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e tourism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8초

Decomposing Twitter Network in Tourism Marketing

  • Kim, Wonsik;Kim, Daeg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2호
    • /
    • pp.80-85
    • /
    • 2021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networks of tourism marketing on Twitter, identifying the most prominent users, the flow of information about tourism marketing,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s posting tweets. This study employs NodeXL pro as a visualization software packag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The number of vertices or nodes is 171, and the number of the unique edges or links is 128, but there are 101 edges with duplicates, so the total links are 229, which means that there are fewer Twitter accounts in the social network on tourism marketing, but they have a few close relationships by sharing information. The research can map the social network of communicators of tourism marketing using Twitter data. The network has a complicated pattern, including one independent network and some connected networks. Some mediators connect each network and can control the information flow of tourism marketing. More communicators are getting the information than the ones providing it, which means that there is likely to be the dependence of information among communicators that can cause an obstacle and distortion of the information flow system, especially in the independent network.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Tourism Training in the Context of COVID-19

  • Krupa, Oksana;Panchenko, Vladimir;Dydiv, Iryna;Borutska, Yuliia;Shcherbatiuk, Natali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호
    • /
    • pp.262-268
    • /
    • 2022
  •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tourism training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context of COVID-19. Innovative development is associated with the rejection of well-known cliches, stereotypes in teaching, upbringing and personal development, creates new standards for personal-creative, individually directed tourism activities, develops pedagogical technologies implemented in this activity. As a result, the main aspect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tourist training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context of COVID-19 were characterized.

문화관광체험상품으로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안동지역 사례로 - (A Study on the temple stay as culture tourism experience products Case of Andong City Region)

  • 김용남;권기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5-416
    • /
    • 2017
  • 문화관광상품으로서 템플스테이가 지니는 요소들을 파악하고 안동지역 운영 사찰들의 현황분석을 통해 차별화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AHP를 이용한 의료관광 활성화 우선순위분석에 관한 연구 - 안동시 사례를 중심으로 - (Study on Priority Analysis for Activation of Health Tourism Using AHP - Focused on Andong -)

  • 배수빈;권기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9-290
    • /
    • 2016
  • 의료관광은 전 세계적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각광 받고 있으며,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안동시 의료관광 활성화에 중요한 평가항목 요인들의 구성요소들의 우선순위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상위계층에서는 인프라, 중위계층에서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신뢰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 PDF

ICT 신기술을 활용한 스마트관광의 추진사례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how to Promote Smart Tourism through Case Analysis of Smart Tourism Utilizing New ICT Technologies)

  • 정병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509-523
    • /
    • 2015
  • 세계 관광트렌드는 스마트 기기라는 새로운 정보유통채널의 출현으로 기존의 대량관광, 단체관광 중심에서 개별관광 중심으로 관광의 패러다임이 급속히 재편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관광선진국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첨단 ICT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선진화된 스마트관광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관광 발전현황 및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해보고 이에 부응하는 정책적 대안을 분야별로 제시하였다. 첫째, 인프라 구축에서는 스마트관광 유통플랫폼 및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구축을 제시하였다. 둘째, 수요자 맞춤형 관광콘텐츠 개발부문에서는 융복합 관광콘텐츠 및 사용자경험(UX) 기반 콘텐츠 개발 등을 주문하였다. 셋째, 거버넌스에서는 스마트관광 민관협의체 구성 및 창조관광기업 육성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관련 실무자에게 스마트관광 활성화 관련 사업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새만금.군산경제자유구역의 생태관광 방향 (A Study on the Ecotourism Policy Direction of Saemangeum.Gunsan Free Economic Zone)

  • 임형백;최흥규;이성우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2권4호
    • /
    • pp.53-65
    • /
    • 2009
  • Saemangeum is the largest reclaimed land in Korea. Saemangeum is the large scale project responding to the economic demand of globalization, and a government initiated new development business with a vision of global Free Economic Zone(FEZ). Jeollabuk-province conducted a international competition to establish a global-scale, creative development plan and grow the Saemangeum as an international destination of economy, and a world-wide brand. SGFEZ has much to offer in terms of tourists attractions and breathtaking scenery. And tourism is one of the important industry in SGFEZ. Many tourist facilities will be construct in SGFEZ. Environment is the important issue in many field of study. Recent days, green growth come into the spotlight in Korea. But even as SGFEZ prepares for its future global tourists attraction, so much of the tourism policy directions remains unconsider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ourism policy direction, especially concentrated on ecology tourism policy direction of Saemangeum Gunsan Free Economic Zone(SGFEZ).

