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ps association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25초

Effect of Agricultural Countermeasures on Ingestion Dose Following a Nuclear Accident

  • Keum, Dong-Kwon;Jeong, Hyojoon;Jun, In;Lim, Kwang-Muk;Choi, Yong-Ho;Lee, So-Hyeon;Jung, Tae-Jong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8-14
    • /
    • 2019
  • Background: Management of an agricultural food product system following a nuclear accident is indispensable for reducing radiation exposure due to ingestion of contaminated food.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agricultural countermeasures on ingestion dose following a nuclear accident. Materials and Methods: Agricultural countermeasures suitable for domestic farming environments were selected by referring to the countermeasures applied after the Fukushima accident in Japan. The avertable ingestion doses that could be obtained by implementing the selected countermeasures were calculated using the Korean Agricultural Countermeasure Analysis Program (K-ACAP)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each countermeasur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e selected countermeasures, the management of crops was effective when radionuclide deposition occurred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plants. Treatment by soil additive and topsoil removal was effective when deposition occurred during the nongrowing season of plants. The disposal of milk was not effective owing to the small contribution of milk to the overall ingestion dose. Clean feeding of livestock was effective when deposition occurred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fodder plants such as pasture and rice-straw. Finally, the effect of food restriction increased with the soil deposition density of radionuclide. The practical effect of countermeasures was very small when the avertable ingestion dose was absolutely low. Conclusion: The agricultural countermeasures selected to reduce the radionuclide ingestion dose after a nuclear accident must be made appropriate by considering the accident situation, such as the soil deposition density of the radionuclide and the deposition date in relation to farming cycles.

Genetic Variation of Flower Production in Breeding Seedling Seed Orchards of Quercus acuta and Q. glauca

  • Jeon, Koeun;Ro, Hee Seung;Kim, Ye-Ji;Gu, Da-Eun;Park, Ji-Min;Ryu, Sungryul;Kang, Kyu-Suk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2호
    • /
    • pp.102-109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fertility variation among families and to select superior families for acorn production in the breeding seedling seed orchards (BSSOs) of Quercus acuta and Quercus glauca. The seed orchards were located in Jeju island and established by seedlings raised from selected parents for genetic testing in 2006. In the spring of 2021, the numbers of female and male flower were counted from 5 to 10 individuals per family in the BSSOs. To 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of which parameter is not satisfied through the normality test, we used a nonparametr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qua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female and male flower production. As the results,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flower production among families was found in both seed orchards. The averages of female flower production were 65.3 and 181.9 in Q. acuta and Q. glauca. The positive Spearman's rank correlation was existed between male and female flower production. Broad-sense heritability on female and male flower production were 0.191 and 0.147 in Q. acuta, and 0.285 and 0.068 in Q. glauca, respectively. Sexual asymmetry (e.g., maleness index) between female and male, and contribution variation among families (e.g., parental balance) were analyzed to find reasonable alternatives in the management of seed orchards. Effective population size of seed crops was predicted as a concept of status number. Loss of gene diversity (accumulation of group coancestry) would not be alarming in the BSSOs. Our results would be helpful to select breeding materials for establishing new seed orchards and to supply genetically improved seeds of evergreen oaks, which is one of the backbones of the strategy of carbon sink in the 2050 Carbon Neutrality of Korea Forest Service.

벼 유전자원의 저온 발아성에 대한 표현형 및 유전형 특성 평가 (Phenotypic and Genotypic Evaluation of Rice Germplasm for Low Temperature Germinability)

  • 현도윤;최유미;이수경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4권3호
    • /
    • pp.25-31
    • /
    • 2022
  • Low-temperature germinability (LTG) is an important trait for the direct seeding of rice in temperate and high altitudes regions. Water temperature of rice fields at sowing season is frequently under 15℃ in Korea, resulting in poor seedlings establish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evaluate 600 rice germplasm composed of six rice subpopulations. In the phenotypic evaluation, aus (AUS) showed the highest visual rating (VR) and germination rate (GR) of 5 and 83.1%, respectively, than other subpopulations. The lowest value of VR (7.1) and GR (53.1%) was observed in aromatic (ARO) subpopulation. Association of the phenotype for LTG with the genotype for qLTG3-1, a major QTL for LTG, and other three SNP markers (LTG_8, qLTG4b-1, qLTG2-6) was conducted.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llele distribution of two markers, qLTG3-1 and qLTG2-6, affects the difference in VR and GR between subpopulations. qLTG4b-1 and LTG_8 were also highly significant with LTG in all subpopulations except that qLTG4b-1 did now show significance in AUS. Therefore, the combination use of these four markers might be effective for evaluation of LTG in rice germplasm.

