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vid19

검색결과 4,087건 처리시간 0.026초

Covid 19 News Data Analysis and Visualization

  • Hur, Tai-Sung;Hwang, In-Y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37-43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2019년 12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약 8개월간 유통되었던 코로나19와 관련된 뉴스데이터를 이용하여 일자 및 지역별로 단어에 대한 빈도를 구하고, 결과를 활용하여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현황 데이터와의 상관관계를 시각화하였다. 뉴스데이터는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뉴스 빅데이터 시스템 '빅카인즈'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각화 시스템은 지역과 기간을 선택하면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전체 지역 대비 선택한 지역의 뉴스 빈도수, 선택한 지역의 주요 키워드, 주요 키워드의 지역별, 일자별 변화 등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시각화를 통하여 이전에 발생하였던 사건에 대해 주요 키워드와 코로나19 확진자 및 감염자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임상적 소견 및 영상의학적 소견: 세 증례를 통한 한국의 경험 (Clinical and Radiologic Findings of COVID-19 Pneumonia: South Korean Experience from Three Cases)

  • 이형주;문정원;우지영;김유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583-590
    • /
    • 2020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전 세계적에서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몇몇 논문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상의학적 소견들이 보고되었다. 우리는 한국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확진된 세 명의 환자에 대한 임상적 소견과 흉부 일반촬영 및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나타난 영상의학적 소견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코로나19로 인한 식품 소비행태 변화분석: MZ세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Food Consumption Behavior due to COVID-19: Focusing on MZ Generation)

  • 이홍승;김준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47-54
    • /
    • 2021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구매패턴이 1인 가구와 맞벌이 부부의 증가 등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변화로 이미 변경되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의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그 변화가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망된다. 이를 위해 전문조사업체인 닐슨코리아의 패널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한 분석결과를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특히 소비자를 2개의 세대 그룹(Z세대 vs. 밀레니얼세대)으로 나누어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소비활동 변화와 식품구매 행태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 기존 온라인 유통이 강화되어가고 있던 추세가 코로나19로 인해 그 영향이 증폭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세대별로 코로나19 우려 정도의 차이에 따라 소비행동도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속화하고 있는 '언택트' 중심으로 소비자들의 행동변화를 새로운 기회로 전환시키는데 있어 관련된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으로는 식품업계의 대응전략에 대한 관리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e association between COVID-19 Knowledge, perception of infection control and infection control practice among dental hygienists

  • Seon-Rye,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171-179
    • /
    • 2023
  • 이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후 치과감염관리실태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치과위생사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에 관한 지식과 감염관리인식, 감염관리실행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사이의 연관성을 측정하였다. 일반적 질문 9개, 코로나19 지식 10개,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행에 관한 36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1년 5월 1일부터 31일까지 조사된 120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T검정, 분산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 지식은 10점 중 6.59점, 감염관리 인식은 4점 중 3.57점, 감염관리 실행은 4점중 3.55점이었다. 코로나19 지식과 감염관리 실행은 0.485 양의 상관관계, 감염관리 인식과 감염관리 실행은 0.614 양의 상관관계로 코로나19 지식보다 상관관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치과에서 치과위생사들에게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을 의무화하고, 치과감염관리 매뉴얼에 따라 감염관리 실행을 의무화해야 할 것이다.

코로나19 두려움과 아동의 생활역량 간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 연구 (The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s of COVID-19 and Life Competencies of Children)

  • 김웅수;김재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827-83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두려움이 아동의 생활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연구수행을 위해 K지역에 살고 있는 아동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아동 250명을 연구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코로나19 두려움이 높을수록 아동의 생활역량은 낮아져 아동의 생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코로나19 두려움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코로나19 두려움과 생활역량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와 같은 사회적 재난 위기에서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 아동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조절하고 생활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융복합적 개입 및 실천 전략을 제시하였다.

Social Distancing and Public Health Guidelines at Workplaces in Korea: Responses to Coronavirus Disease-19

  • Kim, Eun-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3호
    • /
    • pp.275-283
    • /
    • 2020
  • Background: In the absence of a vaccine or treatment, the most pragmatic strategies against an infectious disease pandemic are extensive early detection testing and social distancing. This study aimed to summarize public and workplace responses to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 and show how the Korean system has operat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 Daily briefings from the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the Central Disaster Management Headquarters were assembled from January 20 to May 15, 2020. Results: By May 15, 2020, 11,018 COVID-19 cases were identified, of which 15.7% occurred in workplaces such as health-care facilities, call centers, sports clubs, coin karaoke, and nightlife destinations. When the first confirmed case was diagnosed, the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Central Disaster Management Headquarters responded quickly, emphasizing early detection with numerous tests and a social distancing policy. This slowed the spread of infection without intensive containment, shut down, or mitigation interventions. After entering the public health blue alert level, a business continuity plan was distributed. After entering the orange level,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developed workplace guidelines for COVID-19 consisting of social distancing, flexible working schedules, early identification of workers with suspected infections, and disinfection of workplaces. Owing to the intensive workplace social distancing policy, workplaces remained safe with only small sporadic group infections. Conclusion: The workplace social distancing policy with timely implementation of specific guidelines was a key to preventing a large outbreak of COVID-19 in Korean workplaces. However, sporadic incidents of COVID-19 are still ongoing, and risk assessment in vulnerable workplaces should be continued.

