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de fat extract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초

옻나무 추출액의 음수투여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inking Rhus Tree-Extract on Performance of Broiler)

  • 손장호;김상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5-31
    • /
    • 2004
  • 본 연구는 육계 생산과정에서의 천연항생제 개발을 위해서 옻나무 추출액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총320수의 1일령 육계에 옻나무 추출액 0 ppm (대조구), 500 ppm (T1), 1,000 ppm (T2) 및 2,000 ppm (T3)을 음용수와 함께 7주간 급여하였다. 증체중과 사료요구율은 35일령 까지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지만, 그 이후는 옻나무추출액의 급여구가 개선되어지는 경향이 인정되었고 그 개선정도는 T3구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맹장 내용물 및 분중의 대장균과 살모넬라균은 옻나무 추출액의 급이에 의해서 감소되었다. 사료중 건물, 조지방 및 조회분 소화율은 옻나무 추출액 급이에 의해서 개선되어지는 경향이 인정되었으며, 사료중 조단백질 소화율은 3개의 처리구 공히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증체량, 사료요구율, 맹장내용물과 분중의 대장균과 살모넬라균총의 감소 및 영양소 소화율은 옻나무 추출액의 음수투여가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In vitro system에서 오미자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Methanol Extract from Schizandra chinensis using an in vitro System)

  • 김지혜;정창호;최귀남;곽지현;최성길;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12-716
    • /
    • 2009
  • 오미자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 및 $H_2O_2$로 유도된 신경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ABTS radical 소거 및 FRAP방법을 이용하여 오미자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H_2O_2$로 유도된 PC12 신경세포에 대한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72-99% 정도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보였고, LDH release assay 결과 0.5 mg/mL 농도에서 47% 정도의 LDH 방출량 저해효과를 나타냈으며, neutral red uptake assay 결과 모든 농도에서 vitmain C에 비해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오미자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력과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의 뛰어난 보호효과는 알츠하이머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복분자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가열 돈육의 산화 억제 효과 (Antioxidant of Heating Pork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 Extracts)

  • 조완구;한승관;신지혜;이장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820-825
    • /
    • 2008
  • 완숙복분자의 이화학적 특성, 용매분획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돈육의 산화억제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복분자의 수분, 조단백,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탄수화물, 산도, pH 및 무기성분 등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ethyl acetate 추출물, butanol 추출물 그리고 ethanol 추출물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농도별로 측정한 결과, ethanol 추출물 $2,000\;{\mg}/mL$와 butanol 추출물 $1,500\;{\mg}/mL$ 농도에서 89.93%와 89.68%의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또한 ABTS 양이온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hexane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추출물 $1,000{\sim}2,000\;{\mg}/mL$에서 90% 이상의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TBARS 방법으로 돈육의 항산화효과를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와 ethanol 추출물 공히 TBARS 값이 0.37 MDAmg/kg으로 ascorbic acid 0.39 MDAmg/kg보다 항산화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복분자 ethyl acetate와 ethanol 추출물은 ascorbic acid보다 산화억제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생각된다.

시판 비파나무잎차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mercial Loquat (Eryobotrya japonica) Leaf Tea)

  • 정창호;김일훈;심기환;배영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105-11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시판 비파나무잎차의 영양성분 분석 및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 5.34%, 조단백 8.38%, 조지방 13.26%, 가용성 무질소물 46.21%, 조섬유 19.24% 및 조회분 7.57%순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비타민 C 함량과 총페놀 함량은 각각 0.47 mg/100 g 및 42.55 mg/g이였다. 무기성분은 Ca, K 및 Mg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함량은 각각 1,624.01, 1,099.66 및 192.70 mg/100g이었다. 비파나무잎차의 아미노산 분석 결과 glutamic acid (565.98 mg/100 g)가 가장 높게 함유되었고, 반면 가장 낮은 함량은 cystine (12.97 mg/100 g)이였다. 시판 비파나무잎차 열수 추출물 농도 $1,000{\mu}g/mL$를 기준으로 했을 때 각각 86.87%와 98.14%의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환원력과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는 농도 의존적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시판 비파나무잎차는 항산화제와 같은 기능성 식품 소재로 이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산 양하(꽃봉오리와 지하경)의 인지 기능 개선 효과 (Effects of Korean Zingiber mioga R. (Flower Buds and Rhizome) Extract on Memory)

