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clohexylamine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초

An Efficient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yclohexylamine from Cyclohexanone and Ammonia over Cu-Cr-La/γ-Al2O3

  • Qin, Shuanglin;Wang, Pan;Huang, Shuangping;Liu, Shuai;Wang, Gaopeng;Wang, Liping;Sun, Meng;Wang, Xiaoji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6호
    • /
    • pp.493-498
    • /
    • 2015
  • The reductive amination of cyclohexanone with ammonia over Cu-Cr-a/γ-Al2O3 was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a proper solvent with high solubility of ammonia and 4Å molecular sieves for the elimination of generated water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cyclohexylamine in the premixing process. In addition, the addition of ammonia in the fixedbed reactor could obviously improve the conversion of cyclohexanone to cyclohexylamine. Finally, reaction conditions including reaction temperature, hydrogen pressure and charging rate of the premix were optimized. Under the optimized conditions, cyclohexylamine was obtained in 83.06% yield.

Optimization of Maillard Reaction between Glucosamine and Other Precursors by Measuring Browning with a Spectrophotometer

  • Ogutu, Benrick;Kim, Ye-Joo;Kim, Dae-Wook;Oh, Sang-Chul;Hong, Dong-Lee;Lee, Yang-B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2권3호
    • /
    • pp.211-215
    • /
    • 2017
  • The individual Maillard reactions of glucose, glucosamine, cyclohexylamine, and benzylamine were studied at a fixed temperature of $120^{\circ}C$ under different durations by monitoring the absorbance of the final products at 425 nm. Glucosamine was the most individually reactive compound, whereas the reactions of glucose, cyclohexylamine, and benzylamin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Maillard reactions of reaction mixtures consisting of glucosaminecyclohexylamine, glucosamine-benzylamine, glucose-cyclohexylamine, and glucose-benzylamine were also studied using different concentration ratios under different durations at a fixed temperature of $120^{\circ}C$ and pH 9. Maillard reactions in the pairs involving glucosamine were observed to be more intense than those of the pairs involving glucose. Finally, with respect to the concentration ratios, it was observed that in most instances, optimal activity was realized, when the reaction mixtures were in the ratio of 1:1.

Piperazine, Piperidine, Cyclohexylamine 수용액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흡수특성 (Absorption Properties of $CO_2$ in Aqueous Solutions of Piperazine, Piperidine, Cyclohexylamine)

  • 송호준;이승문;송호철;안세웅;박진원
    • 에너지공학
    • /
    • 제14권4호
    • /
    • pp.219-225
    • /
    • 2005
  • 지구온난화의 주원인인 이산화탄소를 배가스에서 제거하는데 있어 화학적 흡수법은 다년간 광범위하게 응용되어오고 있으며, 주로 MEA(monoethanolamine), AMF(2-amino-2-methyl-1-propanol), MDEA(N-methyldiethanolamine)와 같은 알칸올아민계열의 물질들이 흡수제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형아민계열의 Piperazine, Piperidine, Cyclohexylamine을 앞서 언급한 물질들을 대체할 새로운 흡수제 후보로 선정하여, 상용화된 MEA를 대상으로 용해도($CO_2$ loading)와 흡수능(loading capacity) 및 반응속도를 비교하였는데, Piperazine이 최적의 흡수제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은 질량 기준으로 5, 10, $15\%$ 농도, 30, 40, $50^{\circ}C$ 온도에서 수행하였고, 재적정법으로 반응 종료 후 액체 시료 내 이산화탄소의 용해도를 분석하였으며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을 통해 반응속도를 비교할 수 있었다.

