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nine clearance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44초

Effect of Chlorella intake on Cadmium metabolism in rats

  • Shim, Jee-Ae;Son, Young-Ae;Park, Ji-Min;Kim, Mi-Ky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3권1호
    • /
    • pp.15-22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lorella on cadmium (Cd) toxicity in Cd-administered rats. Sixty male Sprague-Dawley rats (14 week-old) were blocked into 6 groups. Cadmium chloride was given at levels of 0 or 325 mg (Cd: 0, 160 ppm), and chlorella powder at levels of 0, 3 and 5%. Cadmium was accumulated in blood and tissues (liver, kidney and small intestine) in the Cd-exposed groups, while the accumulation of Cd was decreased in the Cd-exposed chlorella groups. Fecal and urinary Cd excretions were remarkably increased in Cd-exposed chlorella groups. Thus, cadmium retention ratio and absorption rate were decreased in the Cd exposed chlorella groups. Urinary and serum creatinine, and creatinine clearance were not changed in experimental animals. In addition, metallothionein (MT) synthesis in tissues was increased by Cd administration. The Cd-exposed chlorella groups indicated lower MT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Cd-exposed groups. Moreover,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was not changed by dietary chI orella and Cd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could suggest that Cd toxicity can be alleviated by increasing Cd excretion through feces. Therefore, when exposed to Cd, chlorella is an appropriate source which counteracts heavy metal poisoning, to decrease the damage of tissues by decreasing cadmium absorption.

가와사끼병과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환아에서 고용량 정주용 면역글로불린의 신독성 유무 (Renal Toxicity of High-dose Intravenous Immunoglobulin in Children with Kawasaki Disease and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 정지아;김혜순;서정완;이승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권2호
    • /
    • pp.133-137
    • /
    • 1998
  • 목 적 : 1987년 정주용 면역글로불린(Intravenous immunoglobulin: IVIG)에 의한 급성신부전의 첫 증례가 보고된 이후 성인에서는 고용량의 IVIG와 관련된 신손상의 보고들이 다수 있었다. 이에 저자들은 고용량 IVIG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는 가와사끼병과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환아에서 IVIG의 신독성 여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6년 1월에서 8월까지 이대 부속 목동 병원에 입원하여 가와사끼병(23례)과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7례)으로 고용량의 정주용 면역글로불린(2 g/kg)을 투여받은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IVIG투여후 1일, 3일에 요량, BUN, 혈청 creatinine, Ccr, FENa, TRP, 24 시간뇨 ${\beta}_2$-microglobulin/cr 비 및 microalbumin/cr 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통계는 repeated measurement ANOVA test와 t-test를 사용하여 검정하였다. 결 과 : 고용량의 IVIG 투여후에 요량, BUN, 혈청 creatinine, Ccr, TRP, 24 시간뇨 ${\beta}_2$-microglobulin/cr 비 및 microalbumin/cr비의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IVIG투여후 1일에 일시적으로 증가한 FENa만이 유의한 변화였다. 결 론 : 소아에서 흔히 사용되는 고용량 IVIG는 정상 신기능 상태에서는 유의한 신손상을 일으키지 않았다.

  • PDF

ACE inhibitor가 소아 신증후군에서 단백뇨 소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E Inhibitor on Nephrotic Proteinuria in the Children)

