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tyledon cell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1초

Myo-inositol increases the plating efficiency of protoplast derived from cotyledon of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 Jie, Eun-Yee;Kim, Suk-Weon;Jang, Hye-Rim;In, Dong-Su;Liu, Jang-Ryol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8권1호
    • /
    • pp.69-76
    • /
    • 2011
  • This study describes the effect of myo-inositol on sustained cell divis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cotyledon-derived protoplast of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Freshly isolated protoplasts were cultured in modified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removed ammonia ions and containing $0.4\;mg\;l^{-1}$ thiamine HCl, $100\;mg\;l^{-1}$ myo-inositol, $2\;mgl^{-1}$ 2,4-D, $0.5\;mgl^{-1}$ BA, $30\;gl^{-1}$ sucrose and several concentrations of myo-inositol (2, 4, 6, 8, 10% (w/v)) as an osmotic stabilizer. After 3 weeks of culture in the dark at $25^{\circ}C$, the plating efficiency of cabbage protoplasts reached to $22.5{\pm}2.9%$ when cultured in modified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mgl^{-1}$ 2,4-D, $0.5\;mgl^{-1}$ BA, $30\;gl^{-1}$ sucrose and 8% (w/v) of myo-inositol at a density of $2{\times}10^5$ protoplasts/ml. Rapidly growing cell colonies after 3 weeks of culture were transferred to the same culture medium removed osmoticum. To induce shoot regeneration from calluses, calluses with about 2 mm in diameter were transferred to the MS medium containing $2\;mgl^{-1}$ BA and $0.5\;mgl^{-1}$ NAA. After further three weeks of incubation onto the medium in the light, green shoots were formed on the surface of calluses at a frequency of 30%. Upon transfer to half-strength MS basal medium, roots were formed onto the bottom of regenerated shoots without auxin treatments. These regenerated plantlets were successfully acclimatized to soil transfer, grown to normal mature plants. The cabbage protoplast culture system established in this study could be applied for production of somatic hybrids or cybrids by asymmetric protoplast fusion and mass proliferation of elite somatic clones of cabbage.

원형질체 배양을 통한 배추 〔Brassica campestris ssp. perkinensis〕캘러스 형성 및 뿌리분화 (Callus Formation and Rooting of Inbred Lines of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ssp. perkinensis) Though Protopalst Culture)

  • 염옥희;전익조;김혜진;백남권;임학태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53-157
    • /
    • 2001
  • 기내에서 성장한 배추의 자엽, 하배축과 계대배양한 지 2~3주 되는 어린잎이 원형질체 분리재료로 사용되었다. 배추의 원형질체 분리에 가장 적합한 효소의 조합은 0.4M mannitol 을 삼투조절제로 한 1% Cellulysin과 0.5% Macerozyme의 효소조합이 배추 원형질체 분리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잎조직을 27$\pm$1$^{\circ}C$에서 30rpm의 속도로 12~16시간 동안 효소와 반응시켰을 때 7.6$\times$$10^{5}$ protoplast/g의 가장 많은 원형질체를 얻었다. 세포분열을 유기시키기 위하여 K8p 배지에 5 mg/L 2,4-D와 2 mg/L에 첨가하였을 때 배양 7~10일에 자엽과 하배축에서 분리한 원형질체에서 세포군들이 형성되었다. 분열한 세포가 8~10 세포크기 단계에 이르면 0.2% agarose 반고체 배지에 고정시켜 배양하였다. 얻어진 calli들을 100가지 다양한 재분화 배지에 옮겼으나 식물체의 재분화는= 이뤄지지 않았지만, 간혹 캘러스에서 뿌리가 분화되는 것은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Efficient isolation, culture and regeneration of Lotus corniculatus protoplasts

  • Raikar, S.V.;Braun, R.H.;Bryant, C.;Conner, A.J.;Christey, M.C.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2권3호
    • /
    • pp.171-177
    • /
    • 2008
  • This paper reports an improved protocol for isolation, culture and regeneration of Lotus corniculatus protoplasts. A range of parameters which influence the isolation of L. corniculatus protoplasts were investigated, i.e., enzyme combination, tissue type, incubation period and osmolarity level. Of three enzyme combinations tested, the highest yield of viable protoplasts was achieved with the combination of 2% Cellulase Onozuka RS, 1% Macerozyme R-10, 0.5% Driselase and 0.2% Pectolyase. The use of etiolated cotyledon tissue as a source for protoplast isolation proved vital in obtaining substantially higher protoplast yields than previously reported. Culture of the protoplasts on a nitrocellulose membrane with a Lolium perenne feeder-layer on the sequential series of PEL medium was highly successful in the formation of microcolonies with plating efficiencies 3-10 times greater than previous studies. Shoot regeneration and intact plants were achieved from 46% of protoplast-derived cell colonies.

