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rt records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2초

19세기말 서구식 대례복 제도에 대한 조선의 최초 시각 -서계(書契) 접수 문제를 통해- (The First Perspective on Western-style Court Costumes in the Late 19th Century of Joseon Dynasty -Through the Problems Receiving the New Styled Credential-)

  • 이경미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732-74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Joseon dynastyis first perspective on the Western-style Court Costume which was newly introduced to Joseon through the problems receiving the credential that Japan had sent in new style. For this study, the records of Joseon and Japan at that period have been analyze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a critical argument on the Western-style Court Costume occurred just before the Port Opening because whether wearing a western costume was the key factor in Joseon dynastyis receiving the credential that Japan had send in new style. Second, Japan received western costume as its domestic courtesy system by establishing the Court Costume of Civil servants in 1872 and consequently Japan established new ceremony procedure of western-style bow in 1875. Third, Joseon dynasty officially opposed to the Western-style Court Costume when Japan sent the credential, because the western costume selected by Japan had beenregarded as that of western barbarian at that time in Joseon. Accordingly, it seems reasonable that before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ostume into Joseon dynasty, an open-door policy for the West had been a prior settlement for Joseon dynasty regardless of the details of Western-style Court Costume. And also, the pride of civilization of Joseon dynasty, which has been used to express Joseon dynastyis identity as Joseon-centrism, had to be converted before the open-door policy. Ultimately,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reception of the Western-style Court Costume had been raised as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problems in the circumstances when the submissive relationship in the traditional Eastern- Asia had been forced to be converted to modern sovereign international relationship.

법원도서관 장서의 미래 보존 전략 제안을 위한 연구 (A Study to Propose Future Preservation Strategies for the Court Library Collection)

  • 곽승진;노영희;장인호;김정택;고재민;강봉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33-56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법원도서관의 현재 상황을 분석하고, 미래 지향적인 장서 보존 및 관리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을 통해 법원도서관 장서와 보존공간 현황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법원도서관 장서의 미래 보존전략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대별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법원도서관 장서의 장기 보존을 위한 공간 확보, 둘째, 법원도서관 장서의 수집 및 이관 등 및 보존을 위한 체계 구축, 셋째, 법원사, 법률분야 귀중본, 행정자료 등 사법부 특성화 자료의 영구보존 및 이용을 위한 디지털 아카이빙 수행이다. 이를 통해, 법원도서관은 각급 법원 도서실을 포함한 법원도서관의 장서 수장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소장자료를 체계적·효율적으로 보존하며, 도서관 이용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자료 파기 명령 집행절차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gital Material Disposal Order System)

  • 김태성;이상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863-872
    • /
    • 2017
  • 소송을 위해 사법기관으로 이관된 디지털자료는 법원의 기록물관리규정에 명시된 절차에 따라 파기하며, 피의자의 혐의를 입증하기 위해 수사기관이 수집한 디지털자료는 대검예규 제 876호(디지털 증거의 수집 분석 및 관리규정) 또는 경찰청 훈령 제 766호(디지털 증거 수집 및 처리 등에 관한 규칙)에 의거 명시된 절차에 따라 파기한다. 사법기관은 형사소송과 민사소송 확정판결 시 관계법령을 근거로 하여 소송의 쟁점이 되는 디지털자료에 대해 파기명령한다. 하지만 사법기관의 파기명령 시 이를 집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절차가 존재하지 않으며 유일하게 제시된 저작권법 시행령에는 집행주체를 전문성이 검증된 전문집행관이 아닌 관계공무원으로 명시하였고 파기절차나 방법을 디지털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시하지 않아 사법기관이 파기명령 한 디지털자료 파기 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법기관의 디지털자료 파기명령을 실효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디지털자료 파기명령집행절차를 제시한다.

