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pping pattern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3초

SVD 및 트리플릿 기반의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 (Digital Watermarking Scheme based on SVD and Triplet)

  • 박병수;추형석;안종구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8권5호
    • /
    • pp.1041-1046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robust watermark scheme for image based on SVD(Singular Value Transform) and Triplet. First, the original image is decomposed by using 3-level DWT, and then used the singular values changed for embedding and extracting of the watermark sequence in LL3 band. Since the matrix of singular values is not easily altered with various signal processing noises, the embedded watermark sequence has the ability to withstand various signal processing noise attacks. Nevertheless, this method does not guarantee geometric transformation(such as rotation, cropping, etc.) because the geometric transformation changes the matrix size. In this case, the watermark sequence cannot be extracted. To compensate for the above weaknesses, a method which uses the triplet for embedding a barcode image watermark in the middle of frequency band is proposed. In order to generate the barcode image watermark, the pattern of the watermark sequence embedded in a LL3 band is used.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watermark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from attacked images.

수도(水稻) 이품종(異品種)의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잡초(雜草) 경합구조(競合構造) 해석(解析) (Differential Weed Competition of Two Rice Cultivars under Various Cropping Patterns)

  • 구자옥;권삼열;허상만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7-68
    • /
    • 1983
  • 다양(多樣)한 재배양식하(栽培樣式下)에서 수도(水稻) 두 품종(品種)의 잡초경합진전양상(雜草競合進展樣相)을 구조적(構造的)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전보(前報)와 동일(同一)한 처리하(處理下)에서 무잡초구(無雜草區)와 무제초구(無除草區)로 나누어 관리(管理)하였다. 초장(草長) 분벽(分蘗) 및 발생본수(發生本數) 생체중(生體重)을 경시적(經時的)으로 조사하고, I.V, C-Value, 생장비(生長比), 수직(垂直) 및 수평분포상(水平分布上)의 경합진전(競合進展), 순생산량(純生産量) 등(等)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이앙(移秧) 6 주후(週後)까지는 관행(慣行) 및 만기이앙구(晩期移秧區)에서 경지면적당(耕地面積當)의 순생산량(純生産量)이 높았고 (수도이앙묘(水稻移秧苗)), 9 주후(週後)에는 사도미노리의 직파구(直播區)와 조기이앙구(早期移秧區)에서 높았다 (잡초군(雜草群)의 생장속도(生長速度)). 2. 관행이앙구(慣行移秧區)는 생육초기(生育初期)부터, 기계(機械) 및 조기이앙구(早期移秧區)는 이앙(移秧) 후(後) 9 ~ 12주(週)부터 작물잡초간(作物雜草間)에 등생장(等生長)을 하고 밀양(密陽) 23호(號)의 조기이앙구(早期移秧區)는 잡초(雜草)의 우생장(優生長)을, 그리고 사도미노리의 기계이앙(機械移秧)은 작물(作物)의 우생장(優生長)을 나타내었다. 3. 수직분포상(垂直分布上)의 경합(競合)은 직파(直播)에서 화본과(禾本科) 및 사초과 잡초군(雜草郡)이 작물(作物)에 우위(優位)였고, 기계(機械) 및 조기이앙(早期移秧)에서는 작물(作物)-잡초(雜草)가 등생장(等生長)을, 그리고 관행(慣行) 및 만기이앙(晩期移秧)에서는 작물(作物)이 잡초(雜草)에 우생장(優生長)하는 경향이었다. 4. 수평분포상(水平分布上)의 경합(競合)은 만기이앙(晩期移秧) 및 직파(直播)에서는 작물(作物)이 우생장(優生長)을, 그리고 조기(早期) 관행이앙구(慣行移秧區)에서는 이앙(移秧) 후(後) 9 주경(週頃)부터 사초과잡초군(雜草群)의 발생본수(發生本數) 증가에 따른 작물(作物)의 열생장(劣生長)이 인정되었다 5. 직파(直播)에서는 잡초(雜草)가, 만기(晩期)에서는 작물(作物)이 높은 군락비(群落比)를 나타내었으며, 밀양(密陽) 23 호(號)의 기계이앙(機械移秧)에서는 서서히 잡초군락비(雜草群落比)가 증가하나 사도미노리의 경우 및 관행(慣行) 조기(早期) 만기이앙구(晩期移秧區)에서는 이앙(移秧) 후(後) 6~9주(週) 사이의 유의적(有意的)인 잡초군락비(雜草群落比) 증대가 인정되었다. 6. 경합가(競合價)는 직산파(直散播)<직조파(直條播)<조기이앙(早期移秧)<기계이앙(機械移秧)<관행이앙(慣行移秧)<만기이앙(晩期移秧)의 순(順)으로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7. 대부분의 재배양식하(栽培樣式下)에서 밀양(密陽) 23호(號)보다는 사도미노리가 높은 잡초경합력(雜草競合力)을 구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8. 수량구조경로(收量構造經路)로 보아 화목과잡초군(禾木科雜草群)의 발생은 큰 영향이 없었고 밀양(密陽) 23 호(號)는 생육(生育)이 진전(進展)되면셔 일단 야기된 잡초경합해(雜草競合害)는 회복하지 못하는 반면 사도미노 라는 빠른 회복가능성을 보였으며 두 품종(品種) 모두 작물(作物) 생체중(生體重)의 증가(增加)에 따라 면적당수수(面積當穗數)는 증대(增大)되나 등숙율(登熟率)은 감소(減少)되면셔 수량(收量)은 구성(構成)하는 특성(特性)을 보였다.