땅두릅(Aralia cordata Thunb.)의 조직배양에서 체세포배의 자엽 수 변화에 미치는 ABA의 영향 (Effect of Abscisic Acid on the Number of Somatic Embryo Cotyledons in Tissue Cultures of Aralia cordata Thunb.)

  • 이강섭;소웅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287-291
    • /
    • 1994
  • 땅두릅에 있어서 이상체세포배의 형성에 미치는 ABA의 영향을 구명하기위하여 체세포배는 1.0 mg/L 2,4-D가 첨가된 M 기본배지상에서 자엽유래 배발생 세포괴로부터 유도되었다. 배발생세포괴에 0.2 mg/L의 ABA를 처리하여 3주간 배양한 후 ABA가 첨가되지않은 기본배지에 2주간 계속 배양한 경우에 2개의 정상적인 자엽수를 갖는 배는 68%. 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되지않은 MS 기본배지에 5주간 배양한 대조구에(59.4%)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0.2mg/L의 ABA를 처리하여 3주간 배양한 후 ABA의 농도를 0.1 mg/L로 반감한 배지에서 2주간 배양한 경우에는 정상의 자엽을 갖는 배는 28.6%로 감소된 반면에 3개 이상의 자엽을 갖는 다자엽배의 형성률이 높게 나타났다. 구형배에 ABA를 농도별(0.01-1.0 mg/L)로 처리한 경우에 정상의 자엽을 갖는 배의 형성률은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되었으며, 다자엽배의 형성률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심장형, 어뢰형 및 자엽시기 등 배발생 단계별로 배에 ABA를 각각 상기와 같이 단기간 처리하거나 계속처리한 경우에도 다자엽배의 형성률은 높게 나타났다.

  • PDF

원적외선 처리수가 봄 무의 자엽, 하배축, 뿌리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far infrared irradiated water on the growth of the cotyledons, hypocotyls and roots of the spring radishes)

  • 조봉희
    • 분석과학
    • /
    • 제22권4호
    • /
    • pp.277-284
    • /
    • 2009
  • 원적외선 처리수와 음용수에서 자란 무의 발아율은 상대적으로 100%와 78% 이었다. 원적외선 처리수는 암소와 광에서 자엽의 세포분열을 촉진시켰고, 세포크기도 증가시켰다. 암소와 광조건에서, 원적외선 처리수에서 성장한 자엽의 종축과 횡축의 크기는 음용수에서 성장한 자엽보다 더 켰다. 엽록소의 양과 $CO_2$ 소모량은 원적외선 처리수에서 자란 자엽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삼투압은 원적외선 처리수에서 성장한 자엽이 음용수에서 성장한 것보다 1.25배 더 높게 측정되었고, 수분퍼텐셜은 원적외선 처리수에서 자란 자엽이 더 음의 값을 보였다. 원적외선 처리수에서 성장한 하배축의 길이는 음용수보다 암소조건에서는 2.18배, 광조건하에서는 1.99배 더 키가 컸고, 무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더 켰다.

고려인삼의 조직배양에 의한 기관형성과 원형질체배양에 관한 연구 (REDIFFERENTIATION FROM TISSUE CULTURE AND ISOLATION OF VIABLE PROTOPLASTS IN PANAX GINSENG C.A. MEYER)

