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wn wall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5초

MARGINAL FITNESS OF PORCELAIN-FUSED-TO-METAL CROWN ACCORDING TO MATERIAL AND TECHNIQUE

  • Jeon, Young-Chan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0-132
    • /
    • 1998
  • This stusy was to investigate the marginal fitness of porcelain-fused-to- metal crown after succesive firing cycle. Main variables were the degree of marginal curvature of labiocervical margin and the type of alloy. The exaggerated marginal curvature(EMC) was created by additional reduction at the faciocervical wall of the normallized marginal curvature (NMC)-typed ivorine tooth by using milling machine. The difference in the shape was the mid facial margin was placed 2mm apical to cemento- enamel junction in labial surface. Three types of alloy were high noble, noble, and base metal alloy. Test specimens were divided into 8 groups and each group had 8 specimens. Sixty four ceramometal crowns were made totally. Measurement stages were following degassing, opaquing. body porcelain firing, and glazing, and measuring sites were 4. (midmesial, midfacial, middistal, and midlingual). Digital, travelling measuring microscope (0.5 um precision, Olympus. Japan) was used under ${\times}250$ magnification.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investigation, it was concluded as belows: 1. The pattern of marginal distortion was varied. Degassing stage was not a specific, causative stage that induce most of total marginal distortion during whole procedure fabricating a ceramometal crown. Body firing stage induced discrepancy relatively more than other firing stages. 2. The specimens that were Ni-based alloy and had EMC were distorted persistently following successive fabricating procedures. But marginal openings were decreased after glazing. 3. The release of metal grinding-induced stress was presumed as a cause that induce marginal distortion. 4. The amount of discrepancies of the labial and lingual margins were greater than that of the mesial and distal margin in the specimen that had EMC. 5. Silver-plated die was not enough to resist abrasion during repeated seating of metal copings on the die-holding device.

  • PDF

Gap comparison between single crown and three-unit bridge zirconia substructures

  • Anunmana, Chuchai;Charoenchitt, Masnisa;Asvanund, Chanavut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6권4호
    • /
    • pp.253-258
    • /
    • 2014
  • PURPOSE. To compare marginal and internal gaps of zirconia substructure of single crowns with those of three-unit fixed dental prostheses. MATERIALS AND METHODS. Standardized Co-Cr alloy simulated second premolar and second molar abutments were fabricated and subsequently duplicated into type-III dental stone for working casts. After that, all zirconia substructures were made using $Lava^{TM}$ system. Marginal and internal gaps were measured in 2 planes (mesial-distal plane and buccal-palatal plane) at 5 locations: marginal opening (MO), chamfer area (CA), axial wall (AW), cusp tip (CT) and mid-occlusal (OA) using Replica techniqu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aps at all locations. The $mean{\pm}SD$ of marginal gap in premolar was $43.6{\pm}0.4{\mu}m$ and $46.5{\pm}0.5{\mu}m$ for single crown and 3-unit bridge substructure respectively. For molar substructure the $mean{\pm}SD$ of marginal gap was $48.5{\pm}0.4{\mu}m$ and $52.6{\pm}0.4{\mu}m$ for single crown and 3-unit bridge respectively. The largest gaps were found at the occlusal area, which was $150.5{\pm}0.5{\mu}m$ and $154.5{\pm}0.4{\mu}m$ for single and 3-unit bridge premolar substructures respectively and $146.5{\pm}0.4{\mu}m$ and $211.5{\pm}0.4{\mu}m$ for single and 3-unit bridge molar substructure respectively. CONCLUSION. Independent-samples t-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f gap in zirconia substructure between single crowns and three-unit bridge (P<.001). Therefore, the span length has the effect on the fit of zirconia substructure that is fabricated using CAD/CAM technique especially at the occlusal area.