  • 박은혜;김지홍;김병길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3권1호
    • /
    • pp.42-47
    • /
    • 1999
  • 목 적 : ACE inhibitor는 주로 항고혈압제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정상 혈압을 가진 신질환 환자에서 단독으로 쓰일 경우 단백뇨를 감소시키고 신기능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소아 신증후군에서 스테로이드와 병합 투여할 경우 단백뇨 소실에 상승작용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신증후군 환아에서 스테로이드와 ACE inhibitor인 Inhibace의 병합투여가 단백뇨 소실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원발성 신증후군으로 내원한 환아를 대상으로 치료방법에 따라 Prednisolone 2mg/kg/day를 단독으로 투여한 환아(대조군)와 Prednisolone 및 Inhibace 2.5mg/day를 같이 투여한 환아(Inhibace군)로 구분하였으며 이 중 치료에 반응을 보인 45명(대조군 29명, Inhibace군 16명)을 대상으로 치료결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 두 군간의 평균연령 및 남녀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발병시 24시간 요중 단백량은 대조군 $699.6{\pm}1396.6 mg/m^2/hr$, Inhibace군 $624.9{\pm}275.1\;mg/m^2/hr$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스테로이드 투여 후 단백뇨 소실까지의 기간은 Inhibace군에서 $10.9{\pm}2.0$일로 대조군의 $13.6{\pm}4.0$일보다 유의하게 짧았고 (P<0.05)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치료 전후의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과 Inhibace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Inhibace군에서 치료 전후에 크레아티닌 청소율의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혈압의 변화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Inhibace 군에서 저혈압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소아 신증후군에서 스테로이드와 ACE inhibitor의 병합투여는 스테로이드 단독 투여에 비해 완해에 이르는 기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장기간의 ACE inhibitor의 투여가 재발율 및 관해 유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제생신기환이 허혈-재관류로 유발된 급성 신부전 마우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Jesaeng-sinkihwan on Renal Dysfunction in Ischemia/Reperfusion-Induced Acute Renal Failure Mouse)

  • 한병혁;이현경;장세훈;태애림;윤정주;김혜윰;이윤정;이호섭;강대길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3-44
    • /
    • 2021
  • Renal ischemia-reperfusion injury(IRI), an important cause of acute renal failure (ARF), cause increased renal tubular injury. Jesaeng-sinkihwan (JSH) was recorded in a traditional Chines medical book named "Bangyakhappyeon (方藥合編)". JSH has been used for treatment of diabetes and glomerulonephritis with patients. Here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Jesaeng-sinkihwan (JSH) in a mouse model of ischemic acute kidney injury. The animals model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t the age of 8 weeks; sham group: C57BL6 male mice (n=9), I/R group: C57BL6 male mice with I/R surgery (n=9), JSH Low group: C57BL6 male mice with surgery + JSH 100 mg/kg/day (n=9) and JSH High group: C57BL6 male mice with surgery + JSH 300 mg/kg/day (n=9). Ischemia was induced by clamping the both renal arteries during 25 min, and reperfusion was followed. Mouse were orally given with JSH (100 and 300 mg/kg/day during 3 days after surgery. Treatment with JSH significantly ameliorates creatinine clearance(Ccr), Creatinine (Cr) and blood urea nitrogen(BUN) in obtained plasma. . Treatment with JSH reduced kidney inflammation markers such as Neutrophil Gelatinase Associated Lipocalin (NGAL) and kidney injury molecule-1 (KIM-1). JSH also reduced the periodic acid schiff (PAS) staining intensity and picro sirius red staining intensity in kidney of I/R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JSH ameliorates tubular injury including renal dysfunction in I/R induced ARF mouse.

Evaluation of Renal Function Using the Level of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is Not Predictive of Nephrotoxicity Associated with Cisplatin-Based Chemotherapy

