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stomized information analysis

검색결과 393건 처리시간 0.029초

A Study on the Effective Marketing Implementation through Face Recognition Technology in Smart Digital Signage

  • Cha, jin-gil;Kim, Seong-Kw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3호
    • /
    • pp.72-78
    • /
    • 2022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media advertising because current advertisements -in digital signage - indiscriminately appeals to the general public rather than to a specific target. In order to deliver efficient and customized advertisement information, an IoT human body detection sensor mounted on digital signage detected human faces and then classified them firstly by gender. The digital signage here is a smart digital signage that can analyze facial signals, discriminate them based on patterns, and apply the extracted data by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user. In addition, by identifying the customer's location approaching the smart digital signage and displaying the optimized content information for the customer's location through an algorithm, the digital signage can dramatize the advertisement Thus, this is a study meant forimproving information efficiency while reducing noise and driving power waste generated from unnecessary digital information reproduction.

Framing Trend and Style Information in Magazine

  • Kwon, Yoo Ji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91-505
    • /
    • 2013
  • This study applies framing theory to the presentation of trend or styling information in fashion journalism.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ree lifestyle magazines. The findings include attribute, attitude, and source-based frames. The attribute-based frame was used to increase the versatility and feasibility of design by emphasizing particular attributes of clothes. To increase versatility, an item could be presented either as a basic or trendy design. To increase feasibility, fashion information could be customized by price points (i.e., affordable frame) or body type (i.e., flattering frame). The attitude-based frame includes prescriptive and rule-breaking frames. The source-based frame offers a source of trend or styling information. Expert, celebrity, and consumer frame emerged under the source-based frame. Findings reveal how fashion and style information is defined and crafted.

농장맞춤형 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의 농업인 반응조사 (Research on Farmer's Response to the Farm-customized Early Warning Service for Weather Risk Management in Korea)

  • 김수진;서상택;심교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51-17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조기경보서비스의 전국적 사업 확대를 앞두고 처음으로 문자수신 농가 전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와 설문조사 내용을 교차분석하여 조기경보서비스에 대한 농가의 만족도뿐만 아니라 조기경보서비스의 농업기상재해 예방 효과에 대해 분석했으며 농가 사례조사를 병행하여 농가에서 실제로 조기경보서비스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조사했다. 336명이 설문에 참여했으며 설문 응답자 중 60% 이상이 조기경보서비스를 활용하여 작물재해를 예방하거나 경감한 사례가 있다고 응답했다. 교차분석 결과, 조기경보서비스의 필지 맞춤형 기상정보와 일기예보의 차이를 인지한 농가가 그렇지 않은 농가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작물재해를 더 많이 예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지 과수 작목을 재배하는 농가가 기상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했으며,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는 저온해 등을 대비하는데 방재시설과 더불어 조기경보서비스가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또 사례조사를 통해 농작물재해 예방뿐만 아니라 영농작업에서도 기상정보의 활용성이 높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본 연구는 조기경보서비스에 대한 광범위한 설문조사와 사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처음으로 농장맞춤형 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조기경보서비스의 발전 방안으로서, 기상 및 재해 정보전달의 효과를 증대하고 조기경보서비스의 농가 활용을 증진하기 위해 농가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보다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모바일 앱 이용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했다.

요인 분석과 클러스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사용자 세분화를 통한 정보이용자 이해 (Understanding information users through user segmentation using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 박민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437-442
    • /
    • 2020
  • 인터넷이라는 혁신적인 정보기술의 도래 이후, 정보 환경의 다이너미즘(dynamism)은 정보 이용자들의 니즈 및 행태에 있어서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급변하는 환경의 정보 이용자들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며, 이를 기초해서 정보서비스와 이를 위한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축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정보서비스시스템 이용자의 세분화(segmentation)에 따른 특성을 이해하고 콘텐츠 이용실태 조사·분석을 통하여 맞춤형 서비스와 콘텐츠 개발에 대한 개선사항을 도출함에 있다. 총 816명의 과학기술정보서비스시스템 이용자들이, 지난 9월부터 11월까지,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요인 분석과 클러스터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이용자를 세분화하고 새로운 정보기술과 정보서비스에 대한 인식, 과학기술정보 니즈, 그리고 이용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과학기술 속성 등을, 세분화된 이용자그룹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였다.

Personalized Nutrition Intervention for Weight Control With Korean Foods via Internet Service System

  • Oh, Hyun-In;Chung, Myung-Il;Yi, Jae-Hyuk;Jang, Dai-J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7권2호
    • /
    • pp.26-31
    • /
    • 2011
  • People with obesity or over-weight need nutritional intervention to reduce their weight, because weight loss reduces the incidence rat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type II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s and cancer in obese people.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ystem for individualized weight control program available both for wired and wireless internet users. This system is especially useful to users carrying wireless internet mobile device. If they input their physical information (height,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and mineral levels measured by hair tissue mineral analysis, the system provides evaluation of their health status and metabolic related functions such as endocrine and carbohydrate tolerance. Based on these evaluations, food menus are then offered to them to manage their health status and to improve their metabolic related physiological functions in a personalized way. The system also provides more information for recommended foods, such as nutritional information, food ingredients, recipes, and videos related to cooking. Bibimbap was selected as an example dish for customized contents for mobile web. Bibimbap is one of the most well-known Korean traditional dishes prepared with various kinds of ingredients including several different kinds of vegetables, meat, and egg so that it is a low calorie dish as well as a well-balanced diet. Therefore, this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allows the mobile users to access web site through wired wireless internet everywhere and provides a customized content to the users to manage their weight and finally to achieve a desirable weight.