  • PDF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벼와 피의 생장(生長) 및 해부형태학적(解剖形態學的) 차이(差異) - III.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벼와 피간(間의) 미세구조(微細構造) 차이(差異)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wth of Rice and Barnyardgrass under Various Cropping Patterns - III. Difference in Stem Surface and Ultrastructures)

  • 천상욱;구자옥;이영만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4-155
    • /
    • 1994
  • 재배양식(栽培樣式)을 달리하여 생육하는 벼와 피의 줄기 표면(表面) 및 최외곽(最外廓) 표피세포(表皮細胞)의 미세구조(微細構造) 차이(差異)를 파악하여 제초제(除草劑) 사용원리(使用原理)와 잡초방제요점(雜草防除要點)을 연관지어 밝히고자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SEM)과 투사전자현미경(投射電子顯微鏡)(TEM)을 이용(利用)하여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줄기의 표면구조(表面構造) 차이(差異) 가. 건답조건(乾畓條件)에서는 표면(表面)벼와 토중(土中)벼간에 차이(差異)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표면(表面)벼가 토중(土中)벼에 비하여 더 매끄러운 표면(表面)을 형성하였다. 건답직파(乾畓直播)는 최외부층의 납질(蠟質)구조가 아령모양(啞鈴模樣)을 하고 있으며 기공열(氣孔列)과 규산세포열(硅酸細胞列)이 있으나 피는 납질(蠟質)이 실모양이며 모용, 기공열(氣孔列) 및 규산세포열(硅酸細胞列)은 없었다. 나. 담수직파(湛水直播)된 벼 줄기표면(表面)은 미분화(未分化)된 조직(組織)의 상태(狀態)를 나타내며 모용, 규산세포열(硅酸細胞列) 및 기공열(氣孔列)이 발견되지 않았다. 다. 이앙후(移秧後) 8일(日) 및 25일(日)된 묘(苗)의 표면구조(表面構造)는 건답직파(乾沓直播)벼의 구조(構造)보다 기공열(氣孔列), 규산세포열(硅酸細胞列), 납질(蠟質) 및 모용의 발달(發達)이 더 많았다. 2. 최외부(最外部) 세포벽구조(細胞壁構造) 차이(差異) 가. 최외부(最外部) 납질(蠟質)두께는 이앙(移秧)벼가 가장 두꺼웠고 건답(乾沓)벼가 피나 담수(湛水)벼보다 2~6배 두꺼웠다. 나. 벼의 큐티클층(層)은 이앙(移秧)벼와 건답(乾沓)벼보다는 담수(湛水)벼가 두꺼웠으나 반대로 담수(湛水)피보다는 건답(乾沓)피가 두꺼웠고 전반적으로는 피보다 벼가 더 두꺼웠다. 다. 세포벽(細胞壁)은 이앙벼가 가장 두꺼웠고 피보다는 벼가, 건답(乾沓)벼보다 담수(湛水)벼가 그리고 건답(乾沓)피보다 담수(湛水)피가 두꺼웠다.