Designing an innovative support system in loess tunnel

  • Wang, Zhichao;Xie, Yuan;Lai, Jinxing;Xie, Yongli;Su, Xulin;Shi, Yufeng;Guo, Chunxia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4권3호
    • /
    • pp.253-266
    • /
    • 2021
  • The sufficient early strength of primary support is crucial for stabilizing the surroundings, especially for the tunnels constructed in soil. This paper introduces the Steel-Concrete Composite Support System (SCCS), a new support with high bearing capacity and flexible, rapid construction. The bearing characteristics and construction performance of SCCS were systematically studied using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 A sensitivity analysis was also performed. It was found that the stress of a π-shaped steel arch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wall, and increased linearly with an increase in the rate of stress releas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arch section, the nodal stresses of the crown and the shoulder gradually increased in longitudinally,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nodal stresses gradually decreased from top to bottom. The stress distribution at the waist, however, was opposite to that at the crown and the shoulder. By analyzing the stress of the arch section under different installation gaps, the sectional stress evolution was found to have a step-growth trend at the crown and shoulder. The stress evolution at the waist is more likely to have a two-stage growth trend: a slow growth stage and a fast growth stage. The maximum tensile and compressive stresses of the secondary lining supported by SCCS were reduced on average by 38.0% and 49.0%,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support. The findings can provide a reference for the supporting technology in tunnels driven in loess.

김포시 보호수의 생육실태와 관리방안 연구 (A Study on Growth Condition and Management of Protected Trees in Kimpo)

  • 두철언;이종범;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5-134
    • /
    • 2012
  • 본 연구는 보호수 입지지반별로 각 개체의 생육실태를 분석하여 수세종합판단을 하였고 이 결과와 수관면적 내 지장물 면적비율을 교차분석하여 보호수 수세에 미치는 영향인 인위적 지장물에 대한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지는 김포시 보호수 대장에 등재된 68개소를 대상으로 생육실태분석은 자연성, 수목활력도, 수세종합판단을 실시하였으며, 수관면적은 가지가 뻗고 있는 동서남북 방향을 중심으로 실측하여 면적을 산출하였고, 수관면적 내 지장물은 인공지장물인 포장(아스콘, 콘크리트, 블록 등), 건물, 옹벽과 자연지장물인 토사(복토), 석축, 자갈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자연성 분석에 있어 보호수가 위치한 입지지반은 인공과 인공+준 자연지반이 전체의 72.05%로 나타났으며, 수관면적은 심우경과 신세균(1992)이 보호수 생육에 필요한 수관면적을 제시한 것에 비해 대부분 부족한 것이 많았으며, 수관면적 내 지장물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은 김포시 보호수 주변이 도시화 되어감에 따라 높아지고, 수형변형과 수세쇠약으로 이어지고 있어 보호수의 생육 공간 확보와 지장물관리가 절실히 필요한 상태로 분석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수관면적에 지장물이 차지하는 면적이 20% 이하인 것이 수세판단 1-2등급, 21-50% 이하는 2-3등급, 50% 이상은 3-5등급으로 나타났다. 지장물이 많이 차지할수록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어, 보호수의 근계관리에 있어서 그 면적비율이 20% 이하를 유지하도록 관리하여야 함을 입증하였다. 보호수 수세에 미치는 영향인 인위적 지장물의 관리방안에 대한 기준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수관면적 내 지장물은 20% 이하로 제한하되 수관면적 밖이 인공지장물이 아닌 경우에는 지장물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을 다소 상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보호수 생육 공간 확보를 수관면적만큼 유지 확보하고, 지장물은 수관면적 밖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셋째, 보호수 이식에 있어 생육 공간 확보 시 입지지반 여건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넷째, 택지개발 시 보호수 주변을 공원으로 활용하고, 수관면적 내 지장물의 설치 면적은 제한하여야 한다. 다섯째, 선행연구들에서 많이 제시된 노거수, 보호수 주변의 생육환경 개선을 위해, 토지소유자의 세제해택과 보호수 주변 토지매입 등이 필요하며, 보다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지자체의 예산 확보와 전문가의 조언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보호수 주변의 지장물 종류별, 두께 등이 수목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후속 연구는 계속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조대술을 이용한 함치성 낭종의 치험례 (A CASE REPORT OF A DENTIGEROUS CYST TREATED BY MARSUPIALIZATION)

