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yptoxanthin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3초

Effect of Harvesting Season on the 6-Cryptoxanthin in Shiranuhi Mandarin Fruit Cultivated in Jeju Island

  • Heo, Ji-Man;Kim, Do-Hyun;Kim, In-Jung;Lee, Sam-Pin;Kim, Chan-Shic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3호
    • /
    • pp.219-223
    • /
    • 2005
  • [ $\beta-Cryptoxanthin$ ] content was determined in Shiranuhi mandarin fruits harvested at monthly intervals from October to February in Jeju Island. Crude carotenoids were extracted from both peel and flesh of Shiranuhi mandarin fruits and analyzed using TLC and HPLC; $\beta-cryptoxanthin$ was indicated the Rr value of 3.2 and retention time of 23 min, respectively. $\beta-Cryptoxanthin$ contents in both peel and flesh were increased gradually as the citrus fruits ripened fully until harvesting season (February). According to the harvesting time, $\beta-cryptoxanthin$ contents in the peel were $0.15\;mg\%\;(October),\;0.28\;mg\%\;(November),\;0.38\;mg\%\;(December),\;1.23\;mg\%\;(January),\;and\;1.71\;mg\%\;(February).$In the flesh, $\beta-cryptoxanthin$ contents were lower than those of peels, having $0.06\;mg\%\;(October),\;0.08\;mg\%\;(November),\;0.19\;mg\%\;(December),\;0.26\;mg\%\;(January),\;and\;0.65\;mg\%\;(Februar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beta-cryptoxanthin$ in Shiranuhi mandarin fruits accumulated during ripening of the citrus fruits. In particular, the peels had much higher concentrations of $\beta-cryptoxanthin$ and have potential for use as a functional ingredient.

양식 담수어 및 해산어의 사료 Carotenoids 대사의 비교와 체색개선에 미치는 영향 (Comparison of Dietary Carotenoids Metabolism and Effects to Improve the Body Color of Cultured Fresh-water Fishes and Marine Fishes)