조선후기 궁중 연희무대 건축 장인(建築匠人)의 활동과 주요 목수(木手) 연구 (A Study on Activities of Architecture Craftsmen and Major Carpenters of Court Palace Performance Sta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석진영;한동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28권3호
    • /
    • pp.29-44
    • /
    • 2019
  • A major performance stage carpenter, Jang Insang led performance stages from the 1719 Sukjong Royal Banquet and was confirmed by historical records to be the first craftsman. Lee Wandeuk led the Hwaseong Fortress performance stages of the Jeongjo period and Gichuk Jinchan performance stages of the Sunjo period. The carpenter techniques he used during the Jeongjo period were succeeded to the Sunjo period. Ahn Sungil was the head craftsman who led the performance stages of Jagyeongjeon Jinjak, Muja Jinjak, and Gichuk Jinchan of the Sujo period, under which the foundation for court palace performances was laid. The progression of major carpenters includes Jang Insang of the Sukjong period, Jeon Yoochu of the Yeongjo period, Ahn Sugil of the Sunjo period, Yoon Seoksin of the Heonjong period, Kim Yoonsik of the Gojong period, Lee Jongyoon, Kim Soongil, Seo Sangmook, and Han Sujoon. In addition, the Major Repair of Injeongjeon Hall (1857) of the Cheoljong period was the most important palace construction project for transferring the carpenters' skills. Through this project, Ahn Sungil of the Sunjo period, Kim Myeonggap, Yoon Seoksin of the Heonjong period, Kwon Deuknyang, and Kim Sungil of the Gojong period were able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hat is, this major repair project of Injeongjeon Hall reflected the major carpenters' best techniques through performance stage construction, showing the progression of Ahn Sungil, Yoon Seokshin, and Kim Sungil, who led the constructions of Gichuk Jinchan of the Sunjo period (1829), Mushin Jinchan of the Heonjong period (1848), and Jeonghae Jinchan of the Gojong period (1887), the most impressive performance stages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 carpenters of the court performance stages participated in important construction projects of the royal palace, reflecting the superior technical skills of the carpenters in the construction of court palace performance stages. The carpenters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construction of performance stages were able to interact with one another and transfer their excellent technical skills, providing the driving force that allowed court performance stages to blossom into splendid and high-quality court sta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소송문서의 전자적 유통을 위한 XMP 기반 전자문서 구조 설계 (Design of XMP-Based Electronic Document Architecture for Electronic Circulation of Litigation Documents)

  • 박민수;송충근;이남용;김종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95-105
    • /
    • 2011
  • 각종 업무처리시스템이 웹기반으로 구현되는 것이 보편화됨에 따라 전자소송분야에서도 이에 대한 적용이 활발하다. 소송기록을 중심으로 하는 전자소송에서는 웹상에서 전자문서를 안전하게 유통 활용하기 위해서 기록으로서의 원본성, 사건으로서의 특수성 및 위변조 방지 등의 보안성을 고려하여 전자문서 구조가 설계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소송기록으로 적합한 전자문서 포맷과 특수한 사건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XMP 및 전자문서 유통을 위한 보안요소의 연구를 통하여 헌법재판분야의 전자소송 구현시 적합한 전자문서 구조를 설계하고, 적용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웹상에서 전자문서 교환을 통해서 업무처리를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디지털 포렌식 기법을 적용한 전자기록물 관리기술 고도화 연구 (Research on Advanced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Technology Using Digital Forensics)

  • 유형욱;손태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73-277
    • /
    • 2013
  • 디지털 방식으로 생산 저장되는 기록들이 급증함에 따라 이러한 디지털 기록들을 수집 보존 관리하는데 있어 신뢰성 및 무결성을 유지하고 이를 통해 법적 증거로써의 가치를 보장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형사 소송법 및 기록관리 법령을 토대로 현재 국가기록원에서 관리하고 있는 전자기록물의 사법적 증거능력에 대해 고찰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포렌식(Digital Forensics) 절차 적용 및 해시값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범어사 보제루의 복원을 위한 건축형식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Form for the Restoration of Boje-roo in Beomeo-sa)

  • 서치상;윤석환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6호
    • /
    • pp.127-144
    • /
    • 2009
  •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form for the restoration of noogak(樓閣), Boje-roo(普濟樓) which was constructed at the central court of Beomeo-sa(梵魚寺). The results are as follow; 1. Boje-roo was established in 1700. By the constructional records and poetic essays of the times, the architectural of the establishment building was consisted fo two stories structure. The passage system for the approach to the court was the nuha-jinip(樓下進入), that is to say, one might walk between the columns of lower story of the building. And one could ascent the upper stairs and approach to the upper level, inner court. 2. By the remodelling in 1812, the building was varied to one story structure. Therefore the passage system for the approach to the inner court transformed from the nuha-jinip to the ugak-jinip(隅角進入), that is to say, one might ascent the atairs of the podium and could approach the inner court through the both sides of the building. 3.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tic rule, the structure of it's roof and walls of Boje-roo were altered to the Japanese style. In 1965, the wooden columns were shifted to the concreted column, and the wooden wall-panels were shifted to the brick wall attached stone slates. 4. Conclusively speaking, for the restoration of Boje-roo, the establishment form in 1700 is the more proper than the remodelling form in 1812.

