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anberry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18초

LPS로 자극한 RAW264.7 세포에서 크랜베리 폴리페놀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Properties of Polyphenol Fractions from Cranberry Powder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 정하나;이기욱;황금택;곽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8호
    • /
    • pp.1241-124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LPS로 자극한 RAW264.7 세포를 이용하여 크랜베리에서 분리한 폴리페놀 분획물의 항산화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크랜베리 분말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EF)과 메탄올 분획(MF)은 C18-Sep-Pak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분리했다. 20시간 동안 LPS로 자극한 RAW264.7 세포는 활성산소종(ROS)과 DNA 손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EF, MF 및 TF(EF+MF)로 전처리하고 LPS로 자극한 RAW264.7 세포에서는 ROS와 DNA 손상이 유의적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Effects of cranberry powder on biomarkers of oxidative stress and glucose control in db/db mice

  • Kim, Mi Joung;Chung, Jee-Young;Kim, Jung Hee;Kwak, Ho-Ky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7권6호
    • /
    • pp.430-438
    • /
    • 2013
  • Increased oxidative stress in obese diabetes may have causal effects on diabetic complications, including dyslipidemia. Lipopolysccharides (LPS) along with an atherogenic diet have been found to increase oxidative stress and insulin resistance. Cranberry has been recognized as having beneficial effects on diseases related to oxidative stress. Therefore, we employed obese diabetic animals treated with an atherogenic diet and LPS, with the aim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ranberry powder (CP) on diabetic related metabolic conditions, including lipid profiles, serum insulin and glucose, and biomarkers of oxidative stress. Forty C57BL/KsJ-db/db mice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ve groups: normal diet + saline, atherogenic diet + saline, atherogenic diet + LPS, atherogenic diet + 5% CP + LPS, and atherogenic diet + 10% CP + LPS. Consumption of an atherogenic diet resulted in elevation of serum total cholesterol and atherogenic index (AI) and reduction of high density lipoprotein (HDL)-cholesterol. However, with 10% CP, the increase in mean HDL-cholesterol level was close to that of the group with a normal diet, whereas AI was maintained at a higher level than that of the group with a normal diet. LPS induced elevated serum insulin level was lowered by greater than 60% with CP (P < 0.05), and mean serum glucose level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19% with 5% CP (P > 0.05). Mean activity of liver cytosolic glutathione peroxida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LPS injection, however it was reduced back to the value without LPS when the diet was fortified with 10% CP (P < 0.05). In groups with CP, a reduction in mean levels of serum protein carbonyl tended to occur in a dose dependent manner. Particularly with 10% CP, a reduction of approximately 89% was observed (P > 0.05).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fortification of the atherogenic diet with CP may have potential health benefits for obese diabetes with high oxidative stress, by modulation of physical conditions, including some biomarkers of oxidative stress.

Detec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Commercial Berries

  • Cho, Kyu-Bo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33-338
    • /
    • 201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microbial contamination of Aronia melanocarpa, blueberry, raspberry, and cranberry sold in several markets. We investigated total aerobic bacteria and detected foodborne bacteria by multiplex PCR from Aronia melanocarpa, blueberry, raspberry, and cranberry. Total aerobic bacteria of each sample showed mean 3.54 log CFU/g for Aronia melanocarpa, mean 1.90 log CFU/g for blueberry, and mean 1.40 log CFU/g for raspberry, but not detected in cranberry. Specially, Aronia melanocarpa contained high total aerobic bacteria contamination among various berries and contamination level reached 4.17 log CFU/g in sample 5. To evaluate the effect of distribution conditions, we also investigated total aerobic bacteria of various berries. Total aerobic bacteria showed mean 2.89 log CFU/g for berries in refrigerated distribution and 1.40 log CFU/g in frozen distribution, but not in dry distribution. For assessment of foodborne bacteria contamination, we conducted PCR with multiplex primers of E. coli O157, S. aureus, B. cereus, V. parahaemolyticus, L. monocytogenes, Y. enterocolitica, Salmonella spp., Shigella spp. Among these foodborne bacteria, B. cereus was amplified in Aronia melanocarpa in sample 4 and blueberry in sample 1, 2, 3, and 5. The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of B. cereus contamination showed 4.08 log CFU/g of Aronia melanocarpa in sample 4 and higher contamination rate 4.07 log CFU/g of blueberry in sample 3.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rict food safety control in harvest and distribution of various berries is necessary to prevent foodborne disease and improve microbiological safety.

