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reform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3초

미적분학 개혁운동과 미적분강좌의 방향 연구 (Calculus Reform Movement and A Study on the College Calculus)

  • 최은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8권1호
    • /
    • pp.47-59
    • /
    • 2009
  • Recently our society confronts with the concern over the college students' apparent lack of understanding and interesting of mathematics. In late 1980s the calculus reform movement in US was triggered to increase both passing rates and a general interest in the subje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eaching of college calculus and its curriculum in order to promote students' interesting and understanding. We deal with 4 questions. Firstly, we research the history and motivation of the calculus reform movement in US. Secondly, we do case study about the debate between reformed and traditional calculus. Then we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reformed calculus in comparison to traditional calculus. Finally we investigate possible ways to apply reformed calculus in our university mathematics education and suggest some points to improve teaching calculus.

  • PDF

제7차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서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중학교 컴퓨터 교과를 중심으로- (Study of Textbook Development of Computer Education Based on the 7th Curriculum Reform - Focused on Middle School Education)

  • 김민경;권혜련;최성희;태원경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70-184
    • /
    • 2001
  • 하루가 다르게 발전, 변모해 가는 정보사회에서 컴퓨터소양 및 정보소양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컴퓨터 교육의 역할은 현행 교육체제에서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2001학년도부터 중학교에서 시작되는 제7차 교육과정은 '정보 사회 적응력 함양 교육'을 목표로 지금까지와는 다른 컴퓨터 교육의 체계와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에서는 제 6, 7차 컴퓨터 교과 중학교 교육과정을 비교, 컴퓨터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를 분석하며,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교재 개발을 위하여 교재 개발 지침, 내용 전개 및 구성, 다양한 학습방법에 따른 교수-학습의 가능성 검토, 다양한 평가 방법에 의한 학업 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그 가능성을 모색, 제언하고자 한다.

  • PDF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 Park, Kyung-Me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권1호
    • /
    • pp.43-59
    • /
    • 1997
  • Now in Korea, the 7th curriculum reform is underway. The main difference of the seventh curriculum compared with former curricula is that it puts much emphasis on individual difference. It is a "differentiated" curriculum. The basic directions of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are as follows: 1. Offer various mathematical subjects for "Selective Educational Period" (Grades 11 and 12). 2. 30% reduction of mathematical contents. 3. The reconciliation of domain names of school mathematics. 4. The use of computers and calculators in mathematics classrooms.

  • PDF

수학 수업의 일부 국면에 나타나는 수업의 실제에 대한 일 논의

  • 김진호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8권2호
    • /
    • pp.233-249
    • /
    • 2012
  • Some discussions are made about practices which take places in some aspects of instructions from the viewpoints of traditional and reform based instruction. This kind of discussion is needed to be done, because there is no evidences to show that reform based instruction is mainly implemented among teachers even through reform based instruction has continued to be stressed sinc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as released. Some suggestions was made for consideration of further deep discussions based on the practices discussed earlier.

On Trend of Mathematics Education Reform in China

  • Zhang, Xiong
    • 한국수학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학교육학회 2008년도 제40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프로시딩
    • /
    • pp.49-57
    • /
    • 2008
  • The traditional Chinese mathematics education is examination-contended and has its disadvantages. The mathematics education reform today is undergoing in a wider era and faces its attention on innovation education individually education, flexible and diversified education, give prominence to integration of the curriculum, the integration of teaching content and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changing of teaming methods and teaching methods. These are all the new trends in the mathematics education reform in China.

  • PDF

전문대학의 학제변화에 따른 실내디자인 교육과정 분석 (An Analysis on the Curriculum of Interior Design Education by the Reform of the Educational System)

  • 이동원;심복기;김주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3-10
    • /
    • 2006
  • In interior design and architecture area, educational system has changed since 2001 from two-year program to three-year. At present related courses are established in about 68 colle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advantages of the three-year over the two-year design program, analyzing the changes in curriculum. In the study, curricula from the selected 16 colleg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 The courses were classified into 10 sectors -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three-year program, the available number of courses generally increased. Of the ten sectors, there was marked growth in the 'design' and 'technique or technology' sectors after the program change. In addition, the 'primary', 'theory' and 'digital design' sectors were reinforced to represent the latest changes in the design process and presentation method.

