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xt-aware service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37초

Implementation of Context-Aware Services Platform Supporting Mobile Agents

  • Kim, Jung-Rae;Huh, Jae-Doo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2005년도 6th 200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s, Communications and System
    • /
    • pp.225-228
    • /
    • 2005
  • A context-aware services platform supporting mobile agents consists of sensor nodes and a sensor coordinator. Sensor nodes collect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sensor coordinator through wireless sensor networks. The sensor coordinator passes the information to the context-aware service module, and the mobile agent. The context-aware service module or the mobile agent performs services suitable for a user's situation based o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a service actuation message is delivered to an actuation node through the sensor coordinator. In this paper, we present a context-aware services platform structure employed in our project, and describe context-aware services platform interfaces with a context-aware service module and mobile agents.

  • PDF

EUCAS : 동적인 상황인식서비스 정의를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개발 (EUCAS : Development of the User Interface for Dynamic Context-aware Service Definition)

  • 강기봉;박정규;이긍해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346-350
    • /
    • 2009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우리의 생활에는 많은 서비스들이 등장하였다. 이런 서비스들은 우리의 삶은 편리하고 안전하게 하지만 서비스의 증가와 비례하여 우리가 이를 인식하고 활용하는데 필요한 관심과 노력도 증가하게 되었다. 상황인식서비스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주변 상황을 스스로 인식하고 적시적소에 자동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기존 상황인식서비스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상황인식서비스는 주로 개발자에 의해 정의된다. 개발자에 의한 상황인식서비스 정의는 사용자 주변 환경이나 개개인의 생활패턴을 반영할 수 없다는 중요한 문제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의 필요성을 느끼는 사용자 스스로가 상황인식서비스를 직접 정의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인 EUCAS(by End-User, Context-Aware Service development)를 소개한다. EUCAS는 사용자가 상황인식서비스를 직접 정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주변 상황정보와 실행 가능한 서비스들을 객체의 형태로 표현하고 이를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EUCAS는 사용자가 자신이 필요한 상황인식서비스를 직접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개인화된 상황인식서비스 환경구축을 가능하게 한다.

  • PDF

상황인식 서비스 응용을 위한 동적 서비스 관리 모델 설계 (Design of Dynamic Service Management Model for Context-Aware Service Applications)

  • 정헌만;이정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65-174
    • /
    • 2006
  • 상황 인식 서비스는 상황 획득 및 추론 과정 등의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상황 인식 서비스의 구현을 쉽게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필수적으로 지원되어야 하는 사용자 및 서비스의 이동성을 효과적으로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의 이동성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서비스간의 상호 작용을 위한 서비스 검색 및 조합, 서비스 이동성을 지원하는 동적 상황 인식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고 이 모델을 기반으로 상황 인식 미들웨어를 설계 구현한다. 또한 설계하는 미들웨어는 OSGi 프레임워크 위에서 구현함으로써 UPnP. Jini 등의 표준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해서 다양한 가전과 센서 등의 외부 기기들과 연동이 가능하다.

  • PDF

상황인지 기반 최적화가 가능한 개인화된 모바일 웹서비스 구축을 위한 다중에이전트 접근법에 관한 연구 (A Multi-Agent Approach to Context-Aware Optimization for Personalized Mobile Web Service)

  • 권오병;이주철
    • 경영과학
    • /
    • 제21권3호
    • /
    • pp.23-38
    • /
    • 2004
  • Recently the usage of mobile devices which enable the accessibility to Internet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Most of the mobile services, however, so far tend to be simple such as infotainment service. In order to fully taking advantage of wireless network and corresponding technology, personalized web service based on user's context could be needed. Meanwhile, optimization techniques have been vitally incorporated for optimizing the development and administration of electronic commerce. However, applying context-aware optimization mechanism to personalized mobile services is still very few. H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methodology to incorporate optimization techniques into personalization services. Multi agent-based web service approach is considered to realize the methodology. To show the feasibility of the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paper, a prototype system, CAMA-myOPt(Context-Aware Multi-Agent system for my Optimization), was implemented and adopted in mobile comparative shopping.

Context-Aware Active Services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 Moon, Ae-Kyung;Kim, Hyoung-Sun;Kim, Hyun;Lee, Soo-Won
    • ETRI Journal
    • /
    • 제29권2호
    • /
    • pp.169-178
    • /
    • 2007
  • With the advent of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it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for applications to take full advantage of contextual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location, to offer greater services to the user without any explicit requests. In this paper, we propose context-aware active services based on context-aware middleware for URC systems (CAMUS). The CAMUS is a middleware that provides context-aware applications with a development and execution methodology. Accordingly, the applications based on CAMUS respond in a timely fashion to contextual information. This paper presents the system architecture of CAMUS and illustrates the content recommendation and control service agents with the properties, operations, and tasks for context-aware active services. To evaluate CAMUS, we apply the proposed active services to a TV application domain. We implement and experiment with a TV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agent, a control service agent, and TV tasks based on CAMUS. The implemented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agent divides the user's preferences into common and specific models to apply other recommendations and applications easily, including the TV content recommendations.

