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ed and wild fish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19초

2001-2016년 까지 바이러스성출혈성패혈증바이러스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의 국내 검출 동향 분석 (Study on the tendency of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detection in Korea from 2001 to 2016 based on reported cases)

  • 장민석;김종오;오명주;김위식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9-55
    • /
    • 2018
  • Tendency of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detection from 2001 to 2016 in Korea was studied based on 15 reported cases. Since the VHSV was first detected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Pohang in 2001, it has been continuously reported from olive flounder farms in various regions of the Korean coastal area. So far, the virus has been detected from 2 farmed fishes, 12 wild marine fishes and 2 marine bivalves. All the 67 isolates were belong to VHSV genotype IVa. The predisposing factor analysis from different olive flounder farms revealed that the VHSV were highly detected from the juveniles under 40 g in body weight,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9.5 to $17^{\circ}C$ and during the period of March to June. Therefore, we recommend that farmers, need to exercise caution against VHSV infection in Spring.

새우 양식장 주변 생물의 흰점바이러스 보유율 및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대하 Fenneropenaeus chinensis에 대한 흰점바이러스 전달 효과 (Prevalence of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in Marine Organisms around the Shrimp Farm and Polychaete Worm-Mediated Transmission of WSSV to Fenneropenaeus chinensis)

  • 김근식;박상용;이일로;남윤권;방인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21
    • /
    • 2009
  •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is a strong causative agent for high mortality in cultured and wild shrimps. From this study, the WSSV prevalence in marine organisms around shrimp farm as well as live feed-mediated transmission of WSSV to farmed shrimps were investigated. Based on nested-PCR method, WSSV was detected in wide array of marine organisms including Perinereis aibuhitensis (81.3% of prevalence rate, 13/16), Enedrias fangi (100%, 16/16), Ruditapes philippinarum (20%, 2/10), crab larvae (100%, 10/10), copepoda (30%, 3/10), Periophthalmus modestus (50%, 5/10), Pachygrapsus crassipes (10%, 1/10), Helice tridens (20%, 2/10) and Neomysis sp. (70%, 7/10). On the other hand, WSSV was not detected in Bullacta exarata, Uca arcuata, and Reishia clavigera. The percent prevalence of WSSV in wild shrimps, Fenneropenaeus chinensis was only 6%, but markedly increased up to 56% after a feeding trial using polychaete worms for one month, indicating that the live feed is one of significant carriers of WSSV to shrimps under practical farming conditions.

양식 농어의 Carotenoids 대사와 체색선명화에 미치는 영향 (Metabolism of Dietary Carotenoids and Effects to Intensify the Body Color of Cultured Sea bass)

  • 강동수;하봉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72-281
    • /
    • 1994
  • 양식 농어에 대한 사료 carotenoids의 대사와 체색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beta}$-carotene, lutein ester, astaxanthin, astaxanthin monoester 및 astaxanthin diester의 첨가사료로서 8주간 사육하여 표피의 carotenoid성분을 분석,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어 표피의 carotenoid색소는 tunaxanthin획분과 lutein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으며, 그 외 ${\beta}$-carotene, a-cryptoxanthin, zeaxanthin 및 ${\beta}$-carotene type triol이 소량으로 존재하였다. 한편, 천연산은 양식산에 비하여 tunaxanthin과 lutein의 함유비가 높은 반면 ${\beta}$-carotene의 함유비가 낮은 경향을 보여 서로 차이를 보였다. Carotenoid의 축적율은 astaxanthin monoester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서 체색선명화의 효과가 컸었으며, 그 다음으로 astaxanthin, astaxanthin diester첨가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육시험후 각 시험구의 carotenoid함량과 조성으로 보아, 농어의 carotenoid대사경로는 astaxanthin이 ${\beta}$-carotene type triol, zeaxanthin, lutein을 거쳐 tunaxanthin으로 되는 환원적대사과정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Genetic Differences between Cultured and Wild Penaeid Shrimp (Penaeus chinensis) Populations Analysed by RAPD-PCR

  • Yoon, Jong-Man;Chung, Ee-Yung;Kim, Gye-Woong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15-317
    • /
    • 2003
  • Penaeid shrimp (Penaeus chinensis), economically important aquacultural species, belonging to family Penaeidae including genus Fenneropenaeus, widely inhabit the West Sea and South Sea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Gulf of Pohai in China under the natural ecosystem. Consequent of the rapid increase in seed production,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e genetic traits and composition of this fish species in order to evaluate exactly the patent genetic effects induced by seed production operations. (omitted)