  • 전은민;김태완;김현정;남순현;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73-480
    • /
    • 2007
  • 함치성 낭종은 치관이 형성된 후 성상세망(stellate reticulum)의 변성으로 인하여 치관과 환원법랑질상피 사이에 유동물질이 축적되어 나타난다. 연령별로는 10대 또는 20대에서 발생율이 높고 거의 미맹출 치관과 관련되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무증상이지만 낭이 크거나 염증이 동반된 경우 종창과 통증을 유발한다. 함치성 낭종은 방사선 검사 시 미맹출 치아의 치관을 둘러싸는 경계가 명확한 단방성의 방사선 투과성 병소로 나타나며, 인접치의 변위나 치근흡수가 관찰되기도 한다. 함치성 낭종의 치료 목적은 비정상조직을 완전히 제거하되 낭종내 전위된 치아를 가급적 보존하여 맹출을 유도하고 악궁 내에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제거술식으로는 적출술과 조대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조대술은 낭벽의 일부분을 제거하여 구강점막과 연결시켜 주는 술식으로 낭내의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결손부 골 재생이 일어나며 낭벽은 정상적인 점막으로 변하게 된다. 특히 이는 인접 주요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고, 맹출 공간이 충분하다면 낭에 포함된 영구치의 맹출을 유도할 수 있는 가장 보존적인 치료이다. 본 증례들에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소견상 함치성 낭종으로 판단하고 조대술을 이용하여 낭종을 제거하였으며 전이된 치아를 보존하고 자연맹출을 유도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측벽부 숏크리트 보강에 의한 재래식 도로터널 단면확대 (Reinforcement of Shotcrete Lining on the Side Wall of Tunnel in Enlargement of Existing ASSM Road Tunnel)

  • 김동규;신영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2호
    • /
    • pp.81-89
    • /
    • 2012
  • 도심지 내에서 교통량 증가로 인하여 차선확대가 요구되는 경우, 기존 터널은 증가된 차선만큼 단면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터널 단면확대 공사로 발생되는 터널주변의 교통정체를 해소하기 위하여 터널 내에 직사각형 단면의 프로텍터를 설치하여 프로텍터 내부로 교통흐름을 유지하기도 한다. 프로텍터를 사용하면 터널 측벽 하부에서 프로텍터와 굴착 면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록볼트 시공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 측벽 하부의 협소한 공간에서 록볼트를 시공하지 않고 숏크리트 두께를 증가시켜 터널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 2차선 재래식 터널을 3차선 및 4차선 NATM터널로 확대 시공할 경우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터널 측벽 하부에 록볼트를 시공한 경우, 록볼트를 시공하지 않은 경우 및 록볼트를 시공하지 않고 숏크리트 두께만 증가시킨 경우에 대하여 터널의 천단변위, 내공변위 및 숏크리트에 발생한 응력을 비교분석하였다. 천단변위 및 상반 내공변위는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하반 내공변위는 터널 측벽 하부에 록볼트를 시공하지 않은 경우가 록볼트를 시공한 경우보다 최대 1.3mm 크게 발생하였다. 또한 숏크리트에 발생한 휨압축응력은 터널 측벽 하부에 록볼트를 시공하지 않은 경우가 록볼트를 시공한 경우보다 최대 1.3MPa 크게 발생하였다. 록볼트 미시공에 의해 추가 발생된 숏트리트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기존 숏트리크 두께의 20%(250mm ${\rightarrow}$ 300mm, 4차선 터널)및 25%(200mm ${\rightarrow}$ 250mm, 3차선 터널)를 추가 시공하면 록볼트를 시공할 경우와 비슷한 응력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운영중인 도로터널의 측벽하부 숏크리트 보강에 의한 단면확대 (Section enlargement by reinforcement of shotcrete lining on the side wall of operating road tunnel)

  • 김동규;신영완;신용석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637-652
    • /
    • 2012
  • 도심지내 기존터널을 단면확대 시공하는 경우, 터널내 교통흐름을 유지하기 위하여 '${\sqcap}$'형태의 프로텍터를 설치한다. 터널내 프로텍터를 설치하면 터널 측벽하부에서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록볼트 시공이 불가능해 질 수가 있다. 본 연구는 터널의 측벽하부에서 록볼트를 시공하지 않고 숏크리트만으로 보강하여 터널단면을 확대된 할 경우, 터널구조물의 안정성과 보강되는 최적의 숏크리트 두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3차선 NATM 도로터널을 4차선 NATM 도로터널로 확대 시공하는 경우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결과, 4차선 NATM 도로터널의 측벽하부에서 록볼트를 시공하지 않은 경우의 천단변위와 상반 내공변위는 록볼트를 시공한 경우와 거의 유사하였다. 다만, 하반 내공변위 및 숏크리트 응력은 록볼트를 시공하지 않은 경우가 록볼트를 시공한 경우보다 최대 0.57 mm 및 최대 1,300 kN/$m^2$ 크게 나타났다. 터널 측벽하부에서 록볼트를 시공하지 않아 추가 발생한 하반 내공변위와 숏트리트 응력은 25 cm인 기본 숏크리트 두께의 20%(25 cm${\rightarrow}$30 cm)만 증가시켜도 저감시킬 수 있다.

