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de catechin extract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9초

녹차, 오룡차 및 홍차 추출물의 생리활성과 항산화 효과 (Physiologic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een, Oolong and Black Tea Extracts)

  • 강근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3-249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ologic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een, oolong, and black tea extracts. The crude catechin extract yields of green, oolong, and black tea were 4.9%, 3.4%, and 2.5%, respectively. Total phenol contents of green, oolong, and black tea were 40.9%, 43.0%, and 38.5%, respectively. The order of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green, oolong and black tea were green tea>oolong tea>black tea extracts. The SOD-like activities of green, oolong and black tea extracts at 5,000 ppm were 21.2%, 17.5% and 13.9%, respectively. The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green, oolong and black tea extracts were higher than that of ascorbic acid (p<0.05). Antioxidant activities in soybean oil substrates at 500 ppm were in the order of green tea>oolong tea>black tea${\geq}$BHT (200 ppm). Therefor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hysiologic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een tea were better than those of oolong and black tea.

시판 녹차, 홍차, 오룡차의 항산화 및 상승효과 (Antioxidant and Synergist Effect of Extract Isolated from Commercial Green, Oolong and Black Tea)

  • 이호선;손종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7-381
    • /
    • 2002
  • 시판 녹차, 오룡차 및 홍차에서 추출된 조카테킨 조성 및 이들 카테킨의 2성분 항산화시스템, 3성분 항산화 시스템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녹차, 오공차 및 홍차의 조카테킨의 수율은 각각 5.4%,3.5% 및 2.5%이 었다. EGC, EC, EGCg 및 ECg의 4개의 카테킨류가 확인되었으며, EGCg 성분이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녹차, 오룡차 및 홍차의 총 카테킨의 함량은 각각 926.3ug/g, 713.8ug/g 및 318.0ug/g이었다. 녹차, 오룡차 및 홍차 조카테킨 첨가구의 항산화 효과는 오룡차 > 녹차 > 홍차의 순이었다. 녹차, 오룡차 및 홍차 조카테킨(100ppm)에 $\alpha$-tocopherol(50ppm)을 첨가했을 때의 항산화효과는 녹차 > 오룡차 > 홍차 조카테킨 순으로 녹차에서 가장 강한 상승작용을 나타냈다. 녹차, 오룡차 및 홍차 카테킨(100ppm)에 $\alpha$-tocopherol(50ppm) 및 ascorbyl palmitate(50ppm)를 함께 첨가한 경우, 조카테킨(200 ppm)을 단독으로 첨가한 경우보다 항산화 효과가 강하였다.

녹차 물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 of Aqueous Extract Obtained from Green Tea)

  • 이주원;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59-763
    • /
    • 1993
  • 돈지에 대한 녹차 물추출물의 항산화력을 녹차 조카테킨과 대등한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상승제를 선정하고 그 첨가량을 검토하였다. 녹차 조카테킨의 항산화력은 물추출물보다 약 3.3배 강하였다. 녹차 물추출물의 항산화 상승제로는 ${\delta}-tocopherol$과 레시틴이 적당하였으나 이 두 가지의 상승성은 서로 달랐다. 즉, 녹차 물추출물과 혼합된 ${\delta}-tocopherol$은 첨가량 0.05%까지 현저한 상승효과를 보였으나 그 이후는 변화가 없었으며, ${\delta}-tocopherol$의 상승효과는 녹차 물추출물이 0.1% 이상 첨가되면 오히려 감소하였다. 반면에 녹차 물추출물과 레시틴이 혼합된 시료에서는 각각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상승효과가 계속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delta}-tocopherol$과 레시틴의 복합적인 상승효과를 보기 위하여 이들을 녹차 물추출물과 병용한 결과 대단히 높은 항산화 상승효과가 나타났으며, 돈지에 녹차 물추출물 0.1%, ${\delta}-tocopherol$ 0.05% 및 레시틴 1.0%를 첨가한 시료의 항산화력은 무첨가구의 약 8.1배, 녹차 조카테킨 0.1%와 1%를 첨가한 경우보다 각각 1.6배 및 1.2배 강하게 나타났다.

  • PDF

오룡차 및 홍차 추출물의 아질산염 분해작용 (The Nitrite-Scavenging Effects by Component of Oolong and Black Tea Extracts)

  • 안철우;여생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4-110
    • /
    • 1996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functional property of tea extract obtained from tea extracts, semi-fermented tea(oolong tea) and fermented tea(black tea). Tea extracts exhibited remarkable nitrite-scavenging actions, and the action increased with the increased of the amount of tea extracts. The nitrite-scavenging actionof tea extracts showed pH dependent, highest at pH 1.2 and lowest at pH6.0. The nitrite-scavenging rate in tea extracts/amine/nitrite systems proved to be faster than that in amine/nitrite systems. To screen the nitrite-scavenging factors, tea extracts were fractionated into water-soluble, methanol-soluble, methanol-precipitate and crude catechin fraction. Among these fractions of tea extracts, the crude catechin fraction possessed greater nitrite-scavenging action than the other fractions. The nitrite-scavenging action of tea extracts increased with the contents of total phenols and an absorbance at 280nm, nitrite-scavenging factors were supposed to be and catechins in tea polyphenol compounds.