수열합성법을 이용한 ZnO 나노로드의 제조 및 이산화질소 감응 특성 (Preparation of ZnO nanorods by hydrothermal method and their $NO_2$ sensing characteristics)

  • 조평석;김기원;이종흔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506-511
    • /
    • 2006
  • $Zn(NO_3)_2{\cdot}6H_2O$, 수산화나트륨, cyclohexylamine, 에탄올, 물이 혼합된 용액을 수열합성하여 ZnO 나노로드를 합성하고, 합성한 물질의 이산화 질소$(NO_2)$와 일산화 탄소(CO)에 대한 감응특성을 조사하였다. 혼합 용액에 첨가되는 물의 양을 변화시켜 ZnO 나노로드의 형상과 응집현상을 조절할 수 있었다. 이는 물과 cyclohexylamine의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OH^-$ 이온의 농도변화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물의 함량이 낮을 때에는 뭉쳐진 성게모양의 ZnO 나노로드를, 물의 함량이 많을 때에는 잘 분산된 ZnO 나노로드를 각각 합성할 수 있었다. 잘 분산된ZnO 나노로드는 공기 중에서 50 ppm 의 CO에 노출되었을 때 주목할 만한 반응을 보이지 않는 반면, 1 ppm 의 $NO_2$에 노출되었을 때에는 저항이 1.8배 증가하였다. 이러한 선택적 반응을 보이는 ZnO 나노로드는 자동차용 자동환기 시스템의 핵심부품인 매연센서의 감응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애기장대 잎 절편 배양시 NAA 농도에 따른 부정근, 모용 및 캘러스 형성에 미치는 Polyamine의 영향 (Effect of Polyamines on Formation of Adventitious Roots, Trichomes and Calli by NAA in Leaf Segment Cultures of Arabidopsis thaliana)

  • 한태진;홍종필;김준철;임창진;진창덕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7-123
    • /
    • 2000
  • 애기장대 (Arabidopsis thaliana) 생태종 'Columbia'의 잎 절편 배양시 부정근, 모용 및 캘러스 형성에 미치는 polyamine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putrescine, spermidine, spermine, cyclohexylamine (CHA) 및 methylglyoxal-bis(guanylhydrazone) (MGBG)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애기장대 잎 절편을 부정근 (0.1 mg/L NAA), 모용 (2.0 mg/L NAA) 및 캘러스 (10.0mg/L NAA)를 형성하는 MS배지 각각에 putrescine, spermidine 및 spermine을 1∼100 mg/L 처리하였다. Polyamine 처리시 부정근 형성구에서는 부정근과 함께 모용이 형성되었으며, 모용 형성구에서도 모용과 함께 캘러스가 형성되었다 또한 CHA와 MGBG를 1∼100mg/L 범위에서 처리한 결과 CHA는 부정근 형성구에서 다소 부정근이 증가시켰으나 모용이나 캘러스 형성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MGBG는 부정근 모용 및 캘러스 모두를 억제하였고 모용 형성구에서는 고농도에서 부정근을 형성시켰다.

  • PDF

GC에 의한 건어물 냄새성분중 질소화합물 분석과 다변량해석 (Multivariate Analysis and Gas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the Smelly Nitro Compounds in Dried-Fishes)

  • 배선영;이동선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05-112
    • /
    • 1997
  • 건어물 중의 냄새나는 질소화합물을 증류동시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Amine의 equivalent chain length를 구하여 머무름시간으로부터 탄소수와 차수를 예측할 수 있었다. 새우, 멸치, 북어, 대구, 오징어, 문어, 쥐포, 병어포, 홍합, 조갯살 등 우리 나라에서 많이 식용되는 시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Dimethylamine, trimethylamine, diethylamine 등은 건어물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methylamine, acetamide, thiazole, 2-hydroxy isopropylamine, N-methyl pyrroline, cyclohexylamine 같은 냄새나는 질소화합물들이 GC-MS로 확인되었다. 건어물의 냄새패턴을 식별하기 위하여 GC-MS 피크면적을 자료로 주성분분석을 적용하였다. 주성분분석에 의한 다변량해석은 건어물의 냄새패턴의 유사성과 이질성의 식별에 유익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Cyclohexylamine과 Polyamine이 대두 자엽의 부정근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yclohexylamine and Polyamines on the Adventitious Root Formation from Soybean Cotyledons)

