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material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3초

Guidance offered to teachers in curriculum materials for engaging students in proof tasks: The case of Korean grade 8 geometry

  • Hangil Ki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7권2호
    • /
    • pp.195-210
    • /
    • 2024
  • Researchers and curricula continue to call for proof to serve a central role in learning of mathematics throughout kindergarten to grade 12 and beyond. Despite its prominence and recognition gained during past decades, proof is still a stumbling block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Research efforts have been made to address issues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of proof. An area in which such research efforts have been made is analysis of curriculum material (i.e. textbook analysis) with a focus on proof. This study is another research effort in this area of research through investigating the guidance offered in curriculum materials with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nature (e.g., kinds of content knowledg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guidance is offered for teachers to implement proof tasks in grade 8 geometry textbooks? Results indicate that the guidance offered for proof tasks are concerned more with content knowledge about the content-specific instructional goals than with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hich supports teachers in preparing in-class interactions with students to teach proof.

범교과적 학습 내용을 수반하는 수학과 교수-학습 자료 - 원자력 에너지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al Materials Including Cross-Curriculum Based Contents)

  • 황혜정;조성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1권1호
    • /
    • pp.19-34
    • /
    • 2002
  • The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lays emphasis on an interrelation of several subjects and a connection between mathematics and real life. In this reason, this study focuses on the enhancement of sound understanding nuclear energy which is one of important factor(concepts or contents) dealt with in the other subjects such as science, environment, social studies, etc.. Recently, even though it is insistent that nuclear energy be so important and request in the future society, there are still strong pro and cons regarding the use of it. In this study, teaching-and-learning materials were developed dealing with using nuclear energy, and consequently they might be used in math class for the purpose of enhancement of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and of recognition on nuclear energy. In this study, Material 1 included a matter of the necessity for nuclear power plants using the ratio concept, and Material 2 did on a matter of the efficiency of nuclear energy and the unclear of nuclear power plants using ratio-graph, in the elementary and upper school mathematics. Material 3 focused on a matter of the principles of nuclear power plants using the properties of exponential law in high school mathematics. Ultimately, it is hoped in the study that more diverse instructional materials dealing with diverse situations inside and outside mathematics would be developed.

  • PDF

유치원 교육과정 기반 영양·식생활 교육 내용 체계화: 질적 기초 연구 (Systematization of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content based o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 qualitative formative study)

  • 김정현;심유진;백은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09-522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a curriculum for kindergarten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aimed at preschool children, reflecting government policy and meeting the demands of preschool settings. Methods: Existing educational materials were analyzed, and key elements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Nuri Curriculum") and Guidelines for Nutrition and Food Education in Kindergarten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Guidelines") were examined as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developing the curriculum for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Results: Basing ourselves on the five domains of the Nuri Curriculum,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Communication," "Social Relationships," "Art Experience," and "Natural Science Inquiry," we integrated three areas from the Guidelines, namely "Dietary Habits and Health," "Dietary Habits and Safety," and "Dietary Habits and Culture," to structure the curriculum for kindergarten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Three specific domains, "Nutrition and Health," "Food and Culture," and "Safe Dietary Practices," were tailored for preschool children, each comprising core concepts, content elements, and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Nutrition and Health" domain, core concepts such as "nutrition" were addressed through content elements such as "balanced eating" and "vegetables and fruit," while "health" included elements such as "eating regularly" and "nutrients for disease prevention," each with two educational content components. The "Food and Culture" domain focused on "food" with content on "local foods (vegetable-garden experience)" and "food culture" with content on "our dining table (rice and side dishes)," "our agricultural products," "global cuisine (multiculture)," and "considerate dietary practices," each with four educational content components. The "Safe Dietary Practices" domain included core concepts such as "hygiene" with content on "hand-washing habits" and "food poisoning management," and "safety" with content on "food labeling." Conclusions: The systematized curriculum for kindergarten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aligns with the Nuri Curriculum and is interconnected with the Guidelines. This curriculum can be used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developing educational resourc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ers, contributing to effective implement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남북한 초등 물질 영역의 교육 내용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ducational Content in the Elementary Material Area: North and South Korea)