크랜베리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 (Quality and Antioxidant Attributes of Cookies Supplemented with Cranberry Powder)

  • 최지은;이준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32-135
    • /
    • 2015
  • 크랜베리 분말을 0, 2, 4, 6, 8%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의 이화학적 품질, 항산화 활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pH는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나, 2-4%, 6-8%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p>0.05). 크랜베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함량과 퍼짐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5), 밀도는 대조군이 첨가군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대조군의 경도는 8% 첨가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그 외의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p>0.05). 시료의 $L^*$값과 $b^*$값은 각각 52.26-76.65, 17.69-35.69 범위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반면 $a^*$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전자공여능은 크랜베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소비자 선호도 검사 결과, 향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4% 첨가군이 다른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p<0.05), 따라서 관능적 품질 및 기능성 효과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최적의 첨가농도는 4%가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크랜베리 농축액을 첨가한 젤리의 품질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Gelatin Jelly Incorporated with Cranberry Concentrate)

  • 이준호;지여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1100-1103
    • /
    • 2015
  • 크랜베리 농축액의 첨가량을 0~15%로 달리하여 젤리를 제조한 후 물리화학적 품질, 항산화 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비교하였다. 크랜베리 농축액의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젤리의 pH와 경도는 감소하였고,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은 농축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농축액 첨가에 따라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첨가 농도와 직접적인 연관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농축액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며 증가하였다(P<0.05).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6% 첨가군이 대부분의 평가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고, 특히 전체적인 기호도 측면에서도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어 젤리의 관능품질과 건강기능성 효과 등을 고려할 때 최적 첨가 농도로 6%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레몬과 크랜베리즙이 닭 다리육의 저장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mon and Cranberry Juice on the Quality of Chicken Thigh Meat during Cold Storage)

  • 김동욱;김희진;김혜진;김정수;김한나;;강석원;곽현아;장애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3-62
    • /
    • 2018
  • 본 연구는 레몬즙과 크랜베리즙에 닭 다리육을 침지하여 저장성 증진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닭 다리육을 멸균수에 침지한 대조구(CON), 1% 레몬즙에 침지한 처리구(LJ), 1% 크랜베리즙에 침지한 처리구(CJ), 0.5% 레몬즙과 0.5% 크랜베리즙을 혼합하여 침지한 처리구(LCJ)이었다. 닭 다리육을 레몬즙과 크랜베리즙에 20분간 침지시킨 후 $4{\pm}1^{\circ}C$ 냉장실에서 0, 3, 6, 9일 동안 저장하면서 pH, 총균수, 육색, 관능적 특성, 지방산패도, 휘발성 염기태질소, 전자코를 이용하여 향기패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저장 3일차부터 모든 처리구는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P<0.05) 낮은 총균수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종합적 기호도는 저장 3일차부터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지방산패도와 휘발성 염기태 질소 함량도 저장 3일차부터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어 레몬즙과 크랜베리즙의 처리가 저장기간 동안 닭 다리육의 부패를 억제시킨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저장 3일차부터 처리구의 분포가 대조구와 구분되는 전자코 향기분석 결과와 유사하였다. 결과적으로 1% 천연 레몬즙과 크랜베리즙의 처리는 저장기간 동안 닭 다리육의 지방 산패와 단백질 부패를 억제하여 관능적인 특성의 감소를 지연시켜 저장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베리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Various Berries Ethanolic Extract)

  • 이화;정종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9-56
    • /
    • 2015
  • Edible berries are rich in anthocyanins and phenolic acids, compounds that posses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other biological activitie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five berries including acaiberry (Euterpe oleracea Mart.), Aronia/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blueberry (Vaccinium angustifolium), black currant (Ribes nigrum L.), and cranberry (Vaccinium macrocarpon) were assessed. The Aronia G (prepared by GreenField s.c.) exhibit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ies as shown in total phenolic (138.81 mg CAE/g), flavonoid (3.68 mg QE/g), and anthocyanin (20.31 mg/g) contents compared to the other berries. It also showed the strongest scavenging activities such as DPPH (69.69 mg vitamin C/g)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757.79{\mu}mol$ trolox/g). Aronia G exhibited strong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553.98{\mu}mol$ vitamin C/g),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820.92{\mu}mol$ trolox/g). In addition, black currant and Aronia showed stronger inhibi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 than the other berrie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Aronia and other edible berries have notably high level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y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가공식품 중 천연유래 보존료 함량에 대한 조사 (Monitoring of Natural Preservative Levels in Food Products)