  • PDF

Astronomical Phenomenon Records from Sukjong's Chunbang-Ilgi

  • Ki-Won Lee
    • 천문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75-89
    • /
    • 2023
  • We investigate the astronomical phenomenon records of Sukjong's Chunbang-Ilgi made by Sigangwon (Royal Educational Office of the Crown Prince) at which King Sukjong was the crown prince (i.e., 1667 January 24-1674 September 22). From the daily records of 2,799 days, we extract the astronomical records of 1,443 days and classify them into 14 categories. Then, we group the records of each category into five phenomena (Atmosphere, Eclipse, Daylight Appearance, Apparition, and Appulse) and compare them with the results of modern astronomical computations wherever possible. Except for Atmosphere group comprising records of meteorological events, such as solar halo, lunar halo, and unusual clouds, the significant findings in every other group are as follows: In Eclipse group, the solar eclipse that occurred on 1673 August 12 was unobservable in Korea, which is in contrast to the record of Joseonwangjo-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states that the sun was in eclipse around sunset time, as observed at Nam mountain. From the lunar eclipse records, we verify that the Joseon court did not change the date of the events observed after midnight. In Daylight Appearance group, we confirm that this phenomenon was observed during the daytime and not during twilight. We further suggest that if observation conditions are met, a celestial body brighter than -2.3 mag could be seen during the daytime with the naked-eye. In Apparition group, we find the possibilities that the Orionid meteor shower had influence on the meteor records and the seasonality on the aurora records. We also find that the Korean records in which the coma of comet C/1668 E1 was located below the horizon were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Finally, we find that the records of Appulse group generally agree with the results of modern calculations. The records of Beom (trespass in literal) and Sik (eating in literal) events show average angular separations of 1.2° and 1.0°, respectively. In conclusion, we believe this work helps study the astronomical records of other logs of Sigangwon, such as Sukjong's Chunbang-Ilgi.

진보당 형사사건기록에 대한 기록학적 고찰 (Study of the Progressive Party Case Records through the Lens of Archival Science)

  • 이주영;전현수
    • 기록학연구
    • /
    • 제77호
    • /
    • pp.109-150
    • /
    • 2023
  • 이 글은 진보당 형사사건기록을 역사적 관점으로 해석하는 기존 연구 동향과는 달리 경찰-검찰-재판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완결된 유기적인 기록군, 즉 기록의 생애주기적 관점 속에서 진보당 형사사건기록이 기록의 속성을 어떻게 나타내고 있는지 기록학적 시각으로 새롭게 분석한 것이다. 먼저 생산기관별로 편철된 기록물의 형태와 기관별로 주요하게 생산된 사건기록이 무엇인지 출처별 특성을 기관별로 위임된 법령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후 경찰·검찰·특무대에서 생산한 수사기록과 기소 이후 재판과정에서 생산된 공판기록을 살펴보면서 기록이 가지는 특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특히 진보당 형사사건기록이 가지는 증거로서 불충분한 지점과 위법성에 대해 기록 특성의 관점으로 접근하여 형사소송법의 증거력 이전에 기록이 증거로서 효력을 가지는 기록학적 속성인 신뢰성, 진본성, 무결성 모두를 가지지 못하는 기록임을 증명했다.

한국 국가기록관리체제의 개혁과 국가기록원 개편 (Reformation of the Korea's National Archiving System)

  • 이승일
    • 기록학연구
    • /
    • 제41호
    • /
    • pp.39-73
    • /
    • 2014
  • 이 논문은 1999년에 수립된 한국의 국가기록관리체제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개혁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한국의 국가기록관리체제는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가 각각 독자적으로 영구보존기록물을 관리하고 있으나 전 세계적으로도 내셔널 아카이브가 행정부 기록만을 관리하는 사례가 거의 없다는 점을 고려하여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 기록을 통합 관리하는 방향으로 국가기록관리체제를 개편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1999년 기록관리법 제정 이래로, 한국 국가기록관리체제가 지나치게 중앙집권적으로 운용되고 있는데 이것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기록관리법에서는 영구보존기록물이 아닌 기록물도 국가기록원이 처리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국가기록원으로 하여금 많은 부담을 지우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소량의 영구보존기록물만을 국가기록원이 처리하고 유한보존기록물은 모두 중간기록물관리기관(기록관)이 처리하도록 법제화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