  • 최광태;양덕춘;김남원;안인옥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4년도 학술대회지
    • /
    • pp.1-11
    • /
    • 1984
  • 인삼의 대량증식 방법과 원형질체배양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인삼의 자엽 callus 조직에서 많은 유식물체를 생산하는데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영향을 구명하고, 또한 일반 식물과는 전혀 다른 인삼의 생존력이 있는 원형질체를 나출하여 배양할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하고저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Murashige & Skoog(MS) 배양기조성 성분의 반량($\frac{1}{2}MS$)에 2, 4 - D 0.5mg/$\ell$ Kinetin 0.5mg/$\ell$를 첨가한 배양기에서 가장 많은 양의 배상체가 유기되었다. (2) 유기한 배상체를 동일배기에서 계속 배양할 경우에는 다시 탈분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frac{1}{2}MS$ 배양기에 BA와 GA를 같은 농도(BA : GA=1 : 1)로 첨가한 배양기에 옮겨서 배양하였던 바 배상체의 발육이 진전되어 유식물체로 발달하였다. (3) 인삼은 1년근 세포에서 원형질체를 나출할 경우의 최적요건은 효소로서 cellulase $2\%$, macerozy-me $0.5\%$ 였으며, osmoticum으로서는 mannitol 0.9M, pH 5.2였고, 처리기간은 $28{\pm}1^{\circ}C$에서 $7\~8$시간이었다. (4) 인삼 callus조직세포에서 원형질체 나출할 시에는 cellulase $2\%$, macerozyme $2\%$, driselase $1\%$씩 첨가한 효소용액으로 28{\pm}1^{\circ}$에서 25시간 이상 처리하는 것이 나출원형질체의 수와 생존율면에서 볼 때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십자화과 식물의 나출원형질체의 단리와 그 배양에 관한 연구 (Isolation and Culture of Protoplasts of Brassica Plants)

  • 김영래;이영복;함인기;박교선
    • 농업과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57-167
    • /
    • 1986
  • 십자화과 작물중 양배추, 배추 및 유채의 자엽과 엽육조직을 재료로 하여 원형질체 나출과 배양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배추, 배추 및 유채의 자엽과 엽육조직은 품종과 사용부위의 차이없이 공히 1 % Macerozyme 'R-10' 과 1.5% Onozuka 'R-10'이 포항된 E3 효소 용액에서 4 시간 처리하였을 때 우량한 원형질체를 나출할 수 있었다. 2. MS, B5 및 $GK_2$ 배지에서는 갈변현상이 관찰되어 세포분열 유기에는 적합하지 않았으며, NN 배지에서 갈변현상 없이 양호한 세포분열이 이루어졌다. 3. 배추와 유채의 자엽에서 단리한 원형질체는 9.1% D-mannitol, 1% glucose, 1% sucrose, $1mg/{\ell}$ 2,4-D, $0.5mg/{\ell}$ NAA 및 $0.5mg/{\ell}$ BA를 첨가한 NN배지에서 세포분열과 budding을 하였다. 4. 양배추, 배추 및 유채의 엽육조직에서 단리한 원형질체는 9.1% D-mannitol, 1% grucose, 1% sucrose, $1mg/{\ell}$ 2,4-D, $0.5mg/{\ell}$ NAA 및 $0.5mg/{\ell}$ BA를 첨가한 배지에서 세포분열과 budding을 하였고, 특히 유채의 나출원형질체는 cell cluster를 거쳐 colony까지 분화하였다.

  • PDF

발아중인 대두 (Glycine max)에서의 단백질 유동 (Mobilization of Proteins in the Cotyledons of Germinating Soybeans(Glycine max))

  • 송영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50-658
    • /
    • 1988
  • 발아 중인 대두와 두채 자엽부에서의 단백지 유동 현상을 광학현미경(LM)과 주사 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epidermis, vascular tissue 그리고 storage parenchyma에서 비교 관찰하였다. 발아 초기의 자엽에는 직경이 $0.1-15{\mu}m$에 해당하는 다양한 크기의 단백질 체(protein bodies)로 채워져 있었으며 epidermis와 vascular tissue의 단백질체는 parenchyma 세포보다 훨씬 적은 크기의 $0.1-5{\mu}m$였다.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단백질의 분해현상은 epidermis와 vascular tissue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그 분해 유형은 먼저 침투한 수분에 의해 팽창된 단백질체의 외막에는 손상이 없어 단백질 체 내부와 외부로부터 가수분해가 일어났으며, 단백질이 완전히 분해도기 전에 단백질체 끼리의 융합 또한 관찰 되어졌다. 단백질체 분해의 결과는 세포내에 중심액포를 만든다는 것이며, 두채 성장 말기에는 액포막의 파괴현상도 관찰되었다.

