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ticosterone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47초

글루코코티코이드 호르몬에 의한 뇌해마의 CA와 Dentate Gyrus 부분의 유전자 발현 변화 (Glucocorticoid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in Hippocampal CA3 and Dentate Gyrus)

  • 김동섭;안순철;김영진;박병권;안용태;김지연;;허송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3호통권83호
    • /
    • pp.305-311
    • /
    • 2007
  •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해마 조직에서 대사, 스냅신 형성, apoptosis, 신경세포 생성과 세포에 있어서 수지상의 형태에 영향을 준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호르몬에 의한 해마조직의 생리학적 조절을 이해하기 위하여, CA3와 DG (dentate gyrus)에서 유전자 발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Lewis 쥐에 9.5mg의 코르티코스테론 알약 또는 플라시보 알약을 20일 동안 처리한 후에 올리고머 유전자 칩을 이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사 하였다 (Rat Neurobiology U34 Arrays, Affymetrix). 플라시보 알약을 처리한 쥐에서 32 유전자들이 DG보다 CA3에서 발현이 높았으며, 3개 유전자는 CA3보다 DG에서 높은 발현을 보였다. 코르티코스테론 호르몬 처리에 의한 해마조직의 유전자 발현 형태는 해부학적 구조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CA3에서 6개의 유전자와 DG에서 41 개의 유전자가 호르몬에 의하여 조절 받았으며, 이중 43개의 유전자가 상승 발현하였으며, 4개의 유전자가 하강 발현 하였다. 이들 유전자를 기능에 의해 분류하면, 13개의 신경전달물질관련 유전자, 5개의 이온채널,4개의 전사인자, 3개의 neurotrophic인자, 1개의 각 사이토카인과 apoptosis관련 유전자, 그리고 5개의 스냅신형성관련 유전자가 해마조직에서 발현의 변화를 보였다. 특히, 스트레스 호르몬에 의하여 CA3에서 BDNF의 감소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호르몬에 의하여 해마구조의 생리학적인 다양성을 내포 하고 있다.

γ-Aminobutyric Acid 및 생균제 급여가 여름철 육용 종계의 계란 품질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γ-Aminobutyric Acid and Probiotics on the Egg Quality, Blood Parameter, Stress Level in Broiler Breeder)

  • 고유돈;김지헌;성하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47-253
    • /
    • 202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름철에 육용 종계에게 γ-Amino-butyric(GABA)와 생균제를 급여하였을 때, 계란품질, 혈액 생화학 조성 및 corticosteron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49주령의 육용 종계 총 72수를 무작위로 선발하여 3 처리(대조구, GABA, 생균제)를 두었고, 시험구당 8반복으로 반복당 3수씩 완전임의배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GABA와 생균제는 배합사료 내 각각 50 mg/kg과 0.1%의 농도로 급여하여 6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6주 후 육용 종계의 난중, 난백고 높이, Haugh units, 난황색, 난각 두께 및 난각 강도에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모든 혈액 내 생화학 조성에서 GABA와 생균제 급여로 인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중 corticosterone 농도는 CON의 14.18 ng/mL에비하여 GABA는 8.02 ng/mL 그리고 생균제는 8.30 ng/mL으로 크게 감소하였다(P<0.05). 이와 같은 corticosterone 수준의 감소는 스트레스 완화와 상호작용적 반응을 일으킨 것이라 사료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여름철 고온으로 인한 육용 종계 스트레스는 GABA 및 생균제 급여로 인하여 감소하였으며, 향후 이에 대한 보다 더 다양한 세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물탕가향부자(四物湯加香附子)가 난소적출 흰쥐의 우울 및 학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mul-tanggahyangbuja on Depression and Learning on Repeated Stress in Ovariectomized Rats)