  • 하봉석;권문정;박미연;백승한;김수영;백인옥;강석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70-284
    • /
    • 1997
  • 무지개 송어, 산천어, 뱀장어, 볼락 및 우럭에 대한 사료 carotenoids의 체내대사와 체색 개선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사료에 ${\beta}-carotene$, lutein, canthaxanthin, astaxanthin 및 ${\beta}-apo-8’-carotenal$을 각각 첨가하여 4 내지 5주간 사육하여 표피의 carotenoids 성분의 변화를 분석,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지개 송어 표피의 carotenoids 조성은, zeaxanthin, ${\beta}-carotene$ 및 canthaxanthin이 주성분이였으며, 그 외 lutein, isocryptoxanthin 및 salmoxanthin을 소량 성분으로 함유하며, 표피의 carotenoids 축적율은 canthaxanthin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나 체색 선명화 효과가 가장 컸으며, astaxanthin, ${\beta}-carotene$ 첨가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무지개 송어 표피에서의 carotenoids 대사경로는, ${\beta}-carotene$이 isocryptoxanthin, echinenone 및 canthaxanthin을 경유하여 astaxanthin으로 lutein은 canthaxanthin으로 산화되고, canthaxanthin은 isozeaxanthin을 경유하여 ${\beta}-carotene$으로 환원되며 astaxanthin은 triol을 경유하여 zeaxanthin으로 환원되는 대사경로를 추정할 수 있었다. 산천어 표피의 carotenoids 조성은, zeaxanthin이 주성분이며, 그 외 triol, lutein, tunaxanthin, ${\beta}-carotene$, ${\beta}-cryptoxanthin$ 및 canthaxanthin을 소량 성분으로 함유하며, 표피의 carotenoids 축적율은 canthaxanthin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나 체색 선명화 효과가 가장 컸으며, lutein, ${\beta}-carotene$ 첨가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산천어 표피에서의 carotenoids 대사경로는, ${\beta}-carotene$이 zeaxanthin으로 산화되고, lutein은 tunaxanthin을 경유하여 zeaxanthin으로 환원되고, canthaxanthin은 ${\beta}-carotene$을 경유하여 zeaxanthin으로 산화되며 astaxanthin은 triol을 경유하여 zeaxanthin으로 환원되는 대사경로를 추정할 수 있었다. 뱀장어 표피의 carotenoids 조성은, ${\beta}-carotene$이 주성분이였으며, 그 외 lutein, zeaxanthin 및${\beta}-cryptoxanthin$등이 소량 성분으로 함유하며, 표피의 carotenoids 축적율은 lutein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나 체색 선명화 효과가 가장 컸었고, canthaxanthin astaxanthin 첨가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뱀장어 표피에서의 carotenoids 대사경로는, ${\beta}-carotene$과 lutein은 그대로 축적되며, canthaxanthin은 ${\beta}-carotene$으로 그리고 astaxanthin은 zeaxanthin으로 환원되는 대사경로를 추정 할 수 있었다. 볼락 표피의 carotenoids 조성은, zeaxanthin, ${\beta}-carotene$, tunaxanthin A, tunaxanthin B, tunaxanthin C 및 lutein이 주성분이였으며, 그 외 ${\beta}-cryptoxanthin$, ${\alpha}-cryptoxanthin$, astaxanthin을 소량 성분으로 함유하며, 표피의 carotenoids 축적율은 lutein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나 체색 선명화 효과가 가장 컸으며, ${\beta}-carotene$, canthaxanthin 첨가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볼락 표피에서의 carotenoids의 대사경로는, ${\beta}-carotene$은 lutein으로 산화되며, lutein, canthaxanthin astaxanthin 및 ${\beta}-apo-8'-carotenal$은 zeaxanthin을 경유하여 tunaxanthin으로 각각 산화 및 환원되는 대사경로를 추정할 수 있었다. 우럭 표피의 carotenoids 조성은, ${\beta}-carotene$, astaxanthin 및 zeaxanthin이 주성분이였으며, 그 외 ${\alpha}-cryptoxanthin$, ${\beta}-cryptoxanthin$, lutein 및 canthaxanthin을 소량 성분으로 함유하며, 표피의 carotenoids 축적율은 lutein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나 체색 선명화 효과가 가장 컸으며, canthaxanthin, ${\beta}-carotene$ 첨가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우럭 표피에서의 carotenoids 대사경로는 ${\beta}-carotene$${\beta}-cryptoxanthin$으로 산화되고, lutein은 ${\alpha}-cryptoxanthin$을 경유하여 ${\beta}-carotene$으로 환원되고, canthaxanthin은 ${\beta}-cryptoxanthin$, zeaxanthin을 경유하여 ${\alpha}-cryptoxanthin$으로 환원되며, astaxanthin은 isocryptoxanthin, zeaxanthin을 경유하여 tunaxanthin으로 대사되며, ${\beta}-apo-8’-carotenal$${\beta}-cryptoxanthin$, zeaxanthin을 경유하여 ${\alpha}-cryptoxanthin$으로 환원되는 대사경로를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Changes in ${\beta}$-Cryptoxanthin Contents of Citrus unshiu Markovich Fruits Ripened in Greenhouse versus Open Field Cultivation

  • Heo, Ji-Man;Lee, Sam-Pin;Song, Kwan-Jeong;Kim, Chan-Shic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533-536
    • /
    • 2005
  • [ ${\beta}$-Cryptoxanthin ] contents were determined from Citrus unshiu Markovich fruits grown in a greenhouse and open field of Jeju Island, of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n a greenhouse and open field, the ${\beta}$-cryptoxanthin content in the peel was greatly increased by harvesting citrus fruits in the late season from August through November. However, ${\beta}$-cryptoxanthin content in the flesh was gradually increased and was superior to that of the citrus fruits grown in a greenhouse. ${\beta}$-Cryptoxanthin was efficiently purified from the flesh of citrus fruits harvested in the late harvesting season in November. The ${\beta}$-cryptoxanthin contents in the peel and flesh of citrus fruits harvested from a greenhouse in November were 0.89 mg% and 0.35 mg%, respectively, and in that obtained from an open field were 1.12 mg% and 0.35 mg%, respectively.

미꾸리아과에 속하는 미꾸라지와 미꾸리의 Carotenoid 색소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Carotenoid Pigments in Chinese muddy loach, Misgurnus mizolepis, and Muddy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in the Subfamily Cobitidae)

