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de extracts

검색결과 935건 처리시간 0.026초

곶감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Dried Persimmons Hot-Water Extracts)

  • 문혜경;한진희;김준한;김귀영;강우원;김종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23-729
    • /
    • 2004
  • 곶감의 식품에의 이용성 증대를 위하여 곶감 열수추출물을 제조한 후 밀가루에 대하여 10, 20, 30, 40%로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곶감 열수추출물의 수분함량은 70.37%, 조단백질은 1.72%, 조지방은 0.18%, 조회분은 1.99%, 조섬유는 4.37% 수준이었다. 곶감식빵의 수분함량은 무첨가군이 41.12%이었고, 첨가군의 경우는 42.31%에서 47.20% 수준으로 무첨가군에 비하여 다소 높았고, 수분활성도는 무첨가군이 0.495로 첨가군의 0.499에서 0.523 수준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곶감 열수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부피는 감소하였고, 중량과 수분결합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내부색도는 L값의 경우 첨가군이 무첨가군보다 낮은 값을 보여 명도가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적색도 a값과 황색도 b값은 곶감 열수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곶감식 빵의 조직감은 굳기의 경우는 곶감 열수추출물 40%첨가군이 무첨가군보다 약 3배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또한 검성 및 씹힘성도 증가하였다. 접착성과 부숴짐성은 곶감 열수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곶감식빵의 관능평가에서는 곶감 열수추출물 30%첨가군이 색, 단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관능점수를 얻었고, 조직감에서는 곶감 역수추출물 20%첨가군이 가장 높은 관능적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식빵의 제조에 있어 곶감 열수추출물 첨가량은 30%내외의 수준으로 첨가함으로써 곶감 특유의 색과 맛을 가지는 곶감식 빵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iency를 측정하였다. 분리된 침전층에 혈장을 섞어(5 ml) 실험동물에 정맥주사한 후, 전신 헤파린 처치 상태에서(1 mg/kg) 하행대동맥을 차단하여 우회도관 쪽으로 2시간 동안 혈액을 순환시키고 분리하였다. 각 도관의 내강을 생리식염수 500 ml로 동시에 세척한 다음, 일정 간격으로10$\times$10 mm 크기의 절편을 5개 채취하였다. 절편을 세분하여 측정튜브에 담아 동위원소 측정기(gamma counter, Cobra II , Packard ,USA)를 이용하여 Tc-99m-HMPAO의 분당 count수를 측정함으로써 혈소판의 흡착정도를 정량분석 비교하였다. 결과: 동위원소 측정기를 이용한 평균 count수는 각각의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율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평균 count수는 대조군에서 537.3 Ci/min였고 실험군에서는 311.1Ci/min로 측정되었으며, 두 군 사이의 비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이 1: 0.58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4) 결론: 위결과를 통하여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혈소판 표면흡착측면에서 우수하다는 것을 정량적으로 증명할 수 있었다. 저자 등이 사용한 in-vivo 동위원소 측정법으로 혈소판 흡착정도의 생체 내 실험으로 유용하며 의료용 고분자 재료의 혈액적합성 판정의 지표로 제시하고자 한다.vs. 실험군(595.5$\pm$179.6) 과 심근 수분 함유량 [n=8, p>0.05, 대조군(87.2$\pm$5.5%) vs. 실험군(82.4$\pm$10.1)] 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바위솔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암세포 증식억제 (The activity of antioxidants and suppression of cancer cell proliferation in extrac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 김충현;박재호;임종국;이건주;정규영;정형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1-39
    • /
    • 2003
  • 바위솔의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 및 동물 항암세포를 이용한 생물학적 특성을 조사 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지별 DPPH 프리라디칼 소거 및 xanthine/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비교에서 재배지에서 수확한 시료의 활성이 $6.07(IC_{50}:{\mu}g/m{\ell})$로 가장 높았다 생육시기별 DPPH 프리라디칼 소거 및 xanthine/xanthine oxidase 억제의 활성은 9월 수확물이 가장 활성이 높았다.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항산화물질 분리결과에서 S-4 분획물의 DPPH와 xanthine oxidase 억제활성이 $5.02(IC_{50}\;:\;{\mu}g/m{\ell})$$6.18(IC_{50}:{\mu}g/m{\ell})$을 나타냄으로써 높은 분리효율를 보였다.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았던 LH-4 분획물의 주요화합물은 GC/MS에 의하여 지방산, 폴리페놀화합물 및 페놀유도체로 동정되었으며 alpha-androsta-7,14-diene과 1,2,3-benzenetriol이 주 물질이었다. POD 및 SOD 활성은 생육지간에 재배지, 산, 바닷가 순으로, 생육시기간에는 시기가 늦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SOD 동위효소의 밴드수는 전 생육지, 전 생육시기에서 공히 2개의 밴드가 나타났으나, 그 세기는 재배지와 9월의 수확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제된 LH-4 분획물은 HL-60 세포의 종양증식을 억제시켰으며 종양유발유전자와 IPTG로 콜로니 형성을 유도한 암세포(2-12 cells)에서 분획물 400ppm 처리와 negative control 처리간의 colony형성은 유의차가 없었다.

