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vert narcissism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2초

내·외현적 자기애, 자기통제 및 또래 비속어 사용이 학령기 남녀 아동의 비속어 사용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vert, Overt Narcissism, Self-control and Peers' Vulgar Slang Use on School Aged Boys' and Girls' Vulgar Slang Use)

  • 석승림;민하영
    • 아동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35-4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overt narcissism, self-control, and peers' vulgar slang use and school aged boys' and girls' vulgar slang use. The subjects consisted of 263 boys and 256 girls in the 5th and 6th grade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means of t-test,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19.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chool aged boys' and girls' vulgar slang was found to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vert/overt narcissism. 2) School aged boys' and girls' vulgar slang use was found to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self-control. 3) School aged boys' and girls' vulgar slang use was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ers' vulgar slang use 4) Among the variables of covert/overt narcissism, self-control, and peers' vulgar slang use, peers' vulgar slang use was the best predictor for school aged boys' and girls' vulgar slang use.

전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s of Covert Narcissism on SNS Addiction Proneness of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yles)

  • 김종운;이수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30-54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전문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470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SNS 중독경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한 후, 상관분석과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현적 자기애,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SNS 중독경향성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있으며,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내현적 자기애를 가진 사람들이 스트레스 해소의 방법으로 SNS를 더 자주 사용하고 중독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이해와 치료적 교육적 접근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대학생의 성인 애착과 내현적 자기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and Covert Narcissism on Smartphone Addiction in College Students)

  • 이영창;김남희;권성진;김보성
    • 감성과학
    • /
    • 제23권1호
    • /
    • pp.103-112
    • /
    • 2020
  •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이 된 스마트폰은 단순히 생활필수품을 넘어 현대인들이 과도하게 몰입하게 되는 대상이 되었다. 이로 인해 현대인들의 다수는 스마트폰 중독 현상에 노출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대상 중독 현상은 대상물 자체의 문제를 넘어 이를 이용하는 대상자들의 심리적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써 대학생들의 성인 애착과 내현적 자기애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중독 척도, 성인 애착 척도, 내현적 자기애의 척도를 각각 사용하여, 스마트폰 중독, 성인 애착 및 내현적 자기애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성인 애착정도와 내현적 자기애 정도를 독립 변인으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불안 애착과 내현적 자기애의 과민/취약성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이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자들의 심리적 특성 요소들의 영향에 따라 서로 다른 접근방법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와의 관계: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Expression of Anger)

  • 남귀숙;이수진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1호
    • /
    • pp.87-10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데이트 폭력 가해와의 관계에서 역기능 및 기능적 분노표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때 남녀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부산지역의 대학생 399(남 133명, 여 206명)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내현적 자기애 척도(Covert Narcissism Scale: CNS), 갈등책략척도(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 2: CTS-2),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The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 역기능 및 기능적 분노표현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 역기능 및 기능적 분노표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역기능 및 기능적 분노표현의 매개효과를 성별로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역기능적 분노표현은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적 분노표현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여학생의 역기능적 분노표현도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적 분노표현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데이트 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완전매개함을 확인함으로써,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높아지고,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높을수록 데이트 폭력 가해를 행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내현적 자기애 성향자들의 분노를 기능적으로 적절히 다룰 수 있는 분노조절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데이트 폭력의 예방 및 상담에 적용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서의 내현적 자기애에 관한 연구 : 익명성, 실재감, 상호작용성, 성취 동기와의 연관 (A Study of Covert Narcissism in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 Relationship to Anonymity, Presence, Interactiv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 최원희;손정우;김영랑;이상익;신철진;김시경;주가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2권2호
    • /
    • pp.103-111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compared covert narcissistic propensity in adolescents with internet addiction tendency to normal adolescents. Further,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such propensities and anonymity in cyberspace, presence feeling and interactivity in internet gaming,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adolescents with internet addiction tendencies. Methods : Mal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rnet addiction tendencies (Addiction Tendency Group, N=27) and normal students (Control Group, N=29) were recruited. The scale of internet use, Covert Narcissism Scale, scale of achievement motivation, scale of anonymity in cyberspace, scale of presence feeling in internet games, and the scale of interactivity in internet games were administered. A comparison of the average scores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 1)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Addiction Tendenc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all subscales of the Covert Narcissism Scale, and both the scale of presence feeling and that of interactivity in internet games. Further, the score on the scale of achievement motivation for the Addiction Tendency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2) In the Addiction Tendency Group, the scores on several subscales of the Covert Narcissism Scale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s on the scale of presence feeling in internet games, anonymity in cyberspace, and interactivity in internet games. However, in the Control Group, the scores of several subscales on the Covert Narcissism Scale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n the scale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n the scale of interactivity in internet games. There were no other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cores on the subscales of the Covert Narcissism Scale and the scores of either presence feeling in internet games or anonymity in cyberspace.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dolescents with a tendency to be addicted to the internet exhibited higher covert narcissistic propensities than normal adolescents and that the covert narcissistic tendencies were related with presence feeling in cyber games as well as with anonymity in cyberspace.