  • PDF

상황인지 컴퓨팅 환경에서 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시스템의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 Composite Service Providing System in a Context-Aware Computing Environment)

  • 남진규;허선;주국선;신동민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1-57
    • /
    • 2009
  • There are a variety of users and devices in a context-aware computing environment. In this environment, the service provided to a user may be the composition of diverse services rather than one independent service. Before user's devices provide the composite service to the user, they should perceive user's needs by gathering related information segments from other surrounding devices and/or sensors. We consider a context-aware computing environment providing composite and adapted service to users and propose an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that characterizes the device where the collected data should be processed through services and/or applications. Based on this model, we provide an analytical tool to obtain some performance measures of the context-aware computing environment.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온톨로지 기반 상황 인식 미들웨어 (Context-Aware Middleware based on Ontology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 정헌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5-173
    • /
    • 2006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상황 인식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선 동적인 상황 관리 기술과 상황 추론 기술, 그리고 상황 모델링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상황 변화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능동적으로 반영하고, 동적인 응용 적응성을 지원하는 계층적 온톨로지 기반 상황 관리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황 인식 미들웨어를 설계한다. 또한, 상황 인식 서비스 구현을 위해 다양한 컨텍스트 발견, 획득, 해석, 추론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며 사용자의 서비스 실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상황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계층적 온톨로지 기반 상황 인식 미들웨어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상황 인식 서비스의 개발 및 운용을 효과적으로 지원 할 수 있다.

  • PDF

상황 온톨로지를 활용한 QoS 제공 상황인식 프레임워크 (Context-Aware Framework Using Context Ontology for Supporting QoS-based Services)

  • 서동우;이재열
    • 산업공학
    • /
    • 제21권1호
    • /
    • pp.65-74
    • /
    • 2008
  • In the future, th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will provide users with context-aware services, intelligently interacting with omnipresent resources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at any location and time. Therefore, th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requires context-aware applications in order to gather and analyze context information in various situations. However, existing context-aware applications have mainly focused on providing services and adapting themselves to users based on user related contexts. But this environment requires not only user related contexts but also Quality-of-Service (QoS) related contex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frame-work for supporting user-oriented QoS in ubiquitous environments. The proposed approach adopts a semantic ontology and a neural network algorithm in order to reason about explicit and uncertain contexts. We also show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framework to real environments such as collaborative engineering service, automobile maintenance service and ubiquitous home service.

상황인식 컴퓨팅 환경에서 동적 서비스 컴포지션 기술 동향 분석 (Analysis of Trend in Dynamic Service Composition Technology for Context-Aware Computing Environments)

  • 신동천;장효선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63-178
    • /
    • 2010
  • A service composition has received much interest to provide users with the ad-hoc, seamless, and context-sensitive services dynamically composed from various networked services in context-aware computing environments. In this paper, with the purpose of guiding trends in the researches for dynamic service composition technologies, we investigate and analyze the major related works. For this, we separate semantic based composition from syntax based composition and then establish the comparison criteria by dividing the service composition processes into 3 steps:definition, construction, and execution.

상황인지 IoT 서비스 제공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 사용자 친화적 서비스 환경 (Ontology Based User-centric Service Environment for Context Aware IoT Services)

  • 최환석;이준영;양나리;이우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29-44
    • /
    • 2014
  •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 정황, 상태 정보를 추적하여야 한다. 하지만 센서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시스템, 문법, 구조, 의미적인 측면에서 이질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서비스에 재사용이 어렵다. 이를 위해 센서 데이터는 이와 같은 이질성을 제거하고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에 용이한 컨텍스트 정보 형태로 처리 되어야 한다. 또한 기존의 상황인지형 서비스 정의 환경은 상황을 정의하기 위해 필요한 센서의 종류나 상황정보의 기준, 서비스 정의를 위한 프로그래밍 능력 등을 필요로 하여 일반적인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oT 패러다임을 통해 습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황을 인지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인지 IoT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 사용자 친화적 서비스 환경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환경은 센서 데이터를 컨텍스트 정보로 처리하는 온톨로지 기반 시멘틱 센서 데이터 처리 메커니즘과 사용자 친화적 서비스 정의 환경으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