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e tourism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6초

한식의 세계화 관련 학술적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Academic Research Trends Pertaining to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 민계홍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06-61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scholarly journals that were related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future of these trends such as various creative subject selection and research methods. 70 papers pertaining to Korean food research, such as academic journals expected to be registered, and national-scale academic papers, were selecte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April 6 to April 22. 2009.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s: First, most of the papers, 20(28.6%),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journal of food culture. In addition, most articles had a single author, 24(34.3%). In regard to the profession of the auther, university professor was the most frequent profession, 127 persons(68.3%). In terms of the research subjects, preference was the most dominant preference(19.2%). Investigatory research was the most frequent research method, 58 papers(82.9%). Furthermore, foreigners and natives were the most dominant research objects, 21 papers(30.0%). As for the analysis method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T-test,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used the most in that order. Future studies should includ papers for master's degrees and doctorial degrees.

Rajakudakan Wat Chotikaram: From Ruins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Grand Stupa, Wat Chedi Luang, Chiang Mai

  • Kirdsiria, Kreangkrai;Buranautb, Isarachai;Janyaemc, Kittikhun
    • 수완나부미
    • /
    • 제13권2호
    • /
    • pp.167-186
    • /
    • 2021
  • The Grand Stupa is mentioned in historical text as 'Rajakudakan', which means a royal building with a multitiered superstructure. This Grand Stupa is the principal construction of Wat Chedi Luang, and marks the center of the Chiang Mai City Plan. This study argues that the Grand Stupa was built in 1391 during Phaya Saen Mueang Ma's reign, possibly inspired by the construction of Ku Phaya in Bagan. Thereafter, in 1545, the Grand Stupa's superstructure collapsed after the great earthquake, resulted in the irreparable damage since then. Therefore, a survey using a 3D laser scanner is conducted to collect the most precise data on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Grand Stupa, yielding an assumption of its reconstruction. Other simultaneous stupas or those that show a close architectural relationship (e.g. stupas in Wat Chiang Man and Wat Lok Moli and the stupa of King Tilokaraj in Wat Chet Yot in Chiang Mai) are also employed as research frameworks for the reconstruction. As a result, the architectural research on the Grands Stupa, compared with simultaneous stupas, yields a fruitful argument that the pre-collapse superstructure form of the Grand Stupa marks the most architectural similarity to the stupa of Wat Chiang Man.

모바일 테크놀로지 활용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의 설계와 적용: 경주 양동마을을 사례로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an Inquiry-based Fieldwork Program using Wireless Mobile Device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Tourism on Yangdong Village)

  • 이종원;오선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893-91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주 양동마을의 지속가능발전을 주제로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적용 연구를 통해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것이다. 효과적인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의 설계를 위해서는 탐구질문, 조사대상 지역, 모바일 테크놀로지의 역할, 학습활동 및 산출물 설계,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양동마을은 2010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이후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으며, 학생들은 양동마을에서 가옥의 변화를 조사하고, 주민들을 인터뷰하고, 마을에서 변해야 하는 것과 변하지 말아야 하는 것을 조사한다. 학생들의 야외 데이터 수집을 지원하기 위해 모바일 테크놀로지(예, Collector for ArcGIS)가 활용되었다. 프로그램은 2016년 2월 고등학교 답사동아리 학생들(N=21)이 참여해 현장적용 연구가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사전-사후활동, 야외에서의 데이터 수집활동이 관찰되었으며, 학생들이 수집한 데이터와 제작한 산출물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학생들은 양동마을에 대한 지식과 가치가 높아졌을 뿐 아니라 과정에 대해서도 만족과 즐거움을 표시했다. 모바일 테크놀로지의 활용은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에서 학습활동의 실제성을 높여주고, 학생들 간 협력을 원활하게 하며, 공유가 가능한 디지털 형태의 산출물 생산을 지원한다.

  • PDF

포스트 코로나 시대 관광 트렌드를 반영한 농촌체험마을 조성방안 연구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위봉마을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Creation Rural Experience Village Reflecting the Travel trends of the Post-Corona - A Case of Wi-bong Village in Jeollabuk-do -)