  • PDF

한국 이매패류 내 VHSV 검출 및 잠재적 위험성 분석 (Detection and Analysis of the Potential Risk of VHSV in Bivalves in Korea)

  • 최재찬;김영철;최환준;박전오;정현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7-35
    • /
    • 2015
  •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는 세계적으로 담수와 해산어에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시키는 주요바이러스이다. 이매패류는 감염어로부터 해수로 방출된 바이러스를 여과섭식작용을 통해 축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carrier로써의 가능성이 보고된 바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국내 어류 양식장 주변에 서식하는 참굴(Crassotrea gigas)과 담치(Mytilus edulis)를 샘플링하였고, RT-PCR법을 통해 바이러스를 검출하여 패류 내 VHSV존재를 확인하였다. 기존 병성감정기관에서 사용하는 primer로는 IVa genotype만을 검출할 수가 있었기 때문에 Glycoprotein(G) gene의 conserved region에 대한 primer를 제작하여 VHSV의 4가지 타입 모두 검출할 수 있게 하였고 이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총 84개 중 22개의 시료가 nested PCR을 통해 양성으로 확인되었고, 이 중 6개의 양성시료를 시퀀싱하여 유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내 여러 지역의 패류에서 검출된 VHSV는 모두 IVa genotype으로 아주 제한적인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국내 어류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VHSV의 타입은 IVa genotype이라는 이전의 보고와 상응하는 결과를 나타냈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양식장 주변에 서식하는 이매패류의 여과섭식작용으로 인한 축적되는 바이러스로 인한 전염가능성과 패류 내 존재하는 바이러스와 어류에서 질병을 발생시키는 바이러스와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였으며, 향후 다른 genotype의 유입 및 검출을 위한 연구는 계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양식 어류에 질병을 유발하는 연쇄구균증의 특성 및 진단 방법 (Characteristics and Diagnostic Methods of Streptococcosis Causing Disease in Aquaculture)

  • 김동휘;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1118-1126
    • /
    • 2018
  • 본 논문은 양식 어류에게 많은 경제적 피해를 입히고 있는 다양한 어류질병세균 중에서 연쇄구균증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과 종류, 진단 방법에 대하여 기존에 연구 보고된 논문을 기반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대표적인 어류연쇄구균증의 원인체로는 Lactococcus garvieae, Streptococcus iniae, S. parauberis가 있다. 연쇄구균증에 감염 시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체색변화, 안구이상, 아가미 퇴색, 출혈, 복부팽만, 신장과 비장의 종대 등의 보이다 폐사가 일어난다. 또한 수온이 상승하는 6월부터 10월까지 주로 일어나며 집단적으로 발병하여 폐사가 일어난다. 현재 연쇄구균증을 진단하기 위한 기술로는 16S rRNA,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 (ISR),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Ribotyion (RT),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등이 있다. 이중에서 현장에서 적용 가능성이 높은 LAMP법이 각광을 받고 있지만 결과 확인 등의 문제로 인하여 현재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현장에서 진단부터 결과 확인까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문제점을 보완하면 연쇄구균증에 대한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 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Starvation on Kidney Melano-macrophage Centre in Sub-adult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Temminck and Schlegel)

  • Seol, Dong-Won;Hur, Jun-Wook;Kim, Dong-Soo;Nam, Yoon-Kwon;Bang, In-Chul;Park, In-Seo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2권1호
    • /
    • pp.49-53
    • /
    • 2009
  • We conducted a histological analys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nutritional changes on melano-macrophages (MMs) accumulation in the kidney of sub-adult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Four experimental groups were established (initial control, control, fed and starved), and fed commercial feed amounting to 1-3% of their body weight for 2 weeks prior to initiation of experiments. Kidney MMs with dark brown pigment were randomly observed in the kidneys of starved fish, increasing rapidly after 4 weeks, while deposition levels remained low throughout the experiment in the control and fed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tabolic tissue breakdown is a major factor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pigments within MMs.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degree of MMs deposition in the kidney can be used as alternative indicators in identifying starvation in wild and cultured rock bream.