치과위생사의 코로나19 감염관련 지식, 감염관리 수행 및 사회심리적 건강 관련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 of COVID-19 infection related knowledg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nd psychosocial well-being of dental hygienists)

  • 문상은;양진주;홍선화;이보람;김희정;서가혜;김은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75-683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relations of COVID-19 infection-related knowledge, dental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nd psychosocial health of dental hygienists. Methods: From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ith a total of 198 dental hygienists using SPSS Statistics 21.0. Results: The correct answer rate for knowledge about COVID-19 was higher with a bachelor's degree or higher. Thus, when the level of education was higher, the performance was also high (p<0.01). COVID-19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was highly shown in case of high age (4.43) (p<0.05) and the married (4.42) (p<0.01).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was high when they had an educational experience of COVID-19 infection control (4.46), and when the infection control guidebooks were equipped in their workplaces (p<0.001). Degree of psychosocial health of research subjects was shown in the order of potential stress (60.6%), high-risk stress (23.7%), and healthy (15.7%).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was higher, the psychosocial health was healthy. Conclusions: For the response to COVID-19 infectious disease and the preparation for mutated viruses and new infectious diseases in the future,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ncrete measures for establishing the strict infection control system for dental clinics and also enhancing the psychosocial health of dental hygienists.

COVID-19 판데믹 전후의 컨테이너해운업 동향분석과 해운재건을 위한 정책 방향 제언 (Trend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Container Shipping Industry Before and After COVID-19 Pandemic)

  • 이태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9-31
    • /
    • 2021
  • 이 연구는 COVID-19 판데믹 전후 즉, 2019년부터 2021년 현재까지의 해운경기와 동향분석을 통해 이번 컨테이너 해운호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그 원인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 연구는 우리 해운기업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정책방향을 제언하였다. 연구 결과, COVID-19 확산이 유발한 수요감소에 대한 대응으로 선사들이 선박가동중단(idle)을 늘렸다는 언론 보도와는 다르게 스크러버 설치를 위해 가동중단선박이 급속히 늘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언한 정책방향으로는 선박공급과잉의 원인 분석과 해운산업 증요성에 대한 전국민적 공감대 확보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해운정책으로 인해 오히려 선박공급과잉이 심화되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는 것, 두 번째, 해운정책의 기조 특히, 호황기 정책 기조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것, 세 번째, 불황기 공급확장 정책 이외에 호황기 공급조절 정책과 같은 해운정책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한다는 것 등이다. 마지막으로, 정책 당국과 해운 관련 국책연구기관의 해운경기 예측력을 제고시켜야 하며, 지속적으로 선사CEO 대상 선박투자 세미나를 개최하고, S&P 전문가 및 해운시장 분석가를 양성해야 할 것을 주장하였다.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19 and Dental Masks

  • Kim, Ji-Hyun;Kim, Min-Yo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
    • /
    • 2021
  • Background: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is transmitted primarily through droplets, and dental practitioners are at risk of occupational exposure to SARS-CoV-2 infection owing to direct contact with the patient's mouth, aerosols from dental procedures, and saliva. Wearing a mask is believed to be the best method of protection against infection, an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whether the dental masks used in dentistry are effective in preventing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19 (COVID-19). Methods: We used PubMed, Google Scholar, DBpia, NDSL, and KISS databases for this study. Of the 917 documents narrowed down by the search terms "Coronavirus, COVID-19, and dental," 83 documents were collected and studied. Ultimately, 42 of these pape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fter considering duplication from the flow chart of the literature selection process. Results: While dental masks are often used when treating patients with unknown COVID-19 status,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tated that the use of dental masks is insufficient in preventing cross-transmission of COVID-19; instead, it was recommended that N95 masks, which correspond to KF94 masks, should be worn daily. On the other hand, wearing a dental mask and following precautions such as hand hygiene may not pose a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infection than wearing an N95 mask when treating COVID-19 patients. Conclusion: There is an ongoing discussion regarding the use of dental masks when treating dental patients, and many argue that different types of masks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fection and the individual's respiratory condition. By considering the safety and efficacy of dental masks in preventing infection, improvements can be made in the management of COVID-19 and dental-related infections.

지역별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코로나 19 대응 현황과 지식, 태도, 지지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Current State of Response to COVID-19, Knowledge, Attitudes, and Support of Local Public Health Care Practitioners)

  • 임은실;서인주;김순구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7-65
    • /
    • 2020
  •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status of dispatch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health care in response to COVID-19 according to location of primary health care posts and the practitioners' knowledge, attitude and support related to COVID-19. Methods: Among the 193 practitioners surveyed, 175 people in Chungcheong-do, Jeolla-do and Gyeongsang-do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according to work status and differences in knowledge, attitude and support. Data were analyzed using χ2 and one-way ANOVA, followed by a Scheffé-test.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region in the number of days and places for dispatch teams to respond to COVID-19.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upport, the overall score was low, but Gyeongsang-do, which had the longest number of dispatch days due the occurrence of a large-scale confirmation of patients, showed higher support compared to other regions. Knowledge of COVID-19 was high, but there were no regional differences. Conclusion: Regarding performance of COVID-19 response tasks, the support level was low, indicating that psychological support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from the local government are requir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 for the provision of alternative services to prevent a work gap in health clin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