  • 안필균;엄성준;조숙영;김상범
    • 농촌계획
    • /
    • 제26권4호
    • /
    • pp.27-39
    • /
    • 2020
  • With the COVID-19 pandemic, the global economy has stagnated and our daily lives have changed. The rural economy is also experiencing damage, such as an average of 65% or more decrease in the number of visitors to rural experience resort villages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arising from the prolonged coronavirus, a hospitality system in response to changes in rural tourism behavior and consumer demand is needed to revitalize rural areas and maintain continuous economic independenc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ways to utilize landscape resources such as education, culture, history, and ecology in order to complement the existing experience programs in connection with local resources and local environment. Wibong Village, which is the subject of the study, attempted to revitalize the village using the resources through the "Creative village creation" project in 2015. Due to poor management of historical resources, difficulty in operating experience programs, and response to chang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the rate of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plan was very low. Currently, the demand for experience is also decreasing due to the COVID-19 effect, so it was judg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n experience village program suitable for the needs of experienced visitors by discovering additional local resources for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experience villag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use of landscape resources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study site, additional investigations of local resources were made, and an experience program course that could be operated by theme was proposed by configuring a space suitable for the use of landscape resources. By dividing the additionally investigated landscape resources into history, ecology, and region, an experiential course was created to separate the traffic lines, and the space composition for large-scale experienced visitors that had been previously operated was constructed in a form suitable for the post-corona era. In addition, at least two experiential tour courses that can be operated by period were proposed to maintain economic effects. Starting with this study, if further research on the cre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a rural experience village centered on the connection with the region, it will be used as research results that can be referenced in projects such as village creation, rural space planning, and living area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construction of a rural area suitable for the post-corona era, where demand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문화콘텐츠산업의 전략적 수용과 안동 문화정체성의 재구성 (The Strategic Adoption of Creative Industry and Its Impact on the Reconstruction of Cultural Identity in Andong Province)

  • 조관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568-581
    • /
    • 2011
  • 1997년 국제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한국정부는 미래의 새로운 경제적 활로를 모색하게 되었는데, 이미 경제적으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둔 영국의 세계도시 전략과 창조산업이 주요한 본보기가 되었다. 한국의 중앙정부는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창조산업을 한국의 사회적 환경에 맞도록 변용하였는데 이로부터 문화콘텐츠산업이 탄생하게 되었고, 이를 정책적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한국의 고유한 문화전통을 기반으로 세계적인 문화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시작된 문화콘텐츠 진흥정책으로 인해 다양한 문화전통을 간직하고 있는 안동은 재발견되었다. 안동 지방정부와 대학과 유림가문을 중심으로 한 지역 주도층들은 이 진흥정책이 침체된 안동의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데 새로운 전기가 될 뿐만 아니라 지역의 고루한 이미지를 탈피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에 문화콘텐츠산업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진흥하였다. 문화콘텐츠 산업이 주목한 안동의 문화전통은 유교뿐만 아니라 기층문화로 여겨지던 무속이나 불교 등이었다. 이로부터 상대적으로 안동 지역민 사이에는 다양한 문화전통들 중에서 어떤 것을 지역의 진정한 전통문화로 선택할 것인지에 대해 이견이 발생했다. 서로 결이 다른 지역 정체성들이 전략적으로 타협되면서 공존하게 되는데, 이는 문화적 다양성이 관광의 활성화를 통해 지역경제를 되살리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제한된 자원을 둘러싼 다른 지역들과의 경쟁에서 우월적 지위를 차지하는데 도움을 주었기 때문이다.

  • PDF

항공사 구성원의 조직문화 유형이 조직업무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f Airline Members on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Work: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 이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594-603
    • /
    • 2019
  • 대형항공사(Network Carrier)와 저원가항공사(Low Cost Carrier)의 양분화된 영업환경에서 승객의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요구와 항공사의 수입보존을 위해 대 내외적으로 무한 경쟁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기업의 성과를 위해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를 맞이하여 기업들의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활용하기 위한 노력은 기업의 장기적 생존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경쟁우위 도구로 간주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구성원의 조직문화유형, 지식공유 활동, 조직업무 효과성 사이의 총체적인 관점에서 어떠한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K와 A항공사에 사전협조를 구하여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K와 A항공사에 재직 중인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9년 5월 1일부터 2019년 5월 17일까지 실시한 설문조사 45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Statistics 22.0과 AMO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사 구성원의 조직문화 유형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창의혁신문화, 관계집단문화, 위계지향문화 모두 지식공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항공사 구성원의 지식공유는 조직업무 효과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문화 중, 창의혁신문화, 관계집단문화, 위계지향문화 모두 조직업무 효과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문화와 조직업무 효과성의 관계에서 지식공유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항공업계의 조직업무효과성 향상을 위해서는 지식공유의 역할을 제시하고, 지식공유를 위한 조직문화 형성의 틀 마련의 중요성을 제공해 주었다.

'옛담장' 등록문화재의 활용 방안 연구 정읍 상학마을 '다무락'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Utilization Plan of 'Old Stone Wall' Registered as a Cultural Property Focused on an Old Stone Wall in Sang-Hak Village)

