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reorganization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3초

국가 수준 과학과 교육과정의 입자 관련 내용 국제 비교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ontents about Particle Concept in National Science Curricula)

  • 김동현;김효남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2호
    • /
    • pp.164-17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some suggestions for reorganization of contents about particle concept of matter in Korean science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uthors analyzed features of Korean science curriculum and compared science curricula of Korea, USA, UK, Japan and Finlan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authors find some features and important suggestions about reorganization of contents about particle in science curriculum. First, the sequence of contents about particle concepts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similar to that in the 6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the feature of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howed the articulation of contents about particle concept. If contents about particle concept is increased in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the total articulation would be increased. Second, the presenting sequence of atomic structure-first and laws about atom-later should be changed to laws about atomic-first and atomic structure-later. This presenting sequence is grounded by science curricula of other countries, history of science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science curriculum of Korea was required specific extended concept statement like science curricula of USA or UK. Also, Korean science curriculum could benchmark Finnish science curriculum if we want to develop some integrated learning activities such as those in STS or STEAM program.

초등교원의 교육적 경험이 교육과정 재구성인식 및 실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ducational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 조향미;신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406-414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원의 교육적 경험(교직 경력, 교사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교육과정 연수참여 경험, 혁신학교 근무 경험)이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인식하고 실행하는 양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교원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를 t-검증, 일원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원의 교육적 경험에 따라 교육과정 재구성 인식 및 실행, 교과서 인식 및 의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육과정 재구성 인식 및 실행, 교과서 인식 및 의존 등의 각 변인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과 교과서 의존에 교원의 교육적 경험이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초등학교에서의 교육과정 재구성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다. 초등학생들의 의미 있는 성장과 발달을 위한 최선의 수업 방안을 찾아 실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교과서 의존도를 낮추고 적극적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수업을 전개해야 하며, 교원들은 폭넓은 교육적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성을 함양해야 함을 시사한다.

AI 교육을 위한 전공별 맞춤형(RAS) 교육과정 개발연구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Curriculum (RAS) for Each Major for AI Education)

  • 백란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44-5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required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As we ente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emand for a great digital transformation in industry is essential, and the nurturing of manpower is presented as an indispensable relationship in the industrial field based on it. The integration of various new technologies that have emerged from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the greatest purpose in rea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s the importance of digital competency in the top curriculum reorganization has been highlighte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s necessary even in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in 2022, and there is a demand in the educational field that it should be converted into a mandatory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ccording to the demands of the times is to develop an artificial intelligence curriculum in universities by reestablishing systematic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setting educational goals, and presenting the goal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by major. The main direction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ach major in university education, develop a curriculu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ach major, and link artificial intelligence software for AI education customized for each major. We would like to present a process that can measure the learning outcomes of AI education.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실태 분석 연구 - 중등학교 단위학교 및 교사 수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mplementation at the Secondary School Level - Mathematics -)

  • 최승현;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2호
    • /
    • pp.193-219
    • /
    • 2005
  •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시$\cdot$도 교육청의 협조 하에 장기 연구를 통하여 초$\cdot$중등 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과정과 운영 실태를 파악함으로서 제7차 교육과정의 현장 정착을 위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초등학교 중심으로 이뤄진 제1차년도(2003년) 연구에 이어 제2차년도인 작년(2004년)에는 중등학교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즉, 본 고에서는 중등학교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수업 관찰 및 설문, 면담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주로 '단위학교 및 교사 수준에서의 수학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에 한정하여 다루었다. 궁극적으로, 본 고에서 다룰 연구 부분은 우선적으로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인 학생 중심의 다양하고 특성화된 만들어 가는(재구성하는) 교육과정이 중등학교의 수학 수업에서 실제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또 이를 토대로 그러한 교육과정을 보다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 단위학교 및 교사 수준에서 요구되는 지원 방안에 대하여 제안하는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LEARNING ABILITY IN CALCULUS BASED ON THE SELECTION OF TEST AREA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RHEE, HYANG JOO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23권4호
    • /
    • pp.643-654
    • /
    • 2015
  • This study analyses the cross-application system, one of the diversified college admission processes, based on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by the reorganization of the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n improvement direc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students who cross-apply by comparing and analysing academic results in Calculus for those students entering universities through the cross-application system.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실태 분석 연구 - 초등 단위학교 및 교사 수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the Seventh Mathematics Curriculum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 최승현;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6권2호
    • /
    • pp.213-233
    • /
    • 2004
  • This study looked into the procedures of and the statu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7th national curriculum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especially focused on the subjects of schools and the teachers for the actual curriculum implementation. More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1) the degree to which the particular innovation(i.e., student-centered, flexible and autonomous school-based curriculum, etc.) is be-ing implemented as planned; and 2) how it is being implemented. It conducted a situation-oriented analysis in cooperation with three local boards of education. Classroom observations, teacher interviews, questionnaires for teachers and supervisors were utilized and the three major criteria of interpreting the result were the three core concept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at is, the degree of "(1)reorganization, (2)student-centeredness, and (3)diversification/specialization" of the curriculum. Detailed documentation on the processes of the local bureaus of education and on the classroom practices are made in order to provide schools and policy makers with relevant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further improvement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 PDF