  • 박은령;이선규;황혜신;문춘선;곽인신;김옥희;이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1640-1646
    • /
    • 2008
  • 보존료를 인위적으로 첨가하지 않았음에도 프로피온산, 안식향산이 천연 원료로부터 이행되거나 발효 및 숙성과정에서 미생물의 대사산물로써 생성되는 제품군들을 선정하여 berry류, 건강기능식품, 식초음료류, 초(염)절임류 등 4그룹으로 분류하였다. 145건의 시료로부터 안식향산과 프로피온산의 함량과 재래식 발효법에 의한 감식초의 담금, 발효기간에 따른 프로피온산의 함량변화를 조사하였다. 재래식 방법으로 담금한 감식초에서 발효과정 중의 프로피온산 생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식품 중 안식향산과 프로피온산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제조공정 중 안식향산 및 프로피온산을 사용하지 않은 식품 중 berry류(푸룬, 크랜베리), 건강기능식품(프로폴리스추출물제품, 인삼제품), 식초음료류(식초음료베이스, 식초혼합음료, 과실식초), 절임류(올리브제품, 염절임류, 오이피클류, 초절임류) 등 145건을 분석한 결과, 145건의 시료 중 144건의 시료에서 안식향산이 검출되었으며, 크랜베리와 프로폴리스 추출물제품 중에는 최대 약 500 ppm 농도의 안식향산이 원료로부터 천연유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피온산은 시료 64건에서만 검출되었으며, 프로폴리스 추출물 제품의 경우 원료로부터 천연유래 된 것으로 나타났고, 과실식초음료류와 올리브 제품의 경우는 식품의 제조과정 중 발효 및 숙성에 의한 부산물로써 천연유래된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과채류 농축액의 항산화 및 상승효과 (Antioxidant and Synergistic Activities of Fruit and Vegetable Concentrates)

  • 정수지;심희령;이지수;남희섭;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40-245
    • /
    • 2015
  • 대표적인 항산화 식품들의 혼합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변화와 가장 우수한 상승작용을 나타내는 복합군 및 그 혼합 비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과일류 8종(라즈베리, 블랙베리, 블루베리, 아사이베리, 크랜베리, 산머루, 적포도, 아로니아)와 채소류 2종(시금치, 양배추)의 총 페놀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전체 시료 중 아사이베리가 총 페놀함량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DPPH 라디컬 소거능과 FRAP 환원능 모두에서 가장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항산화 상승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총 10종의 시료를 활성 비율 1:1로 혼합한 45군의 복합군의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컬과 FRAP 환원능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DPPH 라디컬 소거능 측면에서는 양배추+아사이베리가 가장 높은 상승작용을 나타냈으며 50:50의 활성비율에서 8.7%의 유의적으로 높은 상승효과를 나타냈다. FRAP 환원능에서는 블루베리+크랜베리가 가장 높은 상승작용을 나타냈으며 30:70의 활성비율에서 12%의 유의적으로 높은 상승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DPPH 라디컬 소거능과 FRAP 환원능 모두에서 상승작용을 나타낸 양배추+적포도 복합군은 활성비율 70:30(%:%)에서 산출값과 비교했을 때 DPPH 라디컬 소거능과 FRAP환원능 모두 산출값보다 약 17%와 11%가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항산화 식품간의 혼합에 의해 항산화 상승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었으며 혼합비율에 따라 상승효과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항산화 식품들간의 상승작용을 이용한 활성 개선 및 상승작용의 기전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erging the old with the new: a cybermedicine marriage for oncology interactions with traditional herbal therapies and complementary medicines

  • Yap, Kevin Yi-Lwern;Lim, Ken Juin
    • 셀메드
    • /
    • 제2권2호
    • /
    • pp.18.1-18.16
    • /
    • 2012
  • An oncology-specific database called OncoRx (http://bit.ly/cancerRx) was previously set up in cyberspace to aid clinicians in identifying interactions of anticancer drugs (ACDs) and chemotherapy regimens with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TCMs) an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CAMs). Since then, users have requested the drug-CAM interactions (DCIs) of 5 specific CAMs (cranberry, melatonin, co-enzyme Q10, huachansu, reishi mushroom) to be updated in the database. Pharmacokinetic properties (metabolism, enzyme induction/inhibition, elimination), TCM properties and DCIs of each CAM were collated with 117 ACDs using 9 hardcopy compendia and online databases as resources. Additionally, individual ACDs and CAMs were used as keywords for PubMed searches in combination with the terms 'anticancer drugs', 'drug interactions', 'herb-drug/drug-herb interactions', 'pharmacokinetic interactions' and 'pharmacodynamic interactions'. DCI parameters consisted of interaction effects, evidence summaries, proposed management plans and alternative non-interacting CAMs, together with relevant citations and update dates of the DCIs. OncoRx is also used as a case to introduce the "Four Pharmaco-cybernetic Maxims" of quality, quantity, relationship and manner to developers of digital healthcare tools. Its role in Hayne's "5S" hierarchy of research evidence is also presented. OncoRx is meant to complement existing DCI resources for clinicians and alternative medicine practitioners as an additional drug information resource that provides evidence-based DCI information for ACD-CAM inter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