찰한 광도 변화량 사이의 피어슨 상관 계수는 Group I에서 -0.673, Group II에서 -0.574, 그리고 Group III에서 -0.431이었다(p < 0.05).

INVARIANTS OF THE SYMMETRIC GROUP

  • Lee, Hyang-Sook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293-300
    • /
    • 1995
  • Let $R = k[y_1,\cdots,y_n] \otimes E[x_1, \cdots, x_n]$ with characteristic $k = p > 2$ (odd prime), where $$\mid$y_i$\mid$ = 2, $\mid$x_i$\mid$ = 1$ and $y_i = \betax_i, \beta$ is the Bockstein homomorphism. Topologically, $R = H^*(B(Z/p)^n,k)$. For a symmetric group $\sum_n, R^{\sum_n} = k[\sigma_1,\cdots,\sigma_n] \otimes E[d\sigma_1, \cdots, d\sigma_n]$ where d is the derivation satisfying $d(y_i) = x_i$ and $d(x_iy_i) = x_iy_i + x_jy_i, 1 \leq i, j \leq n$. We give a direct proof of this theorem by using indu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