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Drinking Rhus Tree-Extract on Performance of Broiler

옻나무 추출액의 음수투여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손장호 (대구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
  • 김상호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가금과)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The effect of drinking rhus tree-extract on performance of broiler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development of natural antibiotic in process of broilers production. A total of 320 broiler chicks at 1 day of age were fed the commercial diet and water, drinking water containing 0 ppm(control), 500 ppm (T1), 1,000 ppm (T2) and 2,000 ppm (T3) of rhus tree-extract fur seven weeks. The body weight gain and fred conversion ratio were not different by drinking rhus tree-extract until 35 days of age, but body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were tend to improve by drinking rhus tree-extract over 35 days of age, the improvement was higher in both T$_1$, and T$_3$ than control group(p<0.05) when 35 to 42 days of age. There was a decrease in the microflora population of both E. coli. end Salmonella in the cecum contents and feaces in broilers by drinking rhus tree-extract.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crude fat, and crude ash of feed were tend to increased in broiler drinking rhus tree-extract.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of feed in broiler three treated groups was significantly improved (p<0.15) as compared with those in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rinking rhus tree-extract were effective in the body weight gain, feed conversion ratio, decreasing of microflora population of both E. coli and Salmonella in the cecum contents and feaces, and it had also effective the digestibility of nutrients in broilers.

본 연구는 육계 생산과정에서의 천연항생제 개발을 위해서 옻나무 추출액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총320수의 1일령 육계에 옻나무 추출액 0 ppm (대조구), 500 ppm (T1), 1,000 ppm (T2) 및 2,000 ppm (T3)을 음용수와 함께 7주간 급여하였다. 증체중과 사료요구율은 35일령 까지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지만, 그 이후는 옻나무추출액의 급여구가 개선되어지는 경향이 인정되었고 그 개선정도는 T3구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맹장 내용물 및 분중의 대장균과 살모넬라균은 옻나무 추출액의 급이에 의해서 감소되었다. 사료중 건물, 조지방 및 조회분 소화율은 옻나무 추출액 급이에 의해서 개선되어지는 경향이 인정되었으며, 사료중 조단백질 소화율은 3개의 처리구 공히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증체량, 사료요구율, 맹장내용물과 분중의 대장균과 살모넬라균총의 감소 및 영양소 소화율은 옻나무 추출액의 음수투여가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Feed Control Officials Incorporated AAFCO
  2. Physiology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Second Edition) Ingestion and absorption of carbohydrates and proteins Allen,R.M.D.;John,L.R.(ed.)
  3. Korean Medical Index Standard of chines medicine(Natural medicine) Ji,H.J.;Lee,S.I.
  4. Feed Management v.37 no.10 Yeast: out of the back box Lyons,P.
  5. SAS User Guide, Release 6(12th edition) SAS/STAT
  6. British Poultry Science v.41 no.1 Effect of removal of cecal contents on nitrogen utilisation and nitrogen excretion in cecal ligated chickens fed a low protein diet supplemented with urea Son,J.H.;Karasawa,Y. https://doi.org/10.1080/00071660086420
  7. Korean J Poul Sci v.29 no.4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cecal anaerobic bacterial counts with cecal length in growing chicks Son,J.H.
  8. Principles and Procedure of statistics Steel,R.G.D.;Torrie,J.H.
  9. Planta Medica v.65 Mono and sesquiterpens and antifungal constituents from Artemisia species Tan,R.X.;Lu,H.;Wolfender,J.L.;Yu,T.T.;Zheng,W.F.;Yang,L.;Gafner,S.;Hostettmann,K. https://doi.org/10.1055/s-1999-13965
  10. Altech technical publications The microbiologist's function in developing action-specific microorganisms Wu,J.F.
  11. 한국가금학회지 v.30 no.1 눈꽃동충하초균주(Paecilomyces japonica) 접종사료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강한석;손장호;이길왕;김선구;조병욱;신택순;전해열
  12. 대한피부과학회지 v.9 no.8 칠과식물(옻나무)에 의한 과민성실험 국홍일;우태하
  13. 한국임학회지 v.84 no.2 한국산 옻나무과의 분류학적 연구 김삼식;정재민
  14. 한국가금학회지 v.28 no.1 유산균과 버지니아 마이신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김상호;박수영;유동조;이상진;류경선
  15. 한국식품과학회지 v.31 no.3 한약재로부터 선발된 옻나무 수피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 분리 김인권;신동화;최웅
  16.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v.15 no.1 돈육에서의 항생제 잔류와 회수에 관한 연구 김태종;김익천
  17. 대한피부과학회지 v.40 no.5 옻에 의한 전신성 접촉피부염의 전신광학적 요법 김태흥;최덕진;윤태진
  18. 한국생태학회지 v.24 no.3 개똥쑥의 천연화학물질에 의한 항균효과와 성분 확인 김현철;길봉섭;이영행
  19. 한국영양사료학회지 87년도 후반기 기술세미나 교재 항생제 및 약품에 대한 내성세균 문제 마점술
  20. 한국가금학회지 v.27 no.1 유산균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수영;김상호;유동조;이상진;류경선
  21.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v.45 no.1 효모배양물의 첨가가 계 사내 유해가스 발생 및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박재홍;류명선;김상호;나종삼;김종승;류경선
  22. 원색 임상본초학 신민교
  23. 생약학회지 v.31 no.2 눈꽃동충하초의 약물활성 심진영;이영실;임순성;신국현;현진이;김성연;이은방
  24. 대한피부과학회지 v.15 no.4 옻듸 복용에 의한 혈행성 접촉성 피부염 이성락;박윤기;김홍직
  25. 대한수의학회지 v.38 no.3 동물 (젖소) 건강에 Monitoring system 모델 개발 : 경남 지역에서 우유내 항생제 잔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역학적 평가 이주홍;강호조;김종수;김곤섭;최민철;하대식;손성기;박일권;허정호;양동원
  26. 한국식품과학회지 v.29 no.6 옻나무 에탄올 추출액의 쥐 뇌세포에 관한 항산화 효과 임계택;심재한
  27. 전통동양약물 데이트베이스 서울대학교 천연물연구소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