  • 이민석;정성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4호
    • /
    • pp.50-73
    • /
    • 2009
  • 최근 등록문화재로 등록된 옛 담장의 사례는 기존의 '점' 단위의 개별 건축물에서 '면' 단위의 마을까지 문화재의 범주를 확대시켰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또한 급속한 사회변동에 따라 주거양식이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농 어촌의 전통적 경관의 훼손과 멸실을 방지하고자 추진된 의미 있는 정책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옛 담장이 갖고 있는 문화적 요소를 도출하고 구술조사를 통하여 그 의미와 상징체계를 분석하였다. 전통문화의 문화적 자원을 문화콘텐츠화 하려는 노력이 요즘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너무 미학적인 측면만 강조하거나 건축적인 해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본고의 연구대상인 옛 담장의 경우는 단순히 관광코스로 소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구술조사를 토대로 이야기를 구성하고 관광객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창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문화콘텐츠란 문화의 원형과 문화적 요소를 발굴하고 그 속에 담긴 의미와 가치를 찾아내어 그것의 원형성, 잠재성, 활용성 등을 매체에 결합하는 새로운 문화의 창조 과정이다. 본고에서는 근현대 생활문화 공간복원과 문화콘텐츠의 발굴과 관련하여 상학리 돌담장을 조사하여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더불어 조사된 자료를 분석하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장소마케팅의 가능성을 고찰하여 보다 독창적인 관광자원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크라우드펀딩의 투자의사결정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vestment Decision Making Criterion based on Crowd Funding)

  • 이의방;이재범;양창규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25-41
    • /
    • 2014
  • 그간 크라우드펀딩에 대한 연구는 주로 크라우드펀딩의 도입을 위한 방안, 정책에 주로 관심을 가졌으나, 본 연구는 투자의사결정기준을 분류하고 각 요인의 중요성을 제시하여 크라우드펀딩 투자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해 내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1) 크라우드펀딩 투자자는 비즈니스 모델을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업의 유형자원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고려하고 (2) 기업의 경영능력에는 관심이 많지만,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창의성은 크게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크라우드펀딩이 계량적 투자기준을 통해 투자의사를 결정할 수 있고, 창의적인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건전한 투자라는 인식이 형성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만 하며, 신규기업도 창의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기존기업과 건전한 경쟁을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알로하 셔츠의 발전 과정과 디자인 특성 (Design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rocess of Aloha Shirt)

  • 이경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59-68
    • /
    • 2007
  • "Aloha" is the Hawaiian word that extends the warmth friendliness, and pride of the Hawaiian people to their island's visitors. The aloha shirt truly symbolizes aloha sprit to islanders and visitors alike. The earliest foreign settlers in the Hawaiian Islands were the Chinese and Japanese. They brought with them their myriad talents and trades, among them the art of tailoring. In July of 1936, a shirtmaker named Ellery J.Chun coined the term "Aloha Shirt" an apt characterization for such an eloquent garment. He was the first to make the shirt on a commercial basis. The shirt sold for as little as a dollar in Chun's own King-Smith store. The genuine aloha shirt is now regaled as a work of art and avidly sought out by collectors. When tourism came to Hawaii in the late 1930s, these unusal shirts were among the first thing that visitors had to have. Local designers and tailors worked quickly to meet the demand and began to expand the range of decoration to include palm trees and romantic beaches, tropical jungles and volcanoes, exotic flowers and scenes from polynesian legend. Therefore the aloha shirt had been born. The functional use of creative colors and amazing artistic renderings in these shirts certainly capture the simplicity and sprit of Hawaii. Aloha shirt is dress that display mystery and charm of Hawaii and cultural symbol of condensed Hawaiian mind. Furthermore, the innocence with which Hawaiians formerly translated their life and heritage onto fabric ranks these shirts with the finest of American folk art. Aloha shirt is made from cotton, silk, rayon in present and past. Most important design element of Aloha shirt is print pattern. Main print pattern of Aloha shirt are all over pattern, horizontal pattern, border pattern, Japanese pattern, picture pattern and back panel pattern. In this study I investigate the design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rocess of aloha shirt.

  • PDF

산업유산으로서의 폐광산 재활용 방법론 연구 (Reuse Methodology for Abandoned Mines as Industrial Heritage)

  • 강동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11-129
    • /
    • 2007
  • Industrial heritage artifacts may include the industrial products, technologies and infrastructures that have contributed to modernization beginning with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history of our industrial heritage spans 50 to 150 years and can be characteriz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site and the technology. This paper analyzes 13 precedents in Japa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in terms of these concerns, with focus on the reuse of abandoned mines as industrial heritage. Field surveys and interviews about each abandoned mine were used to obtain historical records and material. The results describe progress in three phases (1) recognizing phase, (2) organizing phase, and (3) maintenance management phase. A proper methodology for reuse is necessary to ensure the authenticity of the abandoned mine, particularly in the face of poor tourism-oriented approach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13 cases, we determined that the following principles should be considered during the reuse process. Firstly, reuse of abandoned mines should not be compulsory but should be a spontaneous process and especially, should be carried out by inhabitants. Secondly, education and real experiences in the abandoned mine should be used to ive visitors a feeling of authenticity. Thirdly, creative remodeling methods can be used to enhance the abandoned mine's facilities and the site. Finally, historic and new functions should be the focus of the revitalization. Because this paper mainly focused on 13 precedents, there are likely more diverse cases. However, the conclusions of this report have practical value for reuse of abandoned mines and can be used in establishing methods for reusing Korean abandoned mines as industrial heri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