녹차, 오룡차, 홍차 추출물을 첨가한 돼지고기 수육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oiled Pork Supplemented with Tea Extracts)

  • 조경옥;김선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774-783
    • /
    • 2013
  • 본 연구는 녹차, 오룡차, 홍차 추출물 0.5, 1, 1.5, 2%를 비육돈육(B 등급) 등심 수육에 첨가하여 수육의 일반성분, 보수력, 경도, pH, 색도, 미생물 수준, 휘발성 염기질소, TBARS, 관능검사의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녹차의 수분 함량은 3.4%, 조단백질 31.8%, 조회분 5.5%, 탄수화물 57.7%였으며 차 종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조지방은 녹차 1.6%, 오룡차 1.0%, 홍차 0.9%로 녹차의 조지방 함량이 오룡차나 홍차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돼지고기 수육의 수분 함량은 55.1%, 조단백질 38.6%, 조지방 5.2%, 조회분 0.9%이었다. 보수력은 모든 차 추출물 첨가 수육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차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경도는 모든 차 첨가 수육에서 추출물 농도가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홍차 수육이 녹차와 오룡차 수육보다 경도가 낮았다. 수육의 pH는 제조일에는 각 처리구와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무처리 수육과 모든 차 0.5% 수육에서 pH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1, 1.5, 2% 녹차, 오룡차, 홍차 수육에서는 저장 중 pH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녹차 수육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명도와 황색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감소하다가 2% 녹차 수육에서는 증가하여 0.5% 녹차 수육과 같은 수준이었다. 오룡차 수육은 추출물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명도와 황색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증가하였다. 홍차 수육은 추출물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명도, 적색도, 황색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미생물 수준은 모든 차 처리 수육에서 추출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 수준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 수준이 증가하였다. 수육의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은 제조일에는 각 처리구와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모든 수육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TBARS 값은 제조일에는 무처리 수육보다 1, 1.5, 2% 녹차 수육과 오룡차 수육, 모든 홍차 수육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수육에서 TBARS 값이 높아졌다. 관능검사 결과 홍차와 오룡차 1% 추출물 첨가 수육이 색, 향, 종합적 기호도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맛 점수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녹차보다 오룡차와 홍차 추출물의 첨가가 돼지고기 수육의 이취를 감소시키고, 특유의 색상을 부여하여 관능적 품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가열 조리 및 저장 중 지방산패를 방지하여 품질 변화를 최소화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돼지고기 수육의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홍차 추출물의 이용이 가장 좋았으며 오룡차와 홍차 추출물의 최적 첨가 농도는 1%로 나타났다.

고려홍삼의 수지상세포 활성화 효과 (Effects of Red-ginseng Extracts on the Activation of Dendritic Cells)