  • 박은숙;강동수;하봉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5-271
    • /
    • 1994
  • 천연산 및 양식산 미꾸라지와 미꾸리 표피의 carotenoid 조성을 thin-layer chromatography,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하고, $I_2$에 의한 이성화 반응 및 용매에 따른 가시부 흡수 spectrum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꾸라지 표피의 총 carotenold함량은 천연산 $4.76mg\%$인데 비하여 양식산 $3.43mg\%$로서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함량이 높았다. Carotenoid 조성은 천연산에서 lutein $30.5\%$, ${\beta}$-cryptoxanthin $24.6\%$, ${\beta}$-carotene $20.6\%$, cynthiaxanthin $11.7\%$로서 주성분을 이루고, 그 외 zeaxanthin $4.7\%$, tunaxanthin $4.5\%$, a-cryptoxanthin $1.0\%$의 순으로 함유되었으며, 양식산에는 lutein $35.4\%$, ${\beta}$-cryptoxanthin $17.9\%$, cynthiaxanthin $16.0\%$, ${\beta}$-carotene $12.7\%$로서 주성분을 이루고, 그 외 zeaxanthin $8.2\%$, tunaxanthin $5.0\%$, a-cryptoxanthin $0.9\%$순으로 함유되어, 천연산은 양식산에 비하여 ${\beta}$-carotene 및 ${\beta}$-cryptoxanthin의 함유비가 높은 반면, lutein의 함유비가 낮은 경향을 보여 서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미꾸리 표피의 총 carotenoid함량은 천연산 $4.00mg\%$인데 비하여 양식산 $2.99mg\%$로서 미꾸라지에서와 같이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함량이 높았다. Carotenoid조성은 천연산에서 lutein $32.9\%$, ${\beta}$-cryptoxanthin $18.8\%$, cynthiaxanthin $17.0\%$, ${\beta}$-carotene $15.1\%$로서 주성분을 이루고, 그 외 zeaxanthin $6.5\%$, tunaxanthin $6.0\%$, a-cryptoxanthin $1.5\%$의 순으로 함유되었으며, 양식산에는 lutein $51.8\%$, cynthiaxanthin $19.9\%$, ${\beta}$-cryptoxanthin $10.8\%$로서 주성분을 이루고, 그 외 ${\beta}$-carotene $5.0\%$, zeaxanthin $4.8\%$, tunaxanthin $4.5\%$, a-cryptoxanthin $0.2\%$의 순으로 함유되어, 미꾸라지에서와 같이 천연산은 양식산에 비하여 ${\beta}$-carotene 및 ${\beta}$-cryptoxanthin의 함유비가 높은 반면, lutein의 함유비가 낮은 경향을 보여 서로 상이 하였으며, 미꾸라지와 미꾸리 표피의 carotenoid 함유비는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조성에 있어서는 서로 유사하였다.

  • PDF

연어과에 속하는 열목어와 산천어의 Carotenoid 색소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Carotenoid Pigments on Manchurian Trout, Brachymystax lenok and Masu Salmon, Oncorhynchus macrostomus in the Family Salmonidae)

  • 백승한;하봉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78-287
    • /
    • 1998
  • 담수산 어류에 관한 비교 생화학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우리나라 특산의 냉수성 담수 어류인 천연산 열목어와 천연산 및 양식산 산천어의 표피 carotenoids를 TLC, column chromatography 및 HPLC로 분리하고 $NaBH_4$에 의한 환원반응, $I_2$에 의한 이성화반응 및 uv-visible spect-rophotometer로 동정하여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열목어 표피의 총 carotenoids 함량은 천연산이 $3.72\;mg\%$으로서 연어과의 다른 어종에 비해 함량이 높았으며 carotenoids 조성은 zeaxanthin $36.9\%$, $\beta-carotene\;14.7\%$로서 주성분을 이루고, 그 외 triol $7.8\%$, isocryptoxan-thin $7.3\%$, 4-hydroxy echinenone $5.7\%$, lutein $4.7\%$, salmoxanthin $4.5\%$ 및 astaxathin $2.2\%$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canthaxanthin, tunaxanthin A, tunaxanthin B, tunaxanthin C, $\beta-cryptoxanthin$$\alpha-cryptoxanthin$이 미량성분으로 함유되어있다. 산천어 표피의 총 carotenoids 함량은 천연산 $0.82\;mg\%$인데 비하여 양식산은 $0.66\;mg\%$ 로서 천연산이 양식산에 비해 함량이 높았다. carotenoid 조성은 천연산에서 zeaxanthin $20.7\%$, isocryptoxanthin $17.0\%\;\beta-carotene$$15.8\%$로서 주성분을 이루고, 그 외 $\beta-cryptoxanthin\;6.7\%$, triol $6.2\%$, 4-hydroxy echinenone $6.1\%$, salmoxanthin $6.1\%$, canthaxanthin $5.9\%$, Butein $5.8\%$, $\alpha-cryptoxanthin\;4.9\%$ 및 astaxanthin $1.0\%$의 순으로 함유하며, 양식 산에 는 isocryptoxanthin $19.7\%$, $\beta-carotene\;18.0\%$, Beaxanthin $10.3\%$이 주성분을 이루며, 그 외 $\beta-cryptoxanthin\;8.9\%$, $\alpha-cryptoxanthin\;8.5\%$, lutein $8.0\%$, canthaxanthin $7.6\%$, triol $5.1\%$ 및 astaxanthin $2.0\%$의 순으로 함유하였다. 한편 천연산 산천어에는 zeaxanthin, salmoxanrhin 및 4-hydroxy echinenone의 함량이 높은 반면 양식산 산천어에는 $\alpha$-cryptoxanthin의 함량이 높아 서로 다른 경향을 보여 상이하였다. 양식산 산천어에는 천연산 산천어와는 달리, 연어과 특유의 carotenoid인 4-hydroxy echinenone과 salmoxanthin이 검출되지 않았고 또한 천연산 및 양식산 산천어는 천연산 열목어와는 달리 tunaxanthin A, tunaxanthin B 및 tunaxanthin C가 존재하지 않았다.