  • PDF

경북 북부도시에서 창조성의 의미 -지역개발의 실행을 중심으로- (The Implication of Creativity in the Northern Cities of Gyeongbuk Province : Centering on the Practice of Regional Development)

  • 이상율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554-567
    • /
    • 2011
  • 창조도시가 도시 발전의 패러다임으로 점차 받아들여지는 가운데, 창조도시를 구성하는 주요 개념들 창조성, 창조계층, 창조산업 등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창조도시의 개념에 관해서 지역 및 국가 간 다소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관점의 차이가 나타난다.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창조도시에 관한 의미가 잘 부각되지 않는 국내의 중소 도시, 경북 북부 지역을 대상으로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창조산업의 의미가 지역의 자연, 농 특산품, 문화 역사적 자원의 관광자원화를 바탕으로 점차 문화, 체육 분야로 확대되어 나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창조성의 의미가 그 지역의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 활성화를 위한 모색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과정에 의해서 구체적으로 실현되어 가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지역 내에서 비교적 뚜렷이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주로 인터뷰에 의해서 파악된 그 역할은 리더의 역할, 지역 내 네트워크 체계, 외부와 네트워크 관계에 그 비중의 차이점을 보인다.

  • PDF

새로운 관광수단으로서 지리여행의 콘텐츠 구성과 활용 방안 (The Promotion and Content Composition of Geotravel as a New Way of Tourism)

  • 박종관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53-71
    • /
    • 2015
  • 지리여행은 지리학의 현장답사에 근거한 새로운 테마여행이다. 지리여행은 자연경관과 인문경관을 탐구하는 감성여행이며, 역사관광을 뛰어넘는 포괄적 환경여행이다. 지리여행은 가족 체험여행을 할 수 있는 최적화된 지역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공간여행으로서의 지리여행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유역 단위의 지리여행법이 효율적이다. 지리여행 콘텐츠는 융복합 관점에서 개발되어야 한다. 인간과 물은 지리여행 콘텐츠의 통합 주제어이다. 지리여행은 초 중등학교 학생을 위해 특화된 체험여행이기도 하다. 지리여행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지리여행의 코스 개발이 필요하다. 모바일 앱은 지리여행 정보를 쉽게 전달해 주는 매개체가 될 것이다. 지리여행 큐레이터의 육성도 시급하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고품격 지리여행 상품도 개발되어야 한다. 지리여행은 창조관광 달성을 위해 매우 효율적인 수단이 될 것이다.

  • PDF

Study on Agenda-Setting Structure between SNS and News: Focusing on Application of Network Agenda-Setting

  • Kweon, Sang-Hee;Go, Taeseong;Kang, Bo-young;Cha, Min-Kyung;Kim, Se-Jin;Kweon, Hea-J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5권1호
    • /
    • pp.10-24
    • /
    • 2019
  • This study applied network agenda-setting theory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the media on certain issues by focusing on the agenda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Creative Economy'. To this end, the study extracted the data referred to creative economy in the media and SNS from 1 January 2008 to 31 December 2014, and analyzed the data using the network analysis program UCINET and the Korean language analysis program Texto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during the period under former President Lee (2008-2011), the media's creative economy agenda-setting function did not exert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genda-setting within SNS. However, from 2012 when the government of former President Park Geun-hye had started,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the media starts to show increasingly strong influence on the agenda cognition in SNS. The central words and sub-words configuration forming the center of the semantic network moved in the direction of a high correlation, in addition to the gradually increasing correlation based on QAP correlation analysis. In 2014, the semantic networks of the media and SNS bore a close resemblance to each other, while the shape of networks and sub-words structure also had a high level of similarity.

의료관광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의료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dical Tourism and Activation : With focus on Medical Communication)

  • 이승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3호
    • /
    • pp.391-39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21세기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의료관광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의료와 관광이 협조적인 구도하에서 시너지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의료관광은 2009년을 원년으로 도약하기 시작하여 2012년 현재 괄목한 성장을 보이며 성장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성장하는 의료관광시장을 조망해보고 향후 지속적인 발전과 글로벌 한국의료의 성장을 위해 발전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한국의 5대 대형병원의 의료관광객 유치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의료비의 투명한 관리와 적극적인 서비스를 위한 홈페이지 구축, 의료업계와 관광업계의 협력구도제안 및 의료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를 제안한다. 즉 질병위주의 치유목적적 의료관광객의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한 전문의료 통역사의 양성과 의료관광의 원할한 진행과 서비스를 위한 국제의료코디네이터양성의 이중 채널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 또한 의료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관광업계의 인프라 구축을 위한 창의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