  • 조교희;오명숙;김효근;이선희;정건섭;김애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519-15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자생하는 양하를 부위(꽃봉오리와 지하경)별로 일반성분, 다량 무기질 함량, 항산화 활성, AChE 저해 활성 및 인지 기능 동물실험을 측정을 통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천연 식물자원의 우수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양하의 꽃봉오리와 지하경의 일반성분을 분석하여 비교해본 결과 양하 꽃봉오리의 수분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꽃봉오리, 지하경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지방 함량은 차이가 거의 없었고 탄수화물은 지하경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꽃봉오리와 지하경의 무기질 함량에서는 지하경이 Ca($62.30{\pm}0.46mg%$), K($656{\pm}1.58mg%$), Na($19.10{\pm}0.52$ mg%), P($70.10{\pm}1.54mg%$)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비타민 A, C, E를 분석해 봤을 때 비타민 A는 분석되지 않았으며, 비타민 E의 함량은 지하경이 $0.50{\pm}0.02mg$으로 분석되었다. 비타민 C의 경우, 꽃봉오리에서는 분석되지 않았으나 지하경에서는 $0.70{\pm}0.08mg$이 분석되었다. 양하의 꽃봉오리 열수 추출물, 꽃봉오리 70% 에탄올 추출물과 지하경 열수 추출물, 지하경 70% 에탄올 추출물의 total polyphenol contents를 측정한 결과, 꽃봉오리 추출물이 지하경보다,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농도를 달리하여(62.5, 125, 250 및 $500{\mu}g/mL$)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증가하였고,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낸 것은 꽃봉오리 열수 추출물로 나타났다. ABTS radical scavenging 역시 모든 추출물에서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꽃봉오리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게 측정되었다. 양하 꽃봉오리의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 저해 활성을 특정한 결과, 양성대조군인 tacrine과 비교 시 양하의 꽃봉오리 열수 추출물이 꽃봉오리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 저해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인지 기능 개선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scopolamine으로 기억 손상을 유발한 mice에서 물체인식 실험(NORT)과 Y-미로실험(Y-maze)을 이용한 행동시험을 수행한 결과, NORT에서 양하 꽃봉오리의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거의 유사하게 정상군과 비슷한 정도의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고, Y-maze test에서도 양하 꽃봉오리의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항치매 약물인 donepezil과 유사한 효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양하 추출물 특히 꽃봉오리 부위를 열수 추출했을 때 항산화 활성,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 저해 활성, 인지 기능 및 학습능력 증진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천연 치매 예방물질 소재로서 이용가치가 높아 앞으로 양하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천년초선인장의 부위별 영양성분 분석과 정상 및 암세포에 미치는 효과 (Nutrients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Pickly Pear(Opuntia humifusa) and Possible Anti-Breast Cancer Effect)

  • 윤진아;함상욱;손용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85-491
    • /
    • 2009
  • In order to examine the nutritional value of prickly pear(Opuntia humifusa), contents of ash, protein, fat, minerals and vitamins were determined on freeze-dried stem, fruit, seed and root from plants harvested in autumn. The average moisture contents for stem, fruit, seed and root were 67~87%. Crude ash content determined on dry weight basis was 2~3%. Crude protein existed mostly in seed(2.95%) and root(2.37%). Crude fat was detected mainly in seed(4.49%). Contents of major minerals(mg/100 mg dry weight) was generally higher in stem. Ca in stem(4,142.30) and fruit(2,790.86) were much higher than in seed(43.37). P in stem, seed and fruit were 448.19, 263.20 and 161.59, respectively. Stem also displayed more abundant Mg(1,110.86), Zn(35.62) and Mn(37.07). However, fruit contained higher amounts of Fe(13.38) and Se(0.15). Vitamin A was negligible in all plant parts. Vitamin E contents in fruit and stem were 1.78 mg and 1.22 mg/mg dry weight, respectively. Vitamin C was detected mostly in fruit(445.40) and stem(260.94). Use of a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based microtiter assay of cell viability demonstrated an anti-proliferative effect of O. humifusa extract on the MCF-7 estrogen-dependent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인삼제품(人蔘製品)의 품질안정성(品質安定性)에 관한 연구(硏究) -2. 인삼정분(人蓼精粉)과 시판다류제품(市販茶類製品)의 품질안정성(品質安定性) 비교(比較)- (Studies on Stability for the Quality of Ginseng Products -2. Comparative Study on Keeping Quality of Red Ginseng Extract Powders(RGEPs) and Commercial Dehydrated Tea Products-)