  • PDF

Effect of Proanthocyanidin-rich Extracts from Pinus radiata Bark on Termite Feeding Deterrence

  • Mun, Sung Phil;Nicholas, Darrel D.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6호
    • /
    • pp.720-727
    • /
    • 2017
  • Antioxidants are known to affect the feeding habits of termites and a good source is pine bark which contains high levels of antioxidants which can be extracted with neutral solvents. In this study procyanidins (PCs)-rich MeOH-extract and a hot-water extract (HWE) were prepared from Pinus radiata bark. HWE was further separated into crude PCs (CPCs), polymeric PCs (PPCs), and low-molecular-weight PCs (LMWPCs) fractions. The MeOH extract and these fractions were examined for termite (Reticulitermes flavipes Kollar) antifeedant activities using a no-choice test. Catechin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The LMWPCs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deterrent to termite feeding. The comparative efficiency of the compounds tested were LMWPCs > PPCs > CPCs > MeOH extract, with the latter being more dependent on molecular weight than on its antioxidant activity.

프로폴리스 및 알콜 추출물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s of Propolis and Its Ethanolic Extracts)

  • 정창호;배영일;이호재;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01-505
    • /
    • 2003
  •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프로폴리스 원괴와 그 추출물의 화학성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조지방 86.41%, 가용성 무질소물 7.32%, 조단백질 2.71%, 회분 1.05% 및 조섬유 0.20%로 나타났다. 프로폴리스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무기성분은 Na(120.40 mg%), Ca(115.40 mg%) 및 K(105.87 mg%) 순으로 나타났으며, Ca 함량은 알콜 추출물보다 물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은 총 3종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그 중 sucrose가 152 mg%로 높게 나타났고, glucose 114 mg% 및 fructose 6 mg%로 함유되어 있었다. 프로폴리스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lysine, cystine 및 glutamic acid로 나타났으며, 그 함량은 각각 395.29 mg%, 267.66 mg% 및 248.14 mg%로 나타났다. 지방산은 총 8종이 분리되었으며, 주요 지방산으로는 oleic acid (51.89%), myristic acid (20.86%) 및 palmitic acid (20.28%)로 나타났다. 프로폴리스의 flavonol 화합물을 분석한 결과 myricetin, quercetin, apigenin 및 kaempferol이 주요 flavonol화합물로 나타났으며, 총 flavonoid 함량은 다른 추출물보다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프로폴리스에 함유되어 있는 polyphenol 성분들은 gallic acid, chlorogenic acid, catechin, epigallocatechin gallate, epicatechin 및 epicatechin gallate로 확인되었다.

Isolation of 3-Galloylprocyanidin B3, a Glucosyltransferase Inhibitor from the Korean Green Tea Leaves

  • Cho, Young-Je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4호
    • /
    • pp.273-276
    • /
    • 2000
  • In the course of surveying the anti-plaque agents for dental caries prevention, the extract of Korean green tea leaves (KGTL) was tested for inhibitory activity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adhering to glass surfaces in the presence of crude glucosyltransferase (GTase). The extracts of KGTL showed a positiv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GTase. The active compound was purified through Sephadex LH-20 and MCI gel CHP-20P columns. A positive reaction was shown in the anisaldehyde-$H_2SO_4$ test, which confirmed the condensed tannin. The inhibitory compound was identified as 3-galloylprocyanidin $B_3$ through IR, negative FAB-mass, and $^{1}H$-NMR spectroscopic analyses. Acetone extract and 3- galloylprocyanidin $B_3$ of KGTL showed inhibitory effect against GTase. The percent of inhibition was determinated to be 71.84% (P<0.01) with 10 mM 3-galloylprocyanidin B3. The 3-galloylprocyanidin $B_3$, which possessed a galloyl, showed a higher inhibitory activity against glucosyltransferase than monomeric (+)-catechin and procyanidine $B_3$ which had no galloyl group.