直接噴射式 디이젤機關의 燃燒室形狀과 火焰의 發達 (The effect of air and spray turbulence in a D.I. diesel engine on the flame progress)

  • 방중철;태전간랑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44-52
    • /
    • 1987
  • 본 논문에서는 앞서의 연구들에서 얻은 연구성과를 실제의 디이젤기관에 적용 시켜 화염의 발달상태와 기관속도의 상승 등을 고찰하여, 그 유효성을 평가했다. 또 고온공기류덕트에서는 실험하기가 곤란했던, 분무자체에 족회운동을 일으킨 경우의 연 소과정에 대해서도 피스톤요부의 벽면에 충돌하는 분무의 각도를 변화시켜, 고속도 화 염사진으로 부터 검토했다.

동절기 피해의 이해와 겨울철 골프장 관리: 리뷰 (Winterkill and Strategy of Golf Course Management: A Review)

  • 이상국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3-137
    • /
    • 2011
  • 동절기 피해는 겨울철에 나타나는 피해의 형태로 유형에 따라 저온피해, 건조피해, 관부수화, 그리고 동절기 병 발생등이 있다. 저온피해는 대기온도와 토양온도에 의해 그 피해가 발생하는데 토양온도가 관부의 생육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피해의 정도가 더 심하게 발생한다. 관부수화는 세포내결빙에 의해 발생하는 피해로 세포막을 파괴하며 결과적으로 세포내 조직을 탈수시키게 된다. 저온건조는 동절기 기간동안 식물체의 잎 혹은 식물전체에 건조로 인한 피해가 나타나 고사에 이르게 되는 피해를 말한다. 동절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가을철 인산과 칼륨의 시비가 동절기 피해에 대한 내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피복재의 사용이 동절기 피해를 최소화 하는 기능을 하는데 그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겨울철 잔디위에 쌓인 눈도 대기온도로부터 토양온도를 유지하는 피복재 역할을 하게 된다. 동절기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한 방법으로 통기와 배토의 방법이 있다. 통기와 배토는 모두 주로 대취층의 두께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이 되고 또한 겨울철 배토를 위해 사용되는 검은색 모래는 토양에 잔존해 있는 얼음을 녹이고 토양온도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피복재와 같이 동절기 피해를 최소화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금전장관 수복물을 통한 치수강 개방이 금전장관 수복물의 미세변연누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ENDODONTIC ACCESS CAVITY ON THE MARGINAL LEAKAGE OF CROWNS)

  • 김의성;정진호;김용근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4호
    • /
    • pp.389-393
    • /
    • 2002
  • The marginal integrity of the crown can be broken during endodontic access cavity preparation due to the vibration of bu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endodontic access cavity preparation on the marginal leakage of full veneer gold crowns. 24 intact molars were mounted in acrylic resin blocks and prepared for crowns by a restorative dentist and crowns were cast with gold alloy. 20 Crowns were cemented with glass ionomer cement and 2 crowns were not cemented for positive control. 200 thermo-cycles from 5$^{\circ}C$ to 5$0^{\circ}C$ with a travel time of 20s were completed. Then sampl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2 experimental groups of 9 each. Endodontic access preparation and zinc-oxide eugenol temporary fillings were done in Group 1. Teeth in Group 2 were not treated. Samples were coated with 2 layers of nail varnish and were immersed in 1% methylene blue dye for 20 hrs. Endodontic access was prepared in 2 samples, which were coated with nail varnish on all surfaces for negative control. After washing in running water gold crowns were cut with a #330 bur. Four buccolingual sections, 2 mm apart, were cut from the central section of each tooth and were examined and scored under the microscope for dye leakage. Score 1: leakage to the cervical 1/3 of the axial wall, Score 2: leakage to the middle 1/3 of the axial wall, Score 3: leakage to the coronal 1/3 of the axial wall, Score 4: leakage to the occlusal surface. The median value for Group 1 is 4 and for Group 2 is 2.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samples in Group 1 leaked more than those in Group 2. This finding was significant(P<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