  • 신성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3권3호
    • /
    • pp.433-445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남북한의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물질 영역의 교육 내용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남한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물질'과 '운동과 에너지(일부)' 영역, 북한 2013 자연과 교육강령에서 '우리 주위의 물질'과 '생활 속의 과학(일부)' 영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물질 영역의 교육 내용 요소를 학년군별로 비교하였고, TIMSS 2023 초등 4학년 물질 내용 영역의 평가틀을 이용하여 남북한의 국제 수준의 물질영역 목표 반영도를 분석하였다. 남북한 물질 영역 분석에는 초등과학교육을 전공한 교사 4명과 과학교육전문가 1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질의 성질 주제에서 남북한의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내용은 학년별로 적용 시기가 달랐고 내용의 범위와 수준에도 차이가 있었다. 둘째, 물질의 변화 주제에서 북한은 '산과 염기'를 다루지 않았지만, 용해를 빨리하는 방법은 다루고 있었다. 셋째, 북한이 남한보다 TIMSS 2023 '물질의 성질' 주제의 목표 반영도가 더 높았다. 넷째, '물질의 성질' 분석 결과와 유사하게 북한이 남한에 비해 TIMSS 2023 '물질의 변화' 주제의 목표 반영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남북한의 물질 내용 요소와 이를 적용하는 시기가 달랐고, 국제 수준의 목표 반영도는 북한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남북의 이념적 대립을 넘어 통일을 준비하는 관점에서 남북한 교육 교류의 활성화와 더불어 통합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발에 관한 협력과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구성주의 관점에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 수학 수업 자료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 Using Storytelling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 이수민;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7권3호
    • /
    • pp.205-230
    • /
    • 2014
  • 구성주의를 반영한 대표적인 교수 학습 이론인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이 이상적으로 실천되기 위해서는 구성주의 관점에 따른 교육과 관련된 유무형의 제 요소들(지식관, 학습자관, 교사의 역할, 평가, 수업 형식, 학습, 수업 자료 등)이 융합되어야 한다. 그 중 수업 자료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지적 능력이 있음을 전제로 개발되어야 하고, 지식의 통합성, 다양성 등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며 개방형 속성을 지닌 자료이어야 한다. 이외에도 객관적 인식론을 적용할 때 갖던 특징과는 다른 특징들을 지녀야 하므로, 수업 자료가 그러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1-2 학년군 수학(3) 교과서의 스토리텔링이 처음 도입된 단원 중 수와 연산 영역에 해당되는 <1. 세 자리수>와 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성주의 수학교실 2학년의 <3. 자릿값의 이해>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STEAM 융합 교육과정 설계 -안드로이드 기반 동력 전달 학습 콘텐츠 개발 및 활용 중심으로- (Design of the STEAM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 Project-based Learning -Focus on Android-based Learning Conte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 김은길;김종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51-560
    • /
    • 2011
  • STEAM 교육은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 교과의 연계 지도를 통해 학습자의 과학기술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융합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주제 중심의 학습 내용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가르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운영할 수 있는 STEAM 교육과정을 프로젝트 기반 학습 형태로 설계하고 운영에 필요한 교수 학습 자료를 제작하였다. 또한 STEAM 교육에서 IT 기술이 모의실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교육 효과를 높이고자 안드로이드 기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 PDF

공통과학 교육과정의 연구 - 통합과학적 측면의 과목 신설 배경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the Common Science subject - the background for newly formed subject and the focus of the side of integrated science -)

  • 이규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8-209
    • /
    • 1993
  • This paper was made for the purpose of research for newly formed of Common Science subject and setting up for Common Science subject's place. For this purpose, I 1) reviewed the bacground of curriculum revision and newly formed Common Science subject. 2)reviewed the change of the current of science education and the study of Common Science subject in Korea. 3) examined Common Science subject as integrated scie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 l.Newly formed of Common Science subject motivated by current of science education in the wordwide, direction of the 6th curriculum in Korea and the actual condition of integrated science in foreign country. 2.1t emphasize on learning of inquiry method than system of knowlege,introduction to material connected with real life and 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ety in the Common Science subject. In principle,the level of concept in Common Science subject keep within level of Science subject in middle school. 3.Common Science subject is characterized by integrated science. And Common Science subject have to become more integrated science in the textbook and the teaching-learning as well as in curriculum.