  • PDF

밤의 부위별 성분 분석 (Component Analysis of Different Parts of Chestnut)

  • 김용두;최옥자;김경제;김기만;허창기;조인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6-160
    • /
    • 2005
  • 밤의 일반성분,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구성아미노산, 무기질, catechin 및 total polypenol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밤의 수분 함량은 밤의 외피, 내피, 깐밤, 밤, 밤나무 수피 및 밤나무 잎 중 밤나무 잎이 $63.60\%$로 가장 높았고, 회분 함량은 밤의 각각의 부위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내피가 $1.95\%$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의 부위중 간밤에서 $3.02\%$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고 조지방 함량은 외피에서 $0.68\%$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으며 조회분 함량은 밤나무 내피에서 $1.60\%$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각각의 밤나무 부위중 유리당은 이당류인 maltose와 sucrose가 주종이었으며 fructose과 glucose은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외피와 내피에는 당 종류에 관계없이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밤나무 각각의 부위중 구성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외 16종이 검출되었고 구성아미노산 총량은 전체 $2,619\;mg\%$, 외피 $1,034\;mg\%$, 내피 $1,450\;mg\%$ 및 간밤 $2,994\;mg\%$로 나타났고 부위에 따른 유리 아미노산 총량은 전체 $744.75\;mg\%$, 외피 $211.4\;mg\%$, 내피 $357.6\;mg\%$ 및 깐밤 $593.4\;mg\%$이었으며 주된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proline 등으로 구성아미노산의 이율과 유사하였다. 각각의 밤에 함유된 무기성분은 K>Mg>Ca>Na>Fe>Zn>Cu 순으로 검출되었다. 부위별 total polyphenol 함량은 밤나무 잎, 수피 및 내피에 많은량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깐밤과 외피에서는 미량 검출되었다. catechin 함량은 내피에 epicatechin 이 $0.15\;mg\%$ 함유되어 있었다.

이란산 흑석류 농축액과 그 제품의 성분 및 함유된 Phyto 에스트로겐류에 관한 연구 (Proximate Compositions and Selected Phytoestrogens of Iranian Black Pomegranate Extract and Its Products)

  • 최원균;정교순;조규성;황명오;유영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9-125
    • /
    • 2002
  • 천연 호르몬 보충 제제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이란산 흑석류 과즙 농축액과 이를 이용한 제품의 화학성분들을 분석하였다. 석류 농축액의 일반성분은 수분 39.3%, 조지방 0.4%, 조단백질 0.9%, 조회분 1.4%, 그리고 탄수화물은 42.0%이었다. 아미노산 함량은 글루탐산이 1310.0ppm, 아스파르트산이 896.2ppm, 아르기닌이 877.7ppm, 페닐알라닌이 57.5ppm순으로 무기 성분들은 철분 6640.0ppm, 염소 3464.0ppm, 칼륨 2550.8ppm, 인 150.0ppm, 칼슘 80.0ppm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비타민은 5가지의 수용성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그 중 비타민 C(20mg/100g)를 제외한 나머지 비타민들이 아주 적은 양이 있었다.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8.3%)와 stearic acid(69.4%)로 전체 지방산의 약 60~80%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6종의 Phyto 및 에스트로겐류가 들어 있었으며 각각 daidzein 23.72ppm, quercetin 9,75ppm, catechin 1.48ppm, genistein 0.29ppm, 2,3-di-MeO-estradiol이 0.04ppm, 그리고 17$\beta$-에스트라디올이 0.15ppm이 함유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석류 농축액으로 제조한 제품 포에버 120과 칡과 대두 isoflavon 농축분말과 비교하였다.

In vitro and in vivo antidiarrhoeal activity of epigallocatechin 3-gallate: a major catechin isolated from indian green tea

  • Bandyopadhyay, Durba;Dutta, Pradeep Kumar;Dastidar, Sujata G;Chatterjee, Tapan Kumar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8권2호
    • /
    • pp.171-177
    • /
    • 2008
  • Epigallocatechin 3-gallate (EGCG), one of the major catechins of tea, was isolated from the decaffeinated, crude methanolic extract of Indian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O. Kuntze) using chromatographic techniques. EGCG was then screened for antidiarrhoeal activity against 30 strains (clinical isolates) of V. cholerae, which is a well known Gram negative bacillus functioning as the pathogen of cholera. V. cholerae strains like V. cholerae 69, 71, 83, 214, 978, 1021, 1315, 1347, 1348, 569B and ATCC 14033 were inhibited by EGCG at a concentration of $25\;{\mu}g/ml$ whereas V. cholerae 10, 522, 976 were even more sensitive, being inhibited at $10\;{\mu}g/ml$ level. However, V. cholerae DN 16, DN 26, 30, 42, 56, 58, 113, 117, 564, 593, 972 and ATCC 14035 were inhibited at $50\;{\mu}g/ml$ level of EGCG. Only four strains were inhibited at $100\;{\mu}g/ml$. In this study the isolated compound was found to be bacteriostatic in its mechanism of action. In the in vivo experiment using the rabbit ileal loop model two different dosages of EGCG ($500\;{\mu}g/ml$ and $1,000\;{\mu}g/ml$) were able to protect the animals when they were challenged with V. cholerae 569B in the il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