  • Kos, F. Tugba;Sendur, Mehmet Ali Nahit;Aksoy, Sercan;Celik, Huseyin Tugrul;Sezer, Sevilay;Civelek, Burak;Yaman, Sebnem;Zengin, Nurulla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2호
    • /
    • pp.1111-1114
    • /
    • 2013
  • Background: For early detection of renal damage during the usage of cisplatin based chemotherapy, changes in renal function should be monitored carefully. In recent years,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a small polypeptide molecule, has shown promise as a marker of acute renal failure. The aim of this present study was to assess possible risk prediction of cisplatin-induced nephrotoxicity using serum NGAL.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4 consecutive patients with documented serum creatinine at least 24 hours before every cycle of cisplatin-based chemotherapy were included in the study. Demographic and medical data including age, performance status, tumor characteristics and comorbid diseases were collected from medical charts. Renal function was evaluated at least 48 hours before the treatment and at the end of the treatment based on the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MDRD) formula. Before and after cisplatin infusion serum NGAL levels were measured for the first and 3rd cycles of chemotherapy.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study population was 54 (32-70) years. Fifteen patients (41.1%) were treated on an adjuvant basis, whereas 19 patients (58.9%) were treated for metastatic disease. There was no correlation of serum NGAL levels with serum creatinine (r=0.20, p=0.26) and MDRD (r=-0.12, p=0.50) and creatinine clearance-Cockcroft-Gault (r=-0.22, p=0.22) after cisplatin infusion at the end of the 3rd cycle of chemotherapy. Conclusions: In our study, serum NGAL levels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cisplatin induced nephrotoxicity. Further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to conclude that serum NGAL level is not a good surrogate marker to predict early cisplatin induced nephrotoxicity.

당뇨병성 신증 환자 20예에서 복합한약전탕액이 신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Renal Function of Complex Herbal Medication in 20 Diabetic Nephropathy Patients)

  • 최우정;김동웅;신선호;이언정;최진영;신학수;조권일;이광석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80-584
    • /
    • 2003
  • Diabetic Nephropathy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chronic renal failure. It is a common microvascular complication and clinically defined as the presence of persistent Proteinuria. We studied the effects and change of the renal function of Complex Herbal medication of the 20Diabetic Nephropathy patients. We measured the initial levels of Total Protein, Creatinine Clearance Rate(Ccr), Serum Creatinine(Serum-Cr), Urine Creatinine(Urine-Cr) and HbA1C on admission and followed up the level changes of Total Protein, Ccr, Serum-Cr and Urine-Cr on discharge. The results are following : Complex Herbal Medication does not cause the renal toxicity. The longer hypertension period is, the higher Serum-Cr level and Urine-Cr level. In an older age group, Urine-Cr is lower. 4.From the 'Deficiency in Origin and Excess in Superficiality(本虛表實)'points of view, Complex Herbal Medication improves the Serum-Cr in Diabetic Nephropathy patients. According to this results, it could be suggested that Complex Herbal Medication does not cause the renal toxicity in Diabetic Nephropathy patients and intensive controls of blood sugar, blood pressure and Complex Herbal Medication prevent the renal failure in Diabetic Nephropathy patients with early stage of Microalbumiuria.

편측신절제 흰쥐에서 Cyclosporin A-유발 신독성에 대한 Verapamil의 효과 (Effects of Verapamil on Cyclosporin A-induced Nephrotoxicity in Uninephrectomized Rat)

  • 강주섭;고현철;이창호;신인철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6권2호
    • /
    • pp.130-138
    • /
    • 1998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verapamil (VER) on cyclosporin A (CsA)-induced nephrotoxicity was investigated in uninephrectomized rats. Male Wistar rats were administered CsA (50 mg/kg/day, p.o.) or VER (0.5 mg/kg/day, i.p.) with CsA (50 mg/kg/day, p.o.) for 20 days. The urinary N-acetyl-$\beta$-D-glucosaminidase (NAG) activity along with BUN, serum creatinine, creatinine clearance (CLcr), body weight, and 24 hr-urine output were measured and histopathologic changes of kidney were evaluat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While NAG activity, BUN and serum creatinine was progressively increased and CLcr significantly decreased in CsA group, VER almost signifi-cantly (p<0.05) suppressed and normalized CsA-induced changes in VER+CSA group. While urine output increased until 12th days and thereafter progressively decreased in CsA group, it gradually increased in control and VER+CSA group. While body weight progressively made a gain in control and VER+CSA groups, it significantly (p<0.05) lost in CsA group. On light microscopy, the glomerular hyperemia and proximal convoluted tubular (PCT) dilatation, focal tubular cell vacuolation and necrosis were clearly evident in CsA group, but, were not seen in other groups. Ultrastructural studies revealed thickened glomerular endothelium and basal lamina of capillary, irregular shaped pedicels of podocytes, indistinct slit pores and narrowed bowman's space. The large oval vacuoles with dense debris and phagosome were distributed in apical zone and deformed microvilli and mitochondria were seen in the PCT cell of CsA group. But, glomeruli and PCT cell were relatively preserved in normal apperance in other groups.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verapamil has a protective effect on cyclosporine-induced nephrotoxicity in uninephrectomized rats.