Bacillus sp. JJ2-01과 마늘 오일 혼합처리에 의한 고추 흰비단병 억제 효과 (Combined Application of Bacillus sp. JJ2-01 and Garlic Oil for Controlling Sclerotium rolfsii in Pepper Plants)

  • 문혜정;주호종;안성호;송재경;상미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09-42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흰비단병에 대한 길항 미생물과 유기농업자재를 선발하여 혼합 처리 시 방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토양에서 분리한 39균주 중 균사 생장 억제력이 가장 높은 JJ2-01 균주를 길항 미생물로 선발하였다. 또한, 유기농업자재의 흰비단병 발병도를 확인하여 병 억제 효과가 있는 유기농업자재로 마늘 오일을 선발하였다. 선발 미생물과 마늘 오일을 혼합하거나 마늘 오일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병 억제 효과는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마늘 오일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토양의 acid phosphatase의 활성이 감소하였다. 반면, 마늘 오일과 선발 미생물 JJ2-01 균주를 혼합 처리하였을 때 urease 활성이 증가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선발 미생물 JJ2-01 균주와 마늘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고추 흰비단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토양의 질과 건전성을 유지 또는 향상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Studies on the Construction of Mutant Diversity Pool (MDP) lines, and their Genomic Characterization in Soybean

  • Dong-Gun Kim;Sang Hoon Kim;Chang-Hyu Bae;Soon-Jae Kwo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9
    • /
    • 2021
  • Mutation breeding is useful for improving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various crops.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soybean Mutant Diversity Pool (MDP) from 1,695 gamma-irradiated mutants through two selection phases over M1 to M12 generations; we selected 523 mutant lines exhibiting at least 30% superior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econd, we eliminated redundant morphological phenotypes in the M12 generation. Finally, we constructed 208 MDP lines and investigated 11 agronomic traits. We then assessed the genetic diversity and inter-relationships of these MDP lines using target region amplification polymorphism (TRAP) markers. Among the different TRAP primer combinations, polymorphism levels and PIC values averaged 59.71% and 0.15, respectively. Dendrogram and population structure analyses divided the MDP lines into four major group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AMOVA, the percentage of inter-population variation among mutants was 11.320 (20.6%), whereas mutant inter-population variation ranged from 0.231 (0.4%) to 14.324 (26.1%). Overall, the genetic similarity of each cultivar and its mutants were higher than within other mutant populations. In an analysis of the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using based on the genotyping-by-sequencing (GBS), we detected 66 SNPs located on 13 different chromosomes were found to be highly associated with four agronomic traits: days of flowering (33 SNPs), flower color (16 SNPs), node number (6 SNPs), and seed coat color (11 SN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ose previously reported for other genetic resource populations, including natural accessions and recombinant inbred line. Our observations suggest that genomic changes in mutant individuals induced by gamma rays occurred at the same loci as those of natural soybean population.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the integration of GBS and GWAS can serve as a powerful complementary approach to gamma-ray mutation for the dissection of complex traits in soybean.

  • PDF

In vitro gas and methane production of some common feedstuffs used for dairy rations in Vietnam and Thailand

  • N. T. D., Huyen;J. Th. Schonewille;W. F. Pellikaan;N. X. Trach;W. H. Hendriks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3호
    • /
    • pp.481-491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determine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ommonly used feedstuffs, especially tropical roughages, for dairy cattle in Southeast Asia. This information is considered relevant in the context of the observed low milk fat content and milk production in Southeast Asia countries. Methods: A total of 29 feedstuffs commonly used for dairy cattle in Vietnam and Thailand were chemically analysed and subjected to an in vitro gas production (GP) test. For 72 h, GP was continuously recorded with fully automated equipment and methane (CH4) was measured at 0, 3, 6, 9, 12, 24, 30, 36, 48, 60, and 72 h of incubation. A triphasic, nonlinear, regression procedure was applied to analyse GP profiles while a monophasic model was used to obtain kinetics related to CH4 production. Results: King grass and VA06 showed a high asymptotic GP related to the soluble- and non-soluble fractions (i.e. A1 and A2, respectively) and had the highest acetate to propionate ratio in the incubation fluid. The proportion of CH4 produced (% of GP at 72 h) was found to be not different (p>0.05) between the various grasses. Among the selected preserved roughages (n = 6) and whole crops (n = 4), sorghum was found to produce the greatest amount of gas in combination with a relatively low CH4 production. Conclusion: Grasses belonging to the genus Pennisetum, and whole crop sorghum can be considered as suitable ingredients to formulate dairy rations to enhance milk fat content in Vietnam/Thailand.