대학 교양교육 혁신을 위한 핵심역량 기반 교양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연구 -C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form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for the innov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 박종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285-290
    • /
    • 2022
  • 4차 산업혁명의 21세기는 산업화 시대에서 요구하던 것과는 다른 '역량'을 새로운 교육적 개념으로 요구하고 있다. 대학에서는 사회의 이러한 변화와 요구에 따라 교양 및 전공 교육에서 기존의 방식을 탈피하여 핵심역량 기반교육과 이를 통한 교육의 혁신을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대학들은 다양한 재정지원사업을 위해 교양교육을 전면적으로 개편하여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 혁신을 위한 교양 교육과정 개편에 대해 C 대학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각 대학들은 대학의 설립이념에 따라 다양한 핵심역량을 제시하고 교양교육 측면에서 핵심역량 강화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교양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있다. C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교양 교육과정을 위해 부족한 핵심역량 과목을 개발하여 제안하였고, 교양교육 특성화를 위해 다양한 마이크로디그리를 제안하였으며, 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메타학습 관련 교양 교과목을 제시하였다.

21세기 과학 교육과정 개혁 논리로서의 과학적 소양 및 핵심 역량 담론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cientific Literacy and Core Competence Discourses as Rationales for the 21st Century Science Curriculum Reform)

  • 이경건;홍훈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8
    • /
    • 2022
  • 오늘날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21세기 과학 교육과정 개혁의 두 논리는 핵심 역량 및 과학적 소양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양자 간의 관계는 아직 면밀히 규명되지 않고 모호하게 남아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국가 교육과정 총론 수준의 혁신적 교육과정 구성 논리와 과학 교과의 고유한 교육과정 구성 논리가 조화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1세기 과학 교육과정 개혁 논리로서의 과학적 소양 및 핵심 역량 담론을 비교하여, 향후 과학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 방법을 취하였다. 이에 과학적 소양 및 핵심 역량 담론들을 구성해온 주요 연구 문헌들과 정책 보고서들을 두루 참조하였다. II장에서는 먼저 과학적 소양 및 핵심 역량 담론들이 영향력을 발휘하게 된 역사적 경로를 돌아본다. 이 과정에서 2000년대 초반부터 각 담론의 전개양상을 모양지운 OECD의 역할에 주목할 것이다. 그리고 국내에서 해당 담론들이 어떻게 수용되어왔는가 또한 살펴본다. III장과 IV장에서는 과학적 소양과 핵심 역량 담론의 교차를 살펴본다. III장에서는 양자 모두가 학생 위기 레토릭에 힘입어 성장하였다는 점, 개인 차원, 공동체 차원, 지구적 차원을 고려하는 다층적 의미를 지닌다는 점, 교과 내용 조직 및 학습 방법의 논리가 유사하다는 점, 고부담 평가가 교육과정 개혁을 촉구한다는 점이 제시된다. IV장에서는 과학적 소양과 핵심 역량 담론 각각이 과학 교육과정 개혁에 대하여 제공할 수 있는 차별화된 강점과 함께 약점 역시 비교한다. V장에서는 후기 Wittgenstein 및 Kuhn의 관점에서, 과학적 소양과 핵심 역량을 21세기 과학 교육과정 개혁 논리로서의 가족유사성을 지니는 언어로 이해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개발에서 반복되곤 하는 '총론과 각론의 괴리' 문제를 해소할 이론적 실마리와 함께, 2022 개정 교육과정을 비롯한 향후 과학 교육과정 담론이 위기 레토릭을 넘어 희망적인 목소리를 담아야 함을 제안한다.

한국과 외국의 이산 수학 교육 내용 비교 (The Comparison of Educational Contents betwee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 한진규;서종진;홍지창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59-70
    • /
    • 2002
  • In case of Korea, while discrete mathematics is included in the traditional school curriculum the 7th Educational Reform adds a new topic of Graph Theory making it an optional subject of highschool mathematics. However, a systematic research on the curriculum of discrete mathematics is still unsatisfactory. This study is focused on comparing the curriculum of discrete mathematics in Korea with that of other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Britain, Japan, and Canada. Consequently, it looks into problems concerning the school curriculum of discrete mathematics in Korea to devise a proper measure to improve.

  • PDF

The First Curriculum of Mathematics in Korea for the New Millennium

  • Choe, Young-H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7권2호
    • /
    • pp.73-90
    • /
    • 2003
  • In the Republic of Korea, mathematics has always been a major blame for huge private expenditures on so-called "private education," which consists of private tutoring and lessons at "private academies of extra curricula." The private spending on out-of-school education often exceeded public expenditures on schools. In 1997, South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reformed curriculum of mathematics along with other subjects to ease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 The aim of this curriculum change was to put a boost on individual students' interests, affections and other attributes toward school mathematics. The essential distinctiveness of the new curriculum of mathematics compared with the previous one is as follows: 1. The implementation of so-called "differentiated curriculum" for grades 1-10. 2. 30% reduction of contents in mathematics and the reconciliation of contents. 3. Elective subjects for mathematics for grades 11 and 12. 4. More uses of technology in mathematics teaching. Firstly, we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curriculum reform and analyze the new curriculum according to awareness of educational administrators, teaching environments of schools and readiness of mathematics teachers. Then we find out what kinds of problems it has and look for some suggestions for remed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