  • PDF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 후 신기능의 자연 회복 (Spontaneous Recovery of Renal Function after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in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 이기종;주현철;양홍석;이교준;유경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2호
    • /
    • pp.828-834
    • /
    • 2005
  • 배경: 만성 신부전증 환자들에게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은 수술 후 신기능보존에 더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 받은 만성신부전 환자들의 수술 전후의 신기능을 조사함으로써 신기능의 자연 경과를 예측하고 나아가 수술후 신기능 악화시 투석 여부 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 중 수술 전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가 1.7 mg/dL 이상이었던 만성 신부전증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신기능을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 3 mg/dL를 기준으로 그 미만과(group 1) 이상인(group 2) 두 군으로 나누어 각 군에서의 신기능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투석의 영향을 배제한 신기능의 자연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술 전후에 투석을 시행받지 않았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신기능을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전에 투석을 시행 받고 있던 환자 8명은 수술 후 모두 투석을 지속하였고 수술 후에 새로 투석을 시작한 환자는 3명이었다. 전체 환자들의 수술 전 평균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는 4.19$\pm$3.4 mg/dL이었으며, 수술 후 크레아티닌 수치는 수술 후 3일에 4.36$\pm$2.7 mg/dL로 최고치를 보였고 수술 후 5일에 수술 전 수치로 회복되었다. Group 1의 경우에는 수술 전 평균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가 1.87 $\pm$0.25 mg/dL이었으며, 수술 후 4일에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가 최고를 보였으며(평균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2.19$\pm$0.52 mg/dL, p=0.017), 그 이후로는 감소하는 경과를 보였다. Croup 2의 경우에는 수술후 신기능의 변화에 있어서 유의한 결과를 관찰 할 수 없었다. 수술 전후 투석을 시행 받지 않았던 환자들에(n=15) 있어서도 수술 후 3일에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의 유의한 상승을 보였으며(p=0.017), 수술 후 5일 이후에는 자연 감소하는 경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1).크레아티닌 제거율을 조사했던 환자들에 있어서는 크레아티닌 제거율이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와 역비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 받은 만성 신부전증 환자들에 있어서 수술 후 3$\∼$4일까지는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가 상승하나 5일 이후에는 자연 감소하는 경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가 상승하더라도 환자의 상태에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상태가 아니라면 투석 여부는 수술 후 4일 이후에 결정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

Cis-Platinum의 이중독증에 관한 임상적 고찰 (Ototoxic Evaluation of Cis-platinum)