  • 최진호;변대석;노재일;박길동;성현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09-214
    • /
    • 1984
  • 유통과정(流通過程)중의 품질안정성(品質安定性) 유지(維持)가 항상 문제시되고 있는 홍삼정분(紅蓼精粉)(동결(凍結) 및 분무(噴霧))의 안정성(安定性)을 시판차류정품(市販茶類精品)과 비교(比較)하기 위하여 이들 제품(製品)의 흡습특성(吸濕特性)을 비교(比較)하였고 또 초기수분함량(初期水分含臺), 조지방함량(粗脂肪含量) 및 밀도(密度)와의 관계(關係)를 조사(調査)하여 홍삼정립(紅蓼精粒)의 안정성(安定性) 미치는 영향(影響)을 비교(比較)하였다. (1) 홍삼정분(紅蔘精粉) 및 시판차류제품(市販茶類製品)의 입도(粒度)는 100 mesh 이하였으며 동결건조제품(凍結乾燥製品)이 분무건조제품(噴霧乾燥製品)보다 입도(粒度)가 컸다. (2) 홍삼정분(紅蓼精粉)(동결(凍結) 및 분무(噴霧))이 3.85% 및 4.56% 로 초기수분함량(初期水分舍量)이 높은데 비해 커피(동결(凍結) 및 분무(噴霧))가 2.17% 및 3.52%로 낮았으며 홍삼정분(紅蔘精粉)이 커피 보다 1.3$\sim$l.8배의 높은 초기수분함량(初期水分含量)을 나타냈다. (3) 탱이나 쌍화차가 흡습율(吸濕率)이 가장 낮아 높은 안정성(安定性)을 나타냈는데 이는 탱과 쌍화차의 지방함량(脂肪含量) (4.12% 및 0.62%)이 높을 뿐만 아니라 밀도(密度)(0.89g/ml 및 0.59g/ml)도 다른 제품(製品)에 비해 훨씬 높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4) 커피의 흡습율(吸濕率)이 홍삼정분(紅參精粒)보다 컸으나 커피의 안정성(安定性)이 홍삼정분(紅蔘精紛)보다 더 높은 것은 커피의 초기수분함량(初期水分含量) (2.17${\sim}$3.52%)이 홍삼정분(紅蓼精粉) (3.85${\sim}$4.56%)보다 낮을 뿐만 아니라 커피의 지방함량(脂肪含量)(0.31${\sim}$0.38%)도 홍삼정분(紅蔘精粉)(0.12${\sim}$0.16%) 보다 훨신 높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5) 따라서 홍삼정분(紅蓼精粉)의 안정성(安定性)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행 물추출방벙(抽出方法)을 용매추축(溶媒抽出)로의 전환(轉換)이나 지방피막(脂肪皮膜) 처리(處理)에 의한 흡습물성(吸濕物性)을 개선(改善)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ge-related digestibility of nutrients depending on the moisture content in aged dogs