  • PDF

재배방식에 따른 녹두 종실과 나물의 품질변화 (Comparison in Seed and Sprout Quality under Different Cropping Patterns in Mungbean)

  • 김동관;손동모;최진경;신해룡;천상욱;이경동;정기열;임요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12-218
    • /
    • 2011
  • 본 연구는 남부지역에서 생력재배로 일시수확 및 관행재배로 생산한 녹두의 품질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력재배는 7월 23일에 파종하여 10월 28일 일시에 수확하였고, 관행재배는 6월 13일에 파종하여 8월 중순부터 3차례 손으로 수확하였다. 1. 종실의 전분, 조단백질, vitexin 및 isovitexin 함량은 재배방식과 수확기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다. 종실의 조지방 함량은 생력재배, 관행재배 3차, 2차, 1차 수확한 종실 순으로 많았다. 2. 종실의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는 재배방식 및 수확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지방산 종류는 관행재배로 2차 수확한 종실에서 17종으로 가장 많았고, 관행재배 3차나 생력재배로 일시에 수확한 종실은 12종으로 가장 적었다. 주요 포화지방산 중에서 palmitic acid와 arachidic acid는 관행재배 1차, 2차, 3차 및 생력재배 수확 순으로 높은 비율인 반면 stearic acid는 반대의 경향이었다. 주요 불포화지방산 중에서 linoleic acid는 관행재배 1차, 2차, 3차 수확 및 생력재배 순으로 조성 비율이 높았다. 3. 종실의 아밀로그램 특성은 재배방식 및 수확기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냈다. 관행재배로 1차에 수확한 종실은 호화개시온도, 최고점도, 최종점도, 최저점도 및 강하점도가, 관행재배 3차에 수확한 종실은 치반점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에 생력재배로 수확된 종실은 모든 아밀로그램 측정값이 현저하게 낮았다. 4. 녹두나물을 생산하고 나물의 수율과 색도 및 아미노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 생력재배로 생산한 녹두는 나물의 생산수율이 낮으나 색도와 아미노산 함량은 관행재배로 수확한 종실을 이용하여 생산한 나물과 비슷하였다.

비가시성과 유사도 증가를 통한 강인한 패턴 워터마킹 방법 (A Robust Pattern Watermarking Method by Invisibility and Similarity Improvement)

  • 이경훈;김용훈;이태홍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10호
    • /
    • pp.938-943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Tikhonov-Miller 처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공격에 대해서 워터마킹의 강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시각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패턴 워터마크를 웨이브릿 변환 영역에서 수평(LH2), 수직(HL2), 대각(HH2) 성분의 부대역에 임계치를 기준으로 가중치를 달리 부여하여 삽입한다. 또한 인간 시각 시스템의 특징을 이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삽입한 워터마크는 보안성과 높은 추출율을 위해 무작위로 섞었다. 그런 다음 섞어 짜 맞추기(Interlace)를 했다. 제안한 방법의 강인성과 유사성 향상을 입증하기 위해 명암, 크기 변화, 필터링, 잘라내기, 히스토그램 평활화, 손실압축(JPEG, gif)과 같은 영상처리를 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비가시성을 고려하여 강인하게 워터마크를 삽입할 수 있고 여러 공격에 대해서 더욱 높은 상관 계수로 추출할 수 있었다.

Estimating Irrigation Requirement for Rice Cropping under Flooding Condition using BUDGET Model

  • Seo, Mi-jin;Han, Kyung-Hwa;Zhang, Yong-Seon;Jung, Kang-Ho;Cho, Hee-Ra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46-254
    • /
    • 2015
  •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rainfall pattern and soil characteristics on water management in rice paddy fields, using a soil water balance model, BUDGET. In two sites with different soil textural group, coarse loamy soil (Gangseo series) and fine soil (Hwadong series), respectively, we have monitored daily decrease of water depth, percolation rate, and groundwater table. The observed evapotranspiration (ET) was obtained from differences between water depth decrease and percolation rate. The root mean square difference values between observed and BUDGET-estimated ET ranged between 10% and 20% of the average observed ET. This is comparable to the measurement uncertainty, suggesting that the BUDGET model can provide reliable ET estimation for rice fields. In BUDGET model of this study, irrigation requirement was determined as minimum water need for maintaining water-saturated soil surface, assuming 100 mm of bund height and no lateral loss of water. The model results showed different water balance and irrigation requirement with the different soil profile and indicated that minimum percolation rate by plow pan could determine the irrigation requirement of rice paddy field. For the condition of different rainfall distribution, the results presented different irrigation period and amounts, representing the importance of securing water for irrigation against different rainfall pattern.