  • 한태진;조형일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07-213
    • /
    • 1994
  • Cryclohexylarnine(CHA)에 의한 부정근 억제가 spermidine 과 spermine에 의한 부정근 형성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대두 자엽 절편을 이용하여 조직내의 polyamine함량을 조사하였다. 부정근 형성 배지에 CHA를 처리한 결과 $10^{-2}$ M CHA 처리시에는 spermidine이나 spermine을 혼합처리함에도 불구하고 부정근이 형성되지 않았다. 또한 2.5 $\times$ $10^{-3}$ M CHA 단독처리시에는 부정근 형성이 억제되었으나, $10^{-4}$ M spermine 혼합처리시에는 부정근 형성능이 회복되었다. Putrescine 함량은 부정근이 형성돠지 않았던 $10^{-2}$ M CHA 단독 처리구 및 $10^{-2}$ M CHA와 $10^{-3}$ M Spermine 혼합처리구에서는 배양 3일 이후 대조구보다 감소하였지만 부정근이 다소 형성되었고, 부정근 회복능이 가장 높았던 2.5 $\times$ $10^{-3}$ M CHA와 $10^{-4}$ M spermine 혼합처리구에서는 대조구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Spermidine 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아서 함량이 낮을수록 부정근 형성이 억제되었으며, spermine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급격히 증가되어 대조구에 비하여 함량이 높을 수록 부정근 형성이 억제되었다.

  • PDF

Di-Urea 그리이스 증주제 합성과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Thickener Syntheses and Structure Analysis of Di-Urea Grease)

  • 엄기청;정근우;조원오;김영운;서인옥;임수진;박교범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98년도 제28회 추계학술대회
    • /
    • pp.306-312
    • /
    • 1998
  • This paper describes syntheses of thickener for di-urea grease using constant velocity joint. The thickeners of di-urea grease were synthesized by reaction of diisocyanate with various alkylamines, hexylamine, octylamine, stearylamine and cyclohexylamine at high temperatxire. The synthesized thickener were analyzed by FT-IR spectroscopy and two kinds of Mass spectroscopy (EI & FAB). Dropping point and Consistency of synthesized di-urea grease were determined.

  • PDF

Oi-Urea 그리이스의 알킬기 변화에 따른 Roll Stability에 과한 연구 (A Study on Roll Stability of Di-Urea Greases)

  • 조원오;김영운;정근우;이기헌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99년도 제30회 추계학술대회
    • /
    • pp.247-256
    • /
    • 1999
  • This paper describes the results of analysis, syntheses and Roll Stability of various Di-urea greases. Di-urea greases were synthesized by reaction of 4,4'-Methylenebis(phenyl isocyanate) and various amines, such as cyclohexylamine, octylamine, stearylamine and p-toluidine with base oil at 80-180 $^{\circ}C$. The synthesized di-urea greases were analyzed by FT-R spectroscopy. The Roll Stability of synthesized di-urea greases was evaluated.

  • PDF

항암제인 Cyclophosphamide의 중간체인 $^{15}N-Isophosphoramide$ Mustard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yclophosphamide Metabolite $^{15}N-Isophosphamide$ Mustard)

  • 구교임;염곤
    • 약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73-676
    • /
    • 1994
  • The each nitrogen site of ifosfamide metabolite isophosphoramide mustard was synthesized with isotope enriched nitrogen. $Gylcine-^{15}N$ was converted to $2-chloroethylamine-^{15}N$ hydrochloride which was then reacted with phenyl dichlorophosphate to provide $N,N'-bis(2-chloroethyl)phosphordiamidic-^{15}N_2$ acid phenylester(50%, $PhO(O)^{15}N(CH_2CH_2Cl_2)$. Catalytic hydrogenation of this phenyl ester followed by the addition of cyclohexylamine (CHA) provided $IPM-^{15}N$ as the CHA salt(7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