강릉 연안산 참가리비의 PSP 독화 및 독조성 (Paralytic Shellfish Toxin Composition and Intoxication of Scallops (Patinopecten yessoensis) in Kangnung Coastal Waters of East Sea in 1997)

  • 전중균;한명수;박영제;윤문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13-816
    • /
    • 1998
  • 동해안 강릉 연안의 양식산과 자연산 참가리비의 마비성패독 (PSP)에 의한 독화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7년 1월부터 6월까지 중장선의 독성을 조사하였다. 마우스를 이용한 생물검정법으로 조사한 결과, 4월 30일과 5월 15일 시료에서 비록 $2 MU\;g^{-1}$의 낮기는 하였지만 독성이 검출되었으며, HPLC로 독조성을 분석하였 더니 gonyautoxins (GTXs)과 protogonyautoxins (PXs)이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우리나라 동해안에서도 PSP에 의해서 패류가 독화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양식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에 있어서 인공성성숙시기와 번식률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ship between Artificial Maturation Season and Reproduction Coefficient in the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 배준영;김대중;이정의;손상규;이종관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19-225
    • /
    • 2007
  • 본 연구는 양식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인위적인 성성숙 처리시기와 번식률과의 상호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5월(봄)부터 익년 1월(겨울)까지 각 계절별로 수행되었다. 실험어의 인공 성성숙 유도를 위해 암컷($400{\sim}600\;g$) 뱀장어에 salmon pituitary extraction (SPE, 20 mg/fish/week)를 매주 복강에 주사하여 인위적인 성성숙을 유도하였다. 호르몬 처리 $8{\sim}13$주 이후 대부분의 개체들은 난황형성이 완료되었고, $17{\alpha}$, $20{\beta}-dihydroxyprogesteron$ (DHP, $2\;{\mu}g/g$ body weight)를 주사하여 배란을 유도하였다. 수컷 뱀장어($200{\sim}350\;g$)는 human chronic gonadotropin (HCG, 1 IU/g body weight/week)을 매주 복강에 주사하여 정자형성 및 배정을 유도하였고, 이후 상기의 개체들에 대해 자연산란에 의한 수정 및 인공수정을 병행하였다. 배란율, 부상률, 수정률 및 부화율을 포함한 계절별 번식률에 있어서 봄과 여름($5{\sim}7$월)에 인공성성숙을 유도한 실험구가 다른 계절에 비해 높았다. 산란수와 부화 유생수 및 부화유생의 생존일수는 번식률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양식산 뱀장어에 있어서 호르몬 처리에 의한 인공성성숙유도의 시기는 자연계에서 주산란시기인 봄과 여름철이 적합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양식산 뱀장어의 적절한 인공성성숙시기는 배란율, 부상률, 수정률 및 부화율을 포함한 번식률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배합사료로 장기간 사육된 넙치의 육질평가 (Long-term Evaluation of Muscle Quality of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with Extruded Pellet)

  • 김강웅;강용진;김경덕;최세민;이종윤;이해영;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1-55
    • /
    • 2007
  • 이 연구는 실용 배합사료를 자체 제작한 기존의 배합사료, 상품사료 및 습사료를 장기간 걸쳐 사육한 넙치에 대해 육질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실험어는 13개월간 사육한 넙치 성어기(600 g 전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실험사료는 시험사료(EP1 및 EP2) 2종, 상품사료(CEP) 및 습사료(MP)를 공급하였다. 전어체의 성분분석은 조단백질은 EP2가 EP1 및 CEP 사료구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조지방은 EP2 및 MP 사료구가 CEP 사료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근육내 유리아미노산의 성분분석은 EP사료구간에서 MP 사료구보다 proline, glycine, alanine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taurine에 있어서 EP1 사료구가 다른 사료구와 비교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핵산 관련물질 성분분석은 ATP 및 IMP의 양에서 배합사료에서 습사료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며, 특히 EP2에서 다른 사료구와 비교하여 높은 값을 보였다. 관능검사는 향, 외관, 맛에 있어서 EP 사료구와 MP 사료구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전반적인 기호도에 있어 EP2가 다른 사료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물리적 성질의 경도 측정은 EP2는 EP1 및 CEP 사료구와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탄력성과 응집성은 모든 사료구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그동안 배합사료를 넙치에 공급한 연구 결과를 고려하였을 때, 생사료를 공급한 넙치에 비해 품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으며, 오히려 배합사료를 공급한 양식산 넙치가 체계적인 관리 하에 앞으로 품질향상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