  • PDF

컴퓨터-소프트웨어 분야 수요지향적 교과과정의 개발 (Development of Demand-Oriented Curriculum in the Computer-Software Field)

  • 노은하;박수희;장준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1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소프트웨어 분야를 중심으로,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기술 요소와 대학사이의 불균형을 완화시키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정보통신부의 주도하에 개발된 산업체 수요지향적 교과과정 개발 과정과 그 결과를 다룬다. 컴퓨터-소프트웨어 분야를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 통합, 임베디드 시스템 소프트웨어, 멀티미디어 및 게임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정보 기술 등의 다섯 가지 세부 전공 트랙으로 세분하였다. 각 트랙에 대해 네 개의 수요지향적 교과목을 포함한 교과과정을 개발하였고, 수요지향적 교과목들의 상세강의개요와 과목교안을 개발하였다. 한편 이렇게 개발한 결과물을 활용하여 다수의 대학에서 2004년부터 실제 강의가 이루어져왔다.

  • PDF

해석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 가정과교육 의생활 문화 영역의 교육과정안 개발 및 적용 (Home Economics Curriculu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lothing Life Culture Area Based on the Interpretive Perspective on Educational Curriculum)

  • 배현영;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47
    • /
    • 2008
  • 본 연구에서 해석적 관점이란 인간의 행동이나 신념, 역사적 문화적 결과물들에 대한 의미이해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문화적 지식을 토대로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자기이해에 도달하게 된다는 교육과정의 관점을 의미한다. 개발 교육 과정안은 교육목표, 내용체계, 수업지도안, 교수-학습 자료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 해석적 관점을 중심으로 가정과교육 의생활 교육과 관련 있는 주요 개념들을 가정(假定)하고 역사 문화적 자료를 토대로 의생활 문화 영역의 교육내용을 구성함으로써 의생활교육 내용의 변화를 시도하였으며 시험적 수업 적용 결과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한 교육과정안의 장점으로는 학생들은 전통문화를 인식하고 의생활을 통해 자신이 누구인지 어떤 존재인지에 대해 해답을 찾는데 도움이 되었고 교육내용이 새로운 지식으로 인식되었으며 학습 동기 유발에 도움이 되었고 해석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 수업내용이 진정한 실천을 위한 반성, 진정한 인식의 도달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문제점으로는 가정과교사들 스스로 의생활의 역사적?문화적 자료에 대한 이해와 수업준비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고 역사와 사회와 더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과 내용체계의 주제에 담을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 PDF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의 국제비교연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Upper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Analaysis Approach-)

  • 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3-42
    • /
    • 1989
  • B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a in the U.S., Japan and Taiwan, this study first attempts to understand the current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o access its treads for each country.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the study also seeks to get the major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for the betterment of the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main sources of information and data analyzed here are: 1) curricula for both Oklahoma and Ohio state as representatives of the U.S.; 2) Home Economics Teaching Guidelines in Japan; and 3)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Taiwan. Content Analysis technique is applied in this study. The major elements of contents include:1) structure of the curriculum; 2) subject name; 3) unit (time) allotment; 4) goals; 5) subject areas and content composition; and 6) other related characteristic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Summarized results of the study outline as follows: 1) Home Economics is offered as independently required subject with equal status to Mathematics, Science, and Social Studies subject in all three countries; 2) Sex discrimination is prohibited both in the U.S. and Taiwan, while in Japan sex equity is not secured for Home Economics educations; 3) Time allotment for Home Economics in Japan and Taiwan is similiar to that in Korea;4) Subject areas cover such fields as Foods and Nutrition, Clothing and Textiles, Home Management, and Human Development in all three countries, which is similiar to those of Korea. In addition, Consumer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are also covered in the U.S., whereas in Japan Child Care is offered; and 5) Curriculum can be utilized as instructional planning material due to the clear specification of instructional methods, materials, and evaluation methods on the curriculum, especially in the U.S. and Taiw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