  • 홍원표;정명현;오혜경;이경재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7.1-17
    • /
    • 1982
  • 1965년 Rosenberg등은 platinum electrode가 platinum 복합물을 형성함으로써 E-coli의 세포분열과 성장을 억제할 뿐아니라 항암작용도 갖고 있다는 보고를 하였으며 그 후 Welsch (1971), Speer (1972), Rossof(1972), Hill (1974), 그리고 Wittes등(1975)에 의하여 동물 및 임상실험을 통하여 Cis-platinum이 악성종양 특히 두경부악성종양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짐에 따라서 Cis-platinum은 단독투여제 또는 Bleomyun, MTX등 다른 항암제와 함께 병용투여제로써 각광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Cis-platinum은 항암효과이외에 때때로 내이에 영향을 미쳐 회화영역이상의 고주파에서 청력장애를 초래할 뿐만아니라 renal tubule에도 불가역적인 병변을 초래 할 수 있다는 보고들이 있어서 우수한 항암효과에 도 불구하고 임상에서 사용제한을 받는 경우가 많다. 특히 청력장애에 대하여는 Kohonen등(1965), Stadnacki등(1974)이 guinea pig에서 Cis-platinum을 투여한 후에 와우각의 기저부에 중독작용을 보고한 이래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사람에서의 이 중독작용은 Piel(1974)과 Hong등(1979)의 보고등을 찾아볼 수 있을 정도이다. 이에 저자들은 1979년 7월부터 1982년 3월까지 2년 6개월간 두경부악성종양으로 이비인후과에 입원하였던 환자중 30례에서 Cis-platinum의 투여전과 투여후의 청력상을 비교해 이중독증의 여부와 그 정도를 규명하고 그 결과를 임상적적응에 이용하고저 본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is-platinum 투여전과 투여후 pure tone average, 4000Hz와 8000Hz의 hearing threshold, speech reception threshold, PB score, SISI를 측정한 결과 변화는 볼 수 없었다. 2)Cis-platinum총 투여량에 따른 청력상에도 변화가 없었다. 3) 투여전에 전음성난청과 감음성난청이 있었던 환자에게 Cis-platinum을 투여한 후의 청력상을 투여전에 청력이 정상이었던 환자와 비교한 결과 차이가 없었다. 4) Cis-platinum투여로 인한 혈색소, 백혈구수, 혈소판수는 변화가 없었다. 5) Creatinine Clearance, Creatinine, Uric acid의 변화를 본 결과 Cis-platinum 투여후에 변화는 없었으나 100mg을 1 회투여하였던 한 환자에게서 creatine clearance가 25ml/min로써 신중독증을 나타냈다. 6) Cis-platinum 투여시 hydration에 따른 전해질 특히 혈청내의 $K^{+}$치를 측정한 결과 투여전과 차이가 없었다. 7) 이상의 결과로 볼때 Cis-platinum 사용으로 인한 이중독증은 신장기능이 정상일때는 충분한 hydration으로써 예방이 가능하며 동시에 금기로 알려져왔던 감음성난청이 있는 두경부악성종양환자에서도 세심한 주의하에 적절히 사용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 PDF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소아 환자에서 cyclosporine의 집단 약동학 분석 (Population Pharmacokinetics of Cyclosporine afte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Pediatric Patients)

  • 조소연;강원구;이정;김재연;안숙희;곽혜선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4-29
    • /
    • 2018
  • Background: Cyclosporine is an immunosuppressive agent used to treat and prevent graft versus host reaction (GVHR)-a complication associated with stem cell transplantation.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population pharmacokinetic model of cyclosporine and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cyclosporine clearance in pediatr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patients. Methods: A total of 650 cyclosporine concentrations recorded in 65 patients who underwent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were used. Data including age, sex, weight, height, body surface area (BSA), type of disease, chemotherapy before stem cell transplantation, type of donor, serum creatinine levels, total bilirubin concentration, hematocrit value, and type of concomitant anti-fungal agents and methylprednisolone used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Data related to cyclosporine dosage, administration time, and blood concentration were also collected.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non-linear mixed effect model; a two-compartment model with first-order elimination was used. Results: The population pharmacokinetic model of cyclosporine using the NONMEM program was as follows: $CL(L/h)=5.9{\times}(BSA/1.2)^{0.9}$, V2 (L) = 54.5, Q (L/h) = 3.5, V3 (L) = 1080.0, $k_a(h^{-1})=0.000377$. BSA was selected as a covariate of cyclosporine clearance, which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BSA. Conclusion: A population pharmacokinetic model for Korean pediatr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patients was developed, and the important factor affecting cyclosporine clearance was found to be BSA. The model migh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most appropriate dosing regimen for cyclosporine. Further studies on population pharmacokinetics should be carried out, prospectively targeting pediatric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