한국형 iSchool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Korean iSchool)

  • 이성신;최재황;이창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77-29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문헌정보학계에 iSchool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환기시키고 이를 통해 iSchool에 대한 연구의 시발점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정보학자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자료는 질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에 iSchool을 도입하기위해서는 교과과정의 개편을 통한 교육의 다변화가 필요하며 iSchool 도입을 통해서는 융, 복합 연구 및 교육의 기회, 현 문헌정보학의 위기 돌파를 위한 외연의 확장, 문헌정보학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의 구축이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iSchool의 도입은 사서양성 교육기관으로서의 문헌정보학의 정체성마저 위협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 또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교과서 분석 (A Textbook Analysis on History Domain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 김지원;원효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1013-1026
    • /
    • 2012
  • The 2007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emphasizes history education in particular. Thus the contents of the history section previously scattered through 3rd, 4th, 5th and 6th grades are now integra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the 5th grad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herefore, this research intend to gain insights that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when making next social textbooks by analyzing social textbooks of the 7th an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he conclusions of comparative analysis on social textbooks of the 7th an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re as follows: The textbook units according to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ere a reorganization of the contents from the 7th's 6th grade 1st semester contents per unit in a chronological flow. Meanwhile, the topic was introduced to supplement historic contents afresh. The 2007 revised curriculum focused on the life history, cultural history, personal history.

초등수학 교과서 탐구활동 분석 및 재구성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and the Development of Reorganization Materials)

  • 김유경;김판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71-489
    • /
    • 2012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교과서에 처음으로 도입된 '탐구활동'이 어떻게 지도되고 있는가? 수학 탐구활동의 내용으로 적합하게 구성되어있는가? 수학적 탐구활동의 전제와 내용은 어떤 것이 좋은가? 이와 같은 문제에 답하기 위해 먼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탐구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교육 현장에서의 지도 실태와 탐구활동 내용 및 유형의 적합성, 지도의 어려움과 재구성 자료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수학과 목표를 참고한 분석 기준을 설정하여 측정영역에서 교과서의 탐구활동을 분석하여 재구성할 필요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대안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반응을 기술하였다.

  • PDF

지역 기반 산업의 인력 수요와 SWOT 분석을 통한 특성화 고등학교 개편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Reorganiz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Through Workforce demand of Electric-Electronic-Communication Industry in Gyeonggi Province and SWOT Analysis)

  • 이상봉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65-84
    • /
    • 2011
  • 이 연구는 지역 기반 산업의 인력 수요와 SWOT 분석을 통한 특성화 고등학교 개편에 관한 사례연구로서 경기 지역의 주요 기반 산업인 전기 전자 통신 산업의 인력 수요 분석과 SWOT 기법에 의한 학교현황 분석을 통하여 중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의 특성화고등학교의 본래 기능인 취업률 향상을 위한 학교 개편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원${\bigcirc}{\bigcirc}$여자고등학교는 전기 전자 통신관련 산업체가 밀집되어 있는 경기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관련 산업분야로의 취업에 유리한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으므로, 지역에서 요구하는 산업 인력을 양성하는 육성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 산업의 요구에 부응하는 인력 양성을 위한 특성화고등학교 운영체제를 유지하면서, 전기 전자 통신 산업의 흐름에 맞는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하나는 기업과 공조하여 기업에서 요구하는 능력에 맞춤형으로 교육함으로써 취업이 보장되는 '기업 연계 맞춤형' 교육과정으로의 개편이다. 현실적으로 기업과 연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불안정한 경제 속에서 위험부담이 있다는 단점이 있으나, 교육과정 운영이 특정 기업에 얽매이거나 왜곡되지 않으면서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기업과 공조하여 취업률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하나는 '산업 연계 맞춤형' 교육과정으로의 개편이다. 이는 특정 기업에 초점을 맞추는 '기업 연계 맞춤형' 보다 선택의 폭이 넓고, 취업의 기회가 다양화되므로 안정적인 인력 수요 공급이 가능하며, 특화된 기술 수준의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