일본의 유기농업 기술에 관한 사례연구-유기농업 실천농가를 중심으로- (Case Study on Organic Agricultural Techniques in Japan)

  • 안병열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7-77
    • /
    • 1996
  • The Organic agricultural techinque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observations made for 3 year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a farmer who has been practicing organic agriculture over 21 years. The farmer was a member of the Ichijima-cho Organic Agriculture Association. The Farmer had not performed much of the organic agricultural techinques at the beginning of his farming history. However, he has gradually developed techniques upon the experiences with trial and error. The notable characteristic of his basic organic agriculture was the utilization of a suitable organic fertilizer to make the soil fertile. Crop damages by diseases and insect pests were prevented through a fertile soil, raising of good seedlings, adoption of tolerant varieties and planting at a wide spacing and consequently considering not to use chemical pesticides. Introduction of power weeder for weed control and paddy-upland crop rotation reduced the cost of production for farming. The crop pattern and method of land us such as mix cropping, crop rotation and conversion of paddy field-upland fieldd were appeared to be very important in organic agriculture. The organic agricultural techniques get systematized upon the adaptation the regional ecology and the development of skills of the farmer. The most important point to achieve the success in organic agriculture system is not only by the development of the technical matters but also by the building of healthy relation and understandings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 PDF

Silage용 옥수수와 두과작물의 간작에 관한 연구 I. Silage용 옥수수 ( Zea mays L. ) 동부 ( Vigna sinensis King ) 의 간작이 생육특성과 건물 및 유기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Corn-Legume Intercropping System I. Growth charateristics, dry matter and organic matter yield of corn (Zea mays L.)-cowpea (Vigna sinensis King) intercropping)

  • 이성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7-54
    • /
    • 1988
  •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per unit area of two cultivation systems of forage, corn (Zea mays L.) monoculture and corn-cowpea (Vigna sinesis King) inter-cropping were compared and obtained follow results. 1. The two cultivation system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leaf length, leaf width and length of internode with harvesting time. 2. The weight of stalk and leaves of a plant were decreased with maturity, while weight of ear was markedly increased. The patterns of relative ratio of each components was essentially same in each cultivation system. In corn monocrop., the percentages of stalk, leaf and ear at final harvesting stage were 22.9, 13.7 and 63.4, respectively. 3. Dry matter yield per unit area (33kgIlOa) of intercropped corn at yellow stage was similar to that of monocropped corn ( l,482.8kg/ 10a vs 1 ,SO8.9kg/ 10a). At ripe stage, however, the DM yield of intercrop. was higher than that of monocrop. (1,810.4kg/lOa vs 1,660.4 kg/ 1 Oa). 4. The same pattern was observed in organic matter yield.

  • PDF

TIME SERIES ANALYSIS OF SPOT NDVI FOR IDENTIFYING IRRIGATION ACTIVITIES AT RICE CULTIVATION AREA IN SUPHANBURI PROVINCE, THAILAND

  • Kamthonkiae Daroonwan;Kiyoshe Honda;Hugh Turral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3-6
    • /
    • 2005
  • In this paper, the real scenario of water situation (e.g. water management, water availability and flooding) in an irrigated rice cultivation area in Suphanburi Province, Central-West Thailand is discussed together with the NDVI time series data. The result shown is derived by our classifier named 'Peak Detector Algorithm (PDA)'. The method discriminated 5 classes in terms of irrigation activities and cropping intensities, namely, Non-irrigated, Poorly irrigated - 1 crop/year, Irrigated - 2 crops/year, Irrigated - 3 crops/year and Others (no cultivation happens in a year or other land covers). The overall accuracy of all classified results (1999-2001) is around $77\%$ against independent ground truth data (general activities or function of an area). In the classified results, spatial and temporal inconsistency appeared significantly in the Western and Southern areas of Suphanburi. The inconsistency resulted mainly by anomaly of rainfall pattern in 1999 and their temporal irrigation activity. The algorithm however, was proved that it could detect actual change of irrigation status in a year.

  • PDF

이동식 토양 강도 센서 데이터 주파수 분석 (Spectral Analysis of On-the-go Soil Strength Sensor Data)

  • 정선옥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3권5호
    • /
    • pp.355-361
    • /
    • 2008
  • As agricultural machinery has become larger and tillage practices have changed in recent decades, compaction as a result of wheel traffic and tillage has caused increasing concern. If strategies to manage compaction, such as deep tillage, could be applied only where needed, economic and environmental benefits would result. For such site-specific compaction management to occur, compacted areas within fields must be efficiently sensed and mapped. We previously developed an on-the-go soil strength profile sensor (SSPS) for this purpose. The SSPS measures within-field variability in soil strength at five soil depths up to 50 cm. Determining the variability structure of SSPS data is needed for site-specific field management since the variability structure determines the required intensity of data collection and is related to the delineation of compaction management zones. In this paper, soil bin data were analyzed by a spectral analysis technique to determine the variability structure of the SSPS data, and to investigate causes and implications of this variability. In the soil bin, we observed a repeating pattern due to soil fracture with an approximate 12- to 19-cm period, especially at the 10-cm depth, possibly due to cyclic development of soil fracture on this interval. These findings will facilitate interpretation of soil strength data and enhance application of the SS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