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end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Container Shipping Industry Before and After COVID-19 Pandemic

COVID-19 판데믹 전후의 컨테이너해운업 동향분석과 해운재건을 위한 정책 방향 제언

  • 이태휘 (경상국립대학교 상경대학 스마트유통물류학과)
  • Received : 2021.01.30
  • Accepted : 2021.07.04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is study is aming at analysing the current trend of container shipping industry before and after COVID-19 Pandemic circumstances. Also, this study offers the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Korean Shipping Nation Rebuild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everal global shipping lines have decreased their ship capacity in response t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s environmental regulation. This finding is differ from the media reports, that is many shipping companies increased idling vessel to match the lower demand induced COVID-19 pandemic. This study also provides the two implications of the direction about Korean shipping policy. The first one is that the casual relationship of over-vessels' supply and Korea shipping policy is needed to be thoroughly analyzed. The importance of Koreans shipping industry is generally devaluated by most citizens so as to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develop the mass media contents to enlighten the less wellknown people regarding shipping industry.

이 연구는 COVID-19 판데믹 전후 즉, 2019년부터 2021년 현재까지의 해운경기와 동향분석을 통해 이번 컨테이너 해운호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그 원인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 연구는 우리 해운기업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정책방향을 제언하였다. 연구 결과, COVID-19 확산이 유발한 수요감소에 대한 대응으로 선사들이 선박가동중단(idle)을 늘렸다는 언론 보도와는 다르게 스크러버 설치를 위해 가동중단선박이 급속히 늘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언한 정책방향으로는 선박공급과잉의 원인 분석과 해운산업 증요성에 대한 전국민적 공감대 확보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해운정책으로 인해 오히려 선박공급과잉이 심화되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는 것, 두 번째, 해운정책의 기조 특히, 호황기 정책 기조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것, 세 번째, 불황기 공급확장 정책 이외에 호황기 공급조절 정책과 같은 해운정책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한다는 것 등이다. 마지막으로, 정책 당국과 해운 관련 국책연구기관의 해운경기 예측력을 제고시켜야 하며, 지속적으로 선사CEO 대상 선박투자 세미나를 개최하고, S&P 전문가 및 해운시장 분석가를 양성해야 할 것을 주장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2022년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회계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고병욱(2009), 우리나라 톤세 제도 도입의 타당성 분석- 2005년~2007년 간 자료를 중심으로 -, 해운물류연구, 제25권 제3호, 565-596.
  2. 김성범, 전준우, 여기태(2015),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해운정책이 우리나라 외항선대 증가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1권 제2호, 23-40.
  3. 김성범, 정현재, 이호영, 여기태(2013), 우리나라 해운기업의 선박확보 투자 의사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9권 제2호, 137-157.
  4. 김성준(2006), 산업혁명과 해운산업, 혜안
  5. 김형태(2009), 톤세제 도입의 경제효과 분석(2005-2007), 해운물류연구, 제25권 제2호, 217-236.
  6. 박종록(2020), 한국해운과 해운정책, 박영사
  7. 배동진(2010), 불확실성하에서 한국해운산업 의사결정 구조연구 - 선박투자를 중심으로 -,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신동식(2012) 톤세제 도입이 해운기업의 선박투자에 미치는 효과 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양창호(1997), 케이프사이즈 건화물선 해운경기변동모형추정,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최기영, 박용안(2009) 한국 해운산업 구조조정 및 경쟁력 제고정책에 대한 분석, 해운물류연구, 제25권 제3호, 487-507.
  11. 이청환(2016), 회귀모델과 게임모델을 이용한 해운선사의 신조선 발주 특성 분석에 대한 연구, 목포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태우, 장영태, 신성호(2006),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운송부문별 국민경제적 파급효과의 상호비교분석, 해운물류연구, 제51권, 47-67.
  13. 이태휘(2018), 한국 해운기업의 선박투자 동조화 경향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34권 제3호, 413-430.
  14. 이태휘, 여기태(2015), 시황 변동에 따른 선박투자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31권 제3호, 529-579.
  15. 전기정, 전준우, 양창호, 여기태(2016), 세계 주요 정기선사의 선박 투자전략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7호 145-154. https://doi.org/10.14400/JDC.2016.14.7.145
  16. 정봉민, 마문식, 이호춘(2004), 해운.항만산업의 국가경제 기여도 분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7. 코트라(2020), 코로나 19가 바꾼 미국 소비 트렌드
  18. ALPHALINER Weekly Newsletter, Vol 2021 Issue 2.
  19. Duru, O.(2013), Irrational Exuberance, Overconfidence and Short-Termism: Knowledge-to-Action Asymmetry in Shipping Asset Management, The Asian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Vol. 29, No.1, 43-58. https://doi.org/10.1016/j.ajsl.2013.05.003
  20. Kwak, S. J., Yoon, S. H. and Chang, J. I.(2005), The role of the maritime industry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Marine Policy, Volume 29 Issue 4, 371-383. https://doi.org/10.1016/j.marpol.2004.06.004
  21. Lee, T. T. H. and Yip, T. L.(2018), A Cause of Oversupply and Failure in the Shipping Market: Measuring Herding Behavior Effects, Maritime Policy & Management, Vol 45, Issue 8, 995-1006. https://doi.org/10.1080/03088839.2018.1454990
  22. Papapostolou, N. C., Pouliasis, P.K. and Kryiakou, I.(2017), Herding behavior in the drybulk market: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decision to invest in new and retire existing fleet capacity, Transport Research Part E, Vol. 104, 36-51. https://doi.org/10.1016/j.tre.2017.05.007
  23. Roll, R.(1998), R2, The Journal of Finance, Vol.43 No.3, 541-566.
  24. Shinaohara, M.(2009), Paradigm Shift in Maritime Transport, The Asian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Vol. 25, Issue. 1, 57-67. https://doi.org/10.1016/S2092-5212(09)80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