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nt of demands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26초

Clean Label