  • 이순이;김송백;서윤정;최창민;조한백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17
    • /
    • 2013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부인과에서 빈용되고 있는 사물탕에 향부자를 가미한 처방을 사용하여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가한 난소적출 흰쥐에 대하여 항우울 효과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난소적출 흰쥐에 2주간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주고, 사물탕가향부자(100 mg/kg, 400 mg/kg)을 경구 투여한 후 행동검사로 Morris water maze test, Forced swimming test, Sucrose intake 측정과 Social exploration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혈액검사로 혈청 Corticosterone, IL-$1{\beta}$와 TNF-${\alpha}$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 과: 1. Morris water maze test에서 사물탕가향부자 400 mg 투여군은 실험 3, 4일째 에 사물탕가향부자 100 mg 투여군은 실험 4일째에 acquisition trial 수행의 시간이 대조군에 비해서 단축되는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2. Forced swimming test에서 사물탕가향부자 400 mg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immobility 시간이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3. Sucrose intake test에서 사물탕가향부자 400 mg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현저히 자당 섭취량이 증가하였고, social exploration 관찰에서 사물탕가향부자 400 mg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현저히 active social behavior가 증가하였다. 4. Corticosterone 측정에서 사물탕가향부자를 투여한 후 corticosterone 수준이 감소하는 변화가 있었지만 유효하지는 않았다. 5. 사물탕가향부자 투여군(100 mg, 400 mg)에서 IL-$1{\beta}$와 TNF-${\alpha}$의 양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로 사물탕가향부자는 난소적출 흰쥐의 우울 및 인지력 저하에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수영(水泳)-스트레스에 의한 혈장 Corticosterone 함량 및 뇌(腦) Catecholamine대사(代謝)의 변동(變動)에 미치는 Thyroxine 및 Propylthiouracil의 영향 (Effect of Thyroxie and Propylthiouracil on the Responses of Plasma Corticosterone and Brain Norepinephrine to Swim-Stress)

  • 신경호;홍기남;김형건;전보권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21
    • /
    • 1989
  • 수영-스트레스로 나타나는 뇌 catecholamine대사 및 혈장 corticosterone 함량의 변동에 대한 clonidine(500 ug/kg)의 억제작용을 propylthiouracil(0.01% 용액으로 5주간 마시게함) 및 1-thyrorine(4 mg/kg/day로 5일간 복강내에 주사)로 처치한 웅성-마우스에서 실험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마우스의 일과성 자발운동량의 변동은 갑상선-홀몬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았고, 수영스트레스(SS)로 나타나는 혈장 corticosterone(CS)의 증가가 propylthiouracil 전처치 (PTU) 및 1-thyroxine 전처치 (T4)로 각각 다소의 감소 및 증강됨을 보였으나, SS에 의한 혈장 CS증가에 대한 clonidine의 억제작용은 PTU 및 T4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SS부하로 뇌 3-methoxy-4-hydroxyphenylglycol 함량(MHPG)가 유의하게 증가되고 clonidine에 의하여는 MHPG가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뇌 norepinephrine 함량(NE)은 별 변동을 보이지 않아서 MHPG/NE비는 SS와 clonidine에 의하여 각각 현저한 증가 및 감소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PTU및 T4은 각각 뇌NE을 유의하게 감소 또는 증가시켰으나 뇌 MHPG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Clonidine은 SS에 의한 뇌 MHPG 및 MHPG/NE비의 증가를 모두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그 억제작용은 PTU 및 T4에 의하여 별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서, 마우스의 일과성 자발운동양상 및 스트레스반응으로 나타나는 혈장 corticosterone의 증가현상등이 갑상선-홀몬의 변동에 별 영향을 받지 않으며,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계의 활성화가 시상하부의 norepinephrine성 신경-흥분에 매게되어 나타나는 바, 스트레스성 혈장 corticosterone 증가에 대한 clonidine의 억제작용이 그의 절전-${\alpha}_2-adrenoceptor\;agonist$ 작용에 기인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s of an Anabolic Steroid, Nandrolone Phenylpropionate, on Reductions in Body and Muscle Proteins Under the Dietary Regimens of Feeding a Low-Protein Diet and of 50% Food Restriction in Rats