배우자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Spouse's Covert Narcissism and Marital Satisfaction :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 김성미;이수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86-201
    • /
    • 2018
  • 본 연구는 지각된 배우자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적응적/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 기혼자 300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결혼만족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SPSS 23.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배우자의 내현적 자기애의 경우 결혼만족도 및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인 반면,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결혼만족도의 경우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적응적/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지각된 배우자의 내현적 자기애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과 내현적자기애, 대인관계능력 및 자기효능감과의 인과적 관계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Academic Resilience, Covert Narcissism,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서요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156-1174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 내현적자기애, 대인관계능력 및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및 이들의 경로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소재 3개 대학교의 간호대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 내현적자기애, 대인관계능력 및 자기효능감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내현적자기애, 대인관계능력 및 자기효능감은 학업탄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자기효능감은 내현적자기애와 학업탄력성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이지만 경쟁효과인 억제효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은 대인관계능력과 학업탄력성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과 관련 요인을 고려한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f Nursing Students on Nursing Professionalism :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 정미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5-141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J소재 3개 대학교의 간호대학생 375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간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간호전문직관, 지각된 사회적 지지, 대인관계능력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는 대인관계능력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대인관계능력은 내현적 자기애와 간호전문직관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은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간호전문직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강화하기 위해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중학생의 SNS중독 경향성에 있어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 자아존중감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Covert Narcissism, Sense of Alienation, and Self-Esteem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 조소연;정주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25-140
    • /
    • 2017
  • 본 연구는 중학생의 SNS중독경향성을 중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와 영향력을 살펴보고,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주일 이내에 SNS이용 경험이 있는 중학교 1~3학년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341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과 SNS중독경향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자아존중감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이 높을수록 SNS중독경향성이 더 높게 나타난 반면,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SNS중독경향성은 낮게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과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은 직접적으로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매개변인인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즉,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아지고 이는 SNS중독경향성을 더 높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올바른 네트워크 문화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상생활에서도 통용될 수 있는 적합한 SNS이용에 대해 교육과 건강하고 바람직한 SNS문화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스스로 통제하고 조절하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재미 한인 기혼자의 내현적 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 용서와 공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ert Narcissism and Marital Satisfaction of Korean-Americans: The Mediating Effects of Forgiveness and Empathy)

  • 정수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12-426
    • /
    • 2019
  • 본 연구는 재미 한인 기혼자를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용서, 공감, 결혼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성별과 결혼년수에 따른 내현적 자기애, 용서, 공감, 결혼만족도의 차이, 용서와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 성별에 따른 구조적 관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 아리조나, 텍사스 지역에 거주하는 기혼남녀 24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는 용서, 공감, 결혼만족도와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용서, 공감, 결혼만족도 간에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성별과 결혼년수에 따라 용서, 결혼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과 용서는 내현적 자기애와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혼남성의 경우 내현적 자기애가 공감에 미치는 영향력, 공감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력 그리고 공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한편, 기혼여성의 경우에는 내현적 자기애가 용서에 미치는 영향력, 용서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