  • PDF

무당개구리의 복피 Carotenoid 색소에 관한 연구 (제2보). ${\alpha}$-Cryptoxanthin(3-hydroxy-${\alpha}$-carotene)의 분리 및 확인 (Studies on the Carotenoid Pigment in the Abdominal Skin of Bombina Orientalis(II). Occurrence of ${\alpha}$-Cryptoxanthin(3-hydroxy-${\alpha}$-carotene) in the Abdominal Skin of Bombina Orientalis)

  • 장세희;정의준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68-372
    • /
    • 1974
  • Bombina Orientalis(무당개구리)의 복피로부터 추출한 암적색의 색소를 TLC, PLC(preparative thin layer chromatography) 및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 및 정제하여 물리, 화학적 성질 visible 및 IR-spectral 특성을 이용하여 세번째주색소인 ${\alpha}$-cryptoxanthin(3-hydroxy-${\alpha}$-carotene)을 확인하였다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귤박으로부터 카로테노이드 추출 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in Extraction Conditions of Carotenoids from Citrus unshiu Press Cake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임상빈;좌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104-1109
    • /
    • 2003
  •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감귤박으로부터 ${\beta}$-cryptoxanthin을 포함한 carotenoids의 추출수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주요 요인 변수인 추출 압력, 추출시간, 보조용매의 농도 등 추출 조건을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해 최적화하였다. Total carotenoids와 ${\beta}$-cryptoxanthin의 추출수율에 대한 반응표면 회귀방정식의 $R^2$는 각각 0.9789과 0.9796이었고, 1% 이내의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추출조건에 따라 예측된 정상점은 안장점이었으며 능선분석을 실시한 결과 total carotenoids과 ${\beta}$-cryptoxanthin의 최대 추출수율은 각각 61.1%와 95.8%로 예측되었으며, 이 때의 추출 압력, 추출시간, ethanol의 농도는 각각 33.4MPa/39.6min/18.6%와 37.3 MPa/41.0 min/17.0%이었다. Total carotenoids의 추출수율은 추출 압력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압력이 높을수록 일정한 값에 도달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추출시간과 보조용매의 농도 증가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가하였다. ${\beta}-Cryptoxanthin$의 추출수율은 추출 압력, 추출시간, 보조용매의 농도 증가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감귤박으로부터 carotenoids의 추출에는 추출시간과 보조용매의 농도 사이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넙치와 방어의 Carotenoid 색소성분 (Carotenoid Pigments of Flounder and Yellowtail)