  • PDF

담배종자의 형성과정과 발아과정중의 형태적 변화 (Anatomical Changes in the Forming and Germinating Processes of Tobacco (Nicotiana tabacum L.) Seeds)

  • 민태기;홍병희;조재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3-149
    • /
    • 1986
  • 담배종자의 생태를 깊게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NC 2326을 공시하여 종자의 형성과정과 명, 암조건하에서의 발아과정을 관찰하고 몇가지 품종의 종자크기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종자의 발달은 개화후 7일경에 접합자의 세포분열이 시작되었고, 개화후 12일경에는 떡잎, 배축, 유근 등을 갖춘 최소한의 발아능력을 가진 종자로 형성되었다. 개화후 15일에는 발아율이 30%이하, 개화후 17일 및 21일까지는 발아율이 70%이상의 완전한 종자로 성숙하였다. 2. 종자의 입경은 0.3∼0.6mm 절위에 분포하였으며 품종간 크기의 차이를 보였다. 3. 담배종자는 광조건에서 분리흡수 2일째부터 유근이 신장하기 시작하여 3 일째부터 발아가 시작되었으며 암조건에서는 수분흡수 6일째까지 발아하지 않았다.

  • PDF

인삼종자의 발아과정에 있어서 미세구조의 변화 (Ultrastructural Changes during Germination of Ginseng Seeds (Panax ginseng))

  • 김우갑;박홍덕;김은수;한성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9권1호
    • /
    • pp.57-69
    • /
    • 1979
  • 과피가 녹색이고 배의 길이가 $250{\mu}$인 미성숙 과정을 거쳐 발아시까지 배 및 배유세포의 미세구조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의 길이가 $250{\mu}$인 미성숙 종자의 배세포는 세포질이 비교적 충실하나 mitochondria의 Cristae 및 plastid는 미분화상태이고 가끔 dictyosome이 관찰되었다. 액포안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globoid 를 함유하는 것도 있었다. 소포체는 대부분 한면소포체이고 외형질에는 spherosome을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배유세포는 spherosome과 이들로 둘러싸인 전자밀도가 높고 균질성인 protein body로 충만되었고 이들로 인하여 세포기관은 관찰되지 않았다. 2. 과피가 홍색인 종자의 배세포는 cristae가 발달한 mitochondria가 관찰되었으며, 전자밀도가 높은 globoid가 증가하였고 액포는 확장되었다. 배유세포에는 spherosome이 증가하고 있었으며 protein body는 확장되어. 그 내부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globoidal crystal이 분산되어 있었다. 3. 종피가 열개한 종자의 배축의 전형성층과 유아세포에서는 Golgi vacuole과 vesicle이 발달되었으며 mitochondria의 cristae는 매우 분화되었다. spherosome은 매우 많이 나타났고 유근세포, 배축의 주변세포 및 자엽세포의 액포는 매우 분화되었다. 배유세포는 spherosome으로 충만되어 있고 그 내질에는 전자밀도가 높고 작은 입자를 지니고 있었다. Protein body는 단일막으로 둘러싸여 있음이 확인되었다. 세포질내에는 구형체와 spherosome 주변의 세포질에 acid phosphatase의 활성을 나타냈다. 4. 파종시 자엽의 외면부 세포는 spherosome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protein body도 관찰되었다. 세포기관들은 분화되어 있었고 전분을 함유하는 색소체가 출현하였다. 5. 파종시킨 후 발아할 때까지 자엽의 외측 $2{\sim}3$열세포, 배축의 주변세포, 유근부 세포에서는 spherosome이 증가하였고 전분립을 함유하는 plastid 도 증가하였다. 배를 구성하는 세포의 내형질의 액포부근에는 mitochondria와 microbody 가 혼재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발아시기가 가까워 질수록 배와 연접하는 배유세포에는 액포가 매우 분화되고 spherosome은 감소되는 반면 액포내에는 무정형의 전자밀도가 높은 물질이 증가하였다. 그밖의 배유세포에는 spherosome이 감소됨에 따라 mitochondria는 증가되고 전자밀도가 높은 소구체가 형성되어 증가되었다. Protein body의 외질은 감소되고 전자밀도가 낮은 부위는 확장되며 이는 서로 융합하여 외연부는 없어지고 기질속에 소입자들이 형성되었다. 6. 발아기의 배유세포안에는 spherosome이 감소되고, protein body는 서로 융합되어 한 세포내에 $2{\sim}3$개로 충만되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