  • 김도순;박정은;서권일;고성룡;이종원;도재호;이성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0권3호
    • /
    • pp.117-12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정관장 홍삼의 물(water) extract, 식용발효 주정 extract 및 홍삼 추출물로부터 분리 제조한 crude saponin을 이용하여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수지상세포의 활성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홍삼시료 중, crude saponin $100\;{\mu}g/ml$을 처리하였을 때 수지상세포의 세포표면 분자인 MHC class II, CD40, CD80, CD86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phagocytosis는 감소하였다. 또한 홍삼시료를 처리한 수지상세포와 allogeneic T세포를 함께 배양하였을 때, 홍삼시료의 물 extract, 식용발효주정 extract, crude saponin 모두 allogeneic T세포의 증식반응을 유도하였고, IL-2와 $IFN-{\gamma}$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CD4^+$ syngeneic T세포와 $CD8^+$ syngeneic T세포의 반응에서도 T세포의 증식반응을 높게 유도하였으며, $CD4^+$ syngeneic T세포에서 IL-2와 $IFN-{\gamma}$의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CD8^+$ syngeneic T세포에서는 $IFN-{\gamma}$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crude saponin의 경우 수지상세포 의 세포표면 공동자극분자의 발현을 유도하고 성숙을 유도함으로써 T세포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며, 물 extract와 식용발효주정 extract는 crude saponin과는 다른 기작으로 T세포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실험에 사용한 홍삼시료, 즉 물 extract, 식용발효주정 extract, crude saponin 모두 수지상세포의 활성을 유도하는 물질로써 암항원 특이적 T세포 활성화를 이용한 항암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왕거머리말의 인체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 (Cytotoxic Effect of Zostera asiatica on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 홍주완;정명은;이정임;김호준;장재수;서영완
    • KSBB Journal
    • /
    • 제27권4호
    • /
    • pp.227-231
    • /
    • 2012
  • Whole plants of Zostera asiatica were extracted twice with acetone/methylene chloride (A+M) and methanol (MeOH) in turn. The combined crude extracts were evaporated in vacuo and then the residue was partitioned between water and methylene chloride. The aqueous layer was fractionated into $H_2O$ and n-butanol and then the organic layer was also fractionated into 85% aq. MeOH and n-hexane, successively. The crude extracts and their solvent fractions were evaluated for their inhibitory effect on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AGS, HT-29, MCF-7, and HT-1080 cells by MTT reduction assay. Among samples tested, 85% aq. MeOH and n-hexane fractions showed strong cytotoxic effect against AGS, HT-29, and MCF-7 cells. On the other hand, for HT-1080 cell, 85% aq. MeOH fraction exhibited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

Comparison of the Exopeptidase Activity of Fractions from Crude Extracts of Octopus Octopus vulgaris Cuvier Hepatopancreas Using Different Fractionation Methods

  • Kim, Min Ji;Kim, Hyeon Jeong;Kim, Ki Hyun;Heu, Min Soo;Kim, Jin-S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2호
    • /
    • pp.181-187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optimum fractionation method and conditions to obtain exopeptidase-active fractions from octopus hepatopancreas (HP) crude extracts (CEs) using four techniques: solid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polyethylene glycol (PEG) fractionation,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The fractions with the highest total activity toward L-leucine-p-nitroanilide (Leu-pNA) were fraction IV from the ammonium sulfate and PEG fractionation, and fraction II in ion exchange and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The total exoprotease activity of these fractions was highest in fraction IV (4,050.20 U) of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followed by fraction II (3,600.28 U) from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fraction IV (2,861.30 U) from PEG fractionation, and fraction II (2,576.28 U) from ion exchange chromatograph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using 60-80% ammonium sulfate was the most efficient method for separating the exoprotease active fractions from CEs of octopus HP.

마카(Lepidium meyenii)의 부위별 함유성분 및 항산화 활성 비교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ca)

  • 박성진;김옥란;나영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37-144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epidium meyenii as a natural health food source.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the general and antioxidative contents of Lepidium meyenii were measured. Total contents of carbohydrates,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ash were 56.04%, 33.77%, 1.49%, and 3.7%, respectively(dry wright basis). Total phenol contents of the 70% ethanolic extracts of Lepidium meyenii were 189.9 mg/g, 152.5 mg/g. Total flavonoid contents of the 70% ethanolic extracts were 166.0 mg/g, 78.2 mg/g.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Lepidium meyenii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on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radical scavenging, FRAP(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ctivity, reducing power. The general nutrients and other antioxidant bioactive materials in Lepidium meyenii were also potential materials for good health food.

벼 품종별 왕겨의 화학적 성분 (Chemical Compositions in Rice Hulls of 26 Varieties)

  • 은종방;정영민;이진철;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76-380
    • /
    • 1998
  • The chemical copositions in rice hulls of twenty six varieties which are one of the largest agricultural by-products in Korea were analyzed. The chemical compositions were 8.56~9.70% moisture, 10.01~17.16% ash, 44.02~55.50% crude fiber, 0.26~2.90% crude protein, 9.20~14.50% starch, and 0.28~0.69% lipid.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chemical compositions among twenty six varities. The mineral contents(mg/100g) were 14.3~392.4mg K, 59.4~389.1mg Ca, 31.78~377.8mg Zn, 19.4~104.4mg Na, 12.9~47.6mg Mg, 12.8~37.0mg Si, 8.3~30.5mg Fe, 7.9~26.1mg Al, 7.6~23.5mg Mn, and 6.3~40.3mg P. The contents of IDF (insoluble detergent fiber), SDF(soluble detergent were 70%, 1~2%, 67~73%, 51~60%, 11~17% and 0.3~2%, respectively. The lignin content was higher in Hwa-Young and Mankum than in others. The amounts of ethanol extracts of rice hulls were 1.01~1.52%. In conclusion, the chemical composi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twenty six rice hulls varie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