  • Choo, Jong-Jae
    • Nutritional Sciences
    • /
    • 제1권1호
    • /
    • pp.3-7
    • /
    • 1998
  • The aim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see whether an anabolic steroid, nandrolone phenylpropionate (NPP), exerts protienanabolic effects under such adverse nutritional conditions as protein deficiency and protein-energy malnutrition in male rats. feeding on a low-protein (8% casein) diet resulted in a marked reduction in body weight gain that was associated with reductions in body protein and protein content of gastrocnemius muscle. Administration of NPP (4 mg/kg body weight) did not alter muscle and body protein depletion induced by a low-protein diet. 50% food restriction caused reductions in body protein and in protein content of gastrocnemius muscle. These reductions were partially prevented by NPP (4 mg/kg body weight). Food restriction did not affect plasma concentration of corticosterone, insulin, or tetosterone plus dihydrotestosterone. On the other hand, neither plasma concentration of corticosterone nor insulin were affected by NPP. The present results show that anabolic steroids do not express anabolic effects under conditions of protein deficiency, but in protein-energy malnutrition, anabolic steroids exert their anabolic effects even in male rats.

  • PDF

Effect of High-tyrosine Diet on Brain Norepinephrine Metabolism in Immobilization-Stressed Rats

  • Yoon Hae Seong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7호
    • /
    • pp.858-866
    • /
    • 1993
  • S.D.rats were fed with 3.4% tyrosine supplemented diet for 5 days. Tyrosine diet had no effects on brain NE and MHPG-SO4 levels in non-stressed rats. When these animals were given 3 hr-immobilization stress, they responded in a manner that coped better to the stress. This was measured by the increase in brain MHPG-SO4 indicating the increase in norepinephrine turnover by the stressed animals. When rats were stressed, fed basal or high-tyrosine diet, brain tyrosine concentration dropped more than 26% over the non-stress control animals. 3-hr immobilization stress also decreased brain NE levels. However, while the stress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p<0.05) of brain NE in basal diet, the decrease was not significant in high-TYR diet group. And as the stress index, serum corticosterone, glucose, and free fatty acid concentratons also were assay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high-TYR diet prevented the stress-induced depletion of brain NE and suppressed the rise in serum corticosterone, glucose, and free fatty acid.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TYR diet increases the coping ability of body to stress.

  • PDF

Anti-stress Effects of Kimchi

  • Lee, Hye-Ran;Lee, Jong-Me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25-30
    • /
    • 2009
  • The anti-stress effects of kimchi were studied in the Sprague-Dawley rats dosed with kimchi. The rats in the stress groups were subjected to immobilization stress for 2 hr/day for 5 day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al period, daily average food intake and body weight (BW) gain had been reduced in the stress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Daily average food intak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tress-kimchi diet group compared to the stress-only group. The weights of the thymus and spleen were decreased by immobilization stress, but this reduction was partially suppressed by the addition of kimchi. The weights of the adrenal gland and epididymal adipose tissue were increased in the stress group, but ingestion of kimchi completely and partially suppressed these stress-induced changes, respectively.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and plasma levels of corticosterone were increased in the stress group, but at control levels in the stress-kimchi diet group.

Lactobacillus mucosae and Bifidobacterium longum Synergistically Alleviate Immobilization Stress-Induced Anxiety/Depression in Mice by Suppressing Gut Dysbiosis

  • Han, Sang-Kap;Kim, D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9호
    • /
    • pp.1369-1374
    • /
    • 2019
  • We isolated Lactobacillus mucosae NK41 and Bifidobacterium longum NK46 from human feces, which induced BDNF expression in corticosterone-stimulated SH-SY5Y cells, and examined their anti-depressive effects in mice. NK41, NK46, and their (1:1) mixture significantly mitigated immobilization stress (IS)-induced anxiety-like/depressive behaviors, hippocampal $NF-{\kappa}B$ activation, BDNF expression, $Iba1^+$ cell population, and blood corticosterone, $TNF-{\alpha}$, IL-6, and lipopolysaccharide levels. Furthermore, they inhibited colitis marker $NF-{\kappa}B$ activation, and $TNF-{\alpha}$ expression in mice with IS-induced anxiety/depression. They additionally suppressed gut Proteobacteria and Bacteroidetes populations and bacterial lipopolysaccharide produ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K41 and NK46 may alleviate anxiety/depression and colitis by suppressing gut dysbi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