대도시내 영농조건 불리지역의 농업경영 특성 - 대구광역시 본리마을을 사례로 -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ricultural Management in the Less Favored Metropolitan Areas - A Case study of Bonli, Taegu-)

  • 우종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7-52
    • /
    • 2000
  • 대도시내의 농업경영이 시장접근성의 측면에서 볼 때 유리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농업은 필연적으로 생물학적 과정에 의존하는 산업이므로 농업경영에서 자연적 조건은 여전히 중요하다. 사례연구를 통해 대도시내 영농조건이 불리한 지역의 농업경영 특성을 고찰한 본 연구에서 경제적 측면의 농업경영과 관련해서는 토지의 자연적 제약이 중요한 요인이지만 주민의 생활측면에서는 기반시설의 부족이 더 큰 제약 요인으로 작용됨을 확인하였다. 농업노동력은 양적으로 부족하고 질적으로 낮은 수준이며, 부족한 농업노동력을 보완하는 위탁영농은 결과적으로 개별농가의 영농수익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경영규모와 형태는 경영주의 연령에 의해 크게 영향 받으며, 토지이용은 자연적 조건에 따라 결정되는데 특히 일사량 및 수리시설과의 접근성이 중요하게 작용된다. 기반시설의 부족에 따른 생활상의 불편함과 열악한 영농조건 및 낮은 영농수익성에도 불구하고 자급적 생계유지 목적의 영농과 촌락공동체는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불리한 자연적 조건은 영농의 상업화를 제약하여 영농목적의 이주를 제한하고 농가경제의 영세성과 악순환을 되풀이한다 그러므로 정책적인 지원과 재배작물의 보급이 없는 한 자연적 조건이 불리한 농업지역은 대도시내에 위치하더라도 한계가 있다.

  • PDF

영국의 농업정책이 지리적 전문화에 미친 영향 연구 (Agricultural Policies and Geographical Specialization of Farming in England)

  • 김기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01-120
    • /
    • 1999
  • 본 연구는 농업의 산업화 과정에서 국가의 농업정책이 지역적 전문화(specialization)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영국을 사례로 하여 분석한 논문이다. 1950년대 이후 영국은 영농규모의 집중화(concentration), 보장 가격의 설시, 조건불리지역 사업을 통해 농업의 산업화를 촉진하는 정책을 실시하였으며 이로 인해 농업의 지역적인 전문화가 발생하였다. 작물의 전문화는 밀과 보리 및 종유(oilseed)를 중심으로 나타났다. 밀의 경우 EU 가입이후 상대적으로 부족하면서 공동농업정정책(Common Agricultural Policy)에서 높은 보장가격을 지지받음에 따라 동부 잉글랜드 지방의 토양이 비옥한 지역을 중심으로 전문화가 이루어졌다. 보리의 경우 사료작물로 재배되면서 가축사육지원정책의 영향을 받아 가축사육의 전문화가 이루어진 지역에서 집중 재배되었다. 종유의 지역적 전문화는 식품가공업이 발달과 함께 품종 개발, 가공 및 저장기술의 발달로 남부지역에서 북부지역으로 확산되었다. 가축 사육은 작물 재배보다 전문화가 뚜렷하였다. 특히 1970년대부터 실시된 조건불리지역 사업은 영농조건이 불리한 영국 서부 구릉지 지역에 전문화를 유발시키면서 환경보전론자들의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또한 1980년대 중반이후 우유생산량을 줄이기 위한 쿼터제도에서 농민들간에 쿼터량을 거래할 수 있게 함으로서, 동부지역의 농민이 서부지역에 이를 양도함으로서 전문화는 더욱 촉진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농업정책이 현시적으로 혹은 암묵적으로 공간적인 측면을 지니게 되어 농업의 지역적 분화를 유발함을 의미한다.