  • Kim, Ki Hyun;Seo, Kangmin;Cho, Hyun-Woo;Jeon, Jung-Hwan;Kim, Chan Ho;Jung, Jiyeon;Chun, Ju La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6호
    • /
    • pp.1355-1361
    • /
    • 2021
  • Digestibility of pet food can affect the health of dog, especially of aged animals. To maintain the health of dogs in an overall good stat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nutritionally balanced food. For example, the digestibility of dogs was known to be decreased along aging. In addition, losing teethes is an often event in aged dogs that could induce a problem to eat a large size dry pet food. Nonetheless, few detailed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e most suited feeding for aged dogs. As part of the nutritional study of food for aged dogs, in this study, we tested whether food type impacts on digestibility on adult versus senior dogs. The methodology to measure the digestibility of nutrients was chosen the index method using chromium oxide. Dogs were fed the same commercial dry or wet diets, which were supplemented with 0.5% chromium oxide. The wet food was prepared by adding twice volume of water in the dry food prior to incubated overnight (14-16 hours) at room temperature. After five days, their feces were collected up to a total weight of > 200 g which was the amount to analyze undigested nutrients in feces as 3 repeats. In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breed, no difference in the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fiber, ash, and energy was observed regard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ood. Noteworthy, the digestibility of nitrogen free extrac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enior dogs fed dry dog food compared with adult dogs fed the same diet, whereas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senior and adult dogs fed wet food. The small breed dogs showed similar results to the experimental breed dogs. However, the digestibility of crude fat was additionally affected by age and food type unlike the experimental breed dog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food moisture content affects the digestibility of nutrients in dogs with aging. Hence, it may be helpful to determine the nutrient contents in foods for senior dogs depending on the food type.

추출 조건에 따른 어수리의 항산화 활성 및 성분 분석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Various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Extracts)

  • 방지은;최해연;김순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65-771
    • /
    • 2009
  • 본 연구는 생식으로만 이용하고 있는 어수리 잎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물과 에탄올을 사용하여($80^{\circ}C$ 50% 에탄올/ $20^{\circ}C$ 50% 에탄올/ $80^{\circ}C$ water/ $20^{\circ}C$ water) 어수리를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았다. 항산화성 물질 중 총 폴리페놀 함량은 $80^{\circ}C$에서 50% 에탄올 추출물이 64.73 mg GAE/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80^{\circ}C$에서 50%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DPPH radical 소거능은 50 ppm에서 69.14%, reducing power는 1000 ppm에서 흡광도 0.93을 나타내었고, ABTS+ radical 소거능은 1000 ppm에서 85.62%의 성을 보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추출방법 중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난 50% 에탄올 추출물의 일반성분 측정결과 수분함량은 6.38%, 조단백질 함량은 4.35%, 조지방 함량은 0.67%, 그리고 조회분 함량은 1.96%였다. 또한 무기질 분석결과 Na 53.41 mg/100 g, K 396.26 mg/100 g, Mg 5.80 mg/ 100 g, P 47.17 mg/100 g, Zn 0.40 mg/100 g, Fe 5.27 mg/100 g, 그리고 Ca 3.56 mg/100 g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소재 개발의 일환으로 어수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관련 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페놀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64.73 mg GAE/g과 49.54 mg RE/g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어수리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 시 $80^{\circ}C$에서 5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항산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Safflower Seed on Bone Loss in Ovariectomized Rat

  • Cho, Sung-Hee;Choi, Sang-Won;Choi, Young-Sun;Kim, Hee-Jung;Park, Youn-Hee;Bae, Yong-Chul;Lee, Won-J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392-397
    • /
    • 2007
  • We investigated whether ethanol extracts of the safflower seed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were responsible for the bone-protecting effects. Crude ethanol extract (CEE) of the safflower seeds was fed for 4 weeks at the level of 1% in diet to female Sprague-Dawley rats that had been subjected to bilateral ovariectomy (OVX). The CEE effects (OVX+CEE) were evaluated by comparing results obtained from OVX, Sham, and OVX injected with $17{\beta}$-estradiol ($OVX+E_2$) groups. OVX resulted in a dramatic reduction in the trabecular bone mass of the proximal tibia (approximately 40% of the Sham group) and an increase in fat deposition in bone marrow. In $OVX+E_2$ group, the bone loss was completely prevented as well as marrow adiposity. In OVX+CEE group, approximately 80% of the bone mass was maintained compared with Sham group and fat deposition in the bone marrow was prevented. Meanwhile, the partially purified ethanol extract containing the phenolic compounds stimulated proliferation of the ROS 17/2.8 osteoblast-like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as potently as positive controls of $E_2$ and genistein. The present data demonstrate that the ethanol extracts of safflower seeds reduced bone loss caused by estrogen deficiency. The bone-protecting effect of safflower seeds seems to be mediated, at least partly, by the stimulating effect of the phenolic compounds on the growth of osteobla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