워드프레스(Wordpress) 테마(Theme) 응용을 기반으로 하는 웹 서비스 디자인 방법 연구 (Web Design Methodology for Wordpress Site based on Wordpress Theme Customization)

  • 이현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77-286
    • /
    • 2016
  • 본 연구는 대표적인 웹 콘텐츠 관리 서비스인 워드프레스(Wordpress)를 활용하여 웹 서비스를 구현할 때 워드프레스의 특징적인 개발 유형인 테마 기반 디자인 개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디자이너의 창의성을 반영할 수 있는 워드프레스 테마 기반 웹서비스 디자인 방법의 방향을 연구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먼저 워드프레스 테마의 구성과 테마 마켓의 문제점을 고찰하였고, 워드프레스 테마 기반 웹 서비스 제작 사례를 수행하고 그 디자인 개발 과정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사례 연구에서 발견한 디자인 과정의 주요 문제점은 테마의 콘텐츠 구조를 미리 이해하기 어려운 점과 테마 수정 방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점, 대시 보드의 디자인 구성 일관성이 부족한 점, 테마 템플릿의 체계 분석이 어려운 점, 개발 구조상 다양한 해결안을 비교 평가 할 수 없는 점들이다. 이상의 발견 점들을 종합하여 현행 워드프레스 서비스 체계에서 디자인 기획, 디자인 시안 제작과 관리, 시안의 비교 평가가 가능하도록 디자인 과정의 정보 관리를 보강한 웹 디자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임펄스 응답 신호를 이용한 인체 채널 분석 (Analysis of Human Body Channel Based on Impulse Response Signals)

  • 강태욱;이재진;오왕록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36-4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전기 신호 경로로서의 인체 채널에 대해 임펄스 응답 신호를 이용한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최근, 인체 통신(human body communications)은 착용형 또는 임플란트형 센서 디바이스 간의 통신 방법으로 인체 영역 통신망(wireless body area networks)을 구성하는 효과적인 접근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인체 통신 시스템 설계에 중요한 지침인 인체 채널 특성 제공을 위해, 자체 제작한 채널 응답측정장치를 사용하고 용량성 커플링(capacitive coupling) 특성에 적합한 실험환경을 구축하여 측정을 수행하고 그 분석한 결과를 제시한다. 측정 신호에 대한 신호처리 과정으로 임펄스 응답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0 MHz에서 100 MHz 사이의 주파수 분석을 통해 평균 경로 손실 약 46.8 dB를 제시하고 주파수별 경로 손실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인체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예측을 위한 수신기 필터의 커패시터와 저항값 변화에 따른 전체 측정 주파수와 기저 대역 신호의 검출 성능 결정에 영향을 주는 3 MHz 이하 대역에서의 상대적인 잡음 전력을 제시하였다.

도서관 네트워크의 정의의 분석과 유형별 특성 (Analysis on the definition and typology of library networks)

  • 박준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2권
    • /
    • pp.1-33
    • /
    • 1985
  • This study has been aimed to analyze the following three points which are believed to be the most important in establishing efficient library networks. The writers have done the research into the literature and references concerning the networks of library, as they are considered crucial functions in cooperative administration between the libraries.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from the survey: 1) The established networks in foreign countries have been compared with those of Korea, basing upon the data and present situations in both areas and the definition and agreed viewpoint of the networks are presented. 2) The relations between the existing Library system and Consortia were clarified in view of the current trend, thus showing the scope and integral aspects of them. 3) Finally, we have classified the types of network into four categories, such as search service network, customized service network, service center/network and state local networks, and made through analysis of the character,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each realm.

  • PDF

Digital Forensic for Location Information using Hierarchical Clustering and k-means Algorithm

  • Lee, Chanjin;Chung, Mokdong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0-40
    • /
    • 2016
  • Recently, the competition among global IT companies for the market occupancy of the IoT(Internet of Things) is fierce. Internet of Things are all the things and people around the world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it is becoming more and more intelligent.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users with a customized services to variety of context-awareness, IoT platform and related research have been active area. In this paper, we analyze third party instant messengers of Windows 8 Style UI and propose a digital forensic methodology. And, we are well aware of the Android-based map and navigation applications. What we want to show is GPS information analysis by using the R. In addition, we propose a structured data analysis applying the hierarchical clustering model using GPS data in the digital forensics modules. The proposed model is expected to help support the IOT services and efficient criminal investigation process.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선택과목 교과서의 수학교사 체감난이도 분석 (The analysis of sensed difficulty on the selective tracks textbooks based on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 이봉주;김창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1호
    • /
    • pp.1-17
    • /
    • 2013
  • The goal of the textbooks of 2009 revised curriculum is to make customized lectures possible considering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understanding level of students.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a research result on sensed difficulty of the mathematics textbook, which is able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diverse level textbooks. This research suggested criteria in analysing sensed difficulties of field teachers on the textbooks, and analysed sensory difficulty on the selective tracks textbooks based on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using the criteri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59 mathematics selective tracks textbooks show that all have average sensed difficulty. The criteria and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in future mathematics textbook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