  • 하봉석;강동수;조영숙;박미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07-413
    • /
    • 1992
  • 천연산 및 양식산 넙치와 방어의 표피 carotenoid를 TLC, column chromatography, UV-visible spectropho-tometer 및 co-TLC로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넙치의 총 carotenoid함량은 양식산 1.16mg%로서 천연산 1.38mg%보다 낮은 함량치를 보였고, carotenoid조성은 양식산이 lutein, zeaxanthin, tunaxanthin, triol 및 $\alpha$-cryptoxanthin의 순으로 함유하였고, 천연산은 tunaxanthin, zeaxanthin, triol, lutein 및 $\alpha$-cryptoxanthin의 순으로 함유하며, 천연산은 양식산에 비하여 tunaxanthin, triol의 함량이 논은 반면, lutein, zeaxanthin의 함량에서 휠씬 낮은 함량치를 보여 차이가 있었다. 방어의 총 carotenoid함량은 양식산 0.09 mg%로서 천연산 1.08mg%보다 휠씬 낮은 함량치를 보였고, carotenoid조성은 양식산, 천연산 모두 tunax-anthin의 획분이 총 carotenoid의 약 95%로 대부분을 차지 하며, tunaxanthin은 tunaxanthin A, tunaxanthin B 및 tunaxanthin C의 세가지 혼합물로 확인되어 서로 유사하였으나, tunaxanthin A와 tunaxanthin B의 함량에서 다소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어류의 총 carotenoid 함량과 carotenoid의 구성성 분은 어종 뿐만 아니라 먹이와 생육조건 등의 서식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잉어아과에 속하는 묵납자루와 각시붕어의 Carotenoid 색소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Carotenoid Pigments in Korean Bittering, Cheilognathus signifer and Bride Bittering, Rhodeus ukekii in the Subfamily Cyprinidae)

  • 백승한;김수영;정계임;권문정;최옥수;김종현;김화선;하봉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220-1225
    • /
    • 1999
  • Differences in carotenoid composition in the integument of Korean bittering, Cheilognathus signifer and bride bittering, Rhodeus ukekii which are Korean native fresh water fish were compared. Total ca rotenoid contents in the integument of wild Korean bittering was 2.11mg% and composed of 42.6% zeaxanthin, 12.1% diatoxanthin and 12.1% lutein epoxide which are predominant carotenoids and 10.3% cynthiaxanthin, 8.3% zeaxanthin epoxide, 6.4% lutein and 1.5% cryptoxanthin which are minor carotenoids. Total ca rotenoid contents in the integument of wild bride bittering was 4.99mg% during a spawning period but after the spawning period it was decreased to 4.17mg% and carotenoid composition of bride bittering during the spawning period was 46.7% zeaxanthin, 26.5% diatoxanthin and 12.3% lutein which are predominant carotenoids, and 6.2% zeaxanthin epoxide, 3.1% cynthiaxanthin, 2.9% cryptoxanthin and 0.7% canthax anthin which are minor carotenoid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arotenoid composition of bride bittering during spawning period was very similar to that of Korean bittering and carotenoid composition of bride bittering after the spawning period was 30.5% diatoxanthin, 21.5% cynthiaxanthin and 16.8% zeaxanthin which are predominant carotenoids and 14.0% cryptoxanthin, 11.3% lutein and 3.4% can thaxanthin which are minor carotenoids, indicating that after the spawning period, the content of zeaxanthin was decreased while that of cryptoxanthin and cynthiaxanthin was increased as compared to that of the spawning period. Total carotenoid contents in Korean bittering and bride bittering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in other species of cyprinidae whereas composition of the carotenoid was similar.

  • PDF

국내에서 상용되는 농산물의 카로티노이드 함량 분석 (Analysis of Carotenoids in Commonly Consumed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 박혜진;이주홍;권누리;강혜정;김주형;박진주;엄현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89-397
    • /
    • 2022
  • A total of 51 vegetables and fruits, commonly consumed agriculture products in Korea, were analyzed for their α-carotene, β-carotene, and β-cryptoxanthin contents as provitamin A. The beta-carotene content (㎍/100 g) was high in a few green leaf vegetables such as coriander (5,924.07), gegeol radish leaf (5.855.72), and curried mallow (5,138.01), while α-carotene and β-cryptoxanthin contents were not detected. The β-carotene in 8 kinds of 20 general vegetables was detected in the range of 214.06~1,437.67 ㎍/100 g, while α-carotene was detected at 460.17 ㎍/100 g in only old pumpkin. The β-cryptoxanthin was detected in the range of 106.55~315.49 ㎍/100 g in Japanese elm, watermelon, white cucumber, and lettuce. However, carotenoids were not detected in 10 kinds of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oriental melon, potato, etc. In fruits, the beta-carotene contents ranged from 165.72~3,997.39 ㎍/100 g, showing maximum value in apple mango and minimum value in persimmon. The β-cryptoxanthin was detected at 232.22 ㎍/100 g in only passion fruit, while the α-carotene was detected at 77.25 ㎍/100 g in only darae. Thus,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of carotenoids of agriculture products consumed or cultivated in Korea, and it was found that green leaf vegetables comprise high beta-carotene over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