  • PDF

밭에서 음식물류폐기물 활용 퇴비의 연용이 토양 및 작물에 미치는 영향 (The continuous application effect of the food waste composts on the cultivated upland soils and plants)

  • 권순익;소규호;홍승길;김건엽;성기석;박우균;김권래;이덕배;정광용
    • 유기물자원화
    • /
    • 제17권3호
    • /
    • pp.71-81
    • /
    • 2009
  • 음식물류폐기물의 재활용은 환경오염 예방과 자원 순환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음식물류폐기물을 활용한 퇴비의 안전한 농업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음식물류폐기물의 농업적 활용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음식물류폐기물 활용 퇴비의 장기간 연용이 작물 생육과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재료는 질소, 인산, 칼리의 함량이 각각 $24g\;kg^{-1}$, $8g\;kg^{-1}$, $10.4g\;kg^{-1}$인 돈분퇴비와 질소, 인산, 칼리의 함량이 각각 $20g\;kg^{-1}$, $20.1g\;kg^{-1}$, $6.5g\;kg^{-1}$인 음식물류폐기물 활용 퇴비로써 $2{\times}2{\times}2m$ 크기의 라이시미터에 화학비료의 질소 시용량과 동일하게 시용한 후 상추, 배추, 고추 및 감자를 연속하여 재배 실험하였다. 음식물류폐기물 활용 퇴비를 시용한 시험구의 작물 생육은 무비구 보다는 양호하였으나 화학 비료구와 비교했을 때 작물에 따라 반응이 달랐다. 음식물류폐기물을 활용한 퇴비의 연속적인 시용은 토양의 이화학성에 대해서는 유기물, 질소 및 인산의 함량을 증가시켰고, 토양 물리성에 대해서는 통기성을 증가시켰다.

경북지역에서 액상우분뇨 시용과 콩과작물의 혼파가 동계사료작물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ying Cattle Slurry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on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Organic Stock Carrying Capacity of Winter Forage Crops in Gyeongbuk Regions)

  • 황보순;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51-465
    • /
    • 2013
  • 본 실험에서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월동작물로 재배되는 보리, 호밀, 밀과 트리트레일에 화학비료, 유기질비료 및 가축분뇨의 시용 그리고 콩과작물의 혼파재배가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함으로써 토양의 지력향상과 함께 양질의 유기 조사료 확보하여 단위면적당 유기가축사육 능력을 추정하고자 무비구, 화학비료 PK시비구, 화학비료 NPK시비구, 유기질비료 시용구, 우분뇨 시용구, 우분뇨 시용에 헤어리베치 혼파구 및 우분뇨 시용에 forage pea 혼파구 등 7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청보리의 연간 건물과 가소화양분총량(TDN) 수량은 화학비료 NPK 시비구가 가장 높았으나(p<0.05), 유기질 비료구, 우분뇨 및 콩과작물 혼파구와 유의적 차이는 나지 않았다. 청보리의 TDN은 우분뇨 시용에 forage pea 혼파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청보리를 급여시 한우 암소는 유기질비료, 우분뇨 혹은 우분뇨 시용에 forage pea 혼파구가 연간 ha당 평균 2.8~3.1두를 사육할 수 있다. 호밀의 연간 건물수량은 화학비료 NPK구가 가장 높았으나, 우분뇨구와 유의적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TDN과 RFV는 유기질비료구가 화학비료 NPK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유기질비료, 우분뇨 혹은 우분뇨 시용에 콩과를 혼파한 호밀을 급여할 경우 한우 암소는 연간 ha 당 사육두수는 평균 2.8~3.2두 규모의 가축 사육능력이 추정된다. 밀의 연간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유기질비료, 우분뇨 혹은 우분뇨 시용에 두과작물을 혼파한 구가 ha 당 각각 6.9~7.44, 0.53~0.60 및 4.35~5.04 톤으로 나타나, 밀을 급여할 경우 암소는 연간 ha 당 평균 3.1~3.7두 규모의 사육능력이 추정된다. 트리트케일의 TDN 수량은 화학비료 NPK구, 유기질비료구, 우분뇨구 및 콩과혼파구가 무비구와 화학비료 PK구 보다는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조단백질 함량은 forage pea 혼파구가 가장 높았다(p<0.05). 트리트케일을 급여할 경우 유기한우 암소는 연간 ha 당 평균 3.4~3.7두 규모의 사육능력이 추정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건물생산성만을 고려해서 화학비료와 동계사료작물을 단파로 재배하는 것보다 가축의 기호성과 품질의 개선까지 고려하여 액상우분뇨 50% 시용과 함께 콩과작물인 헤어리베치와 forage pea 등을 혼파 하는 것이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이며 유기 가축사육 시에는 단백질공급원으로 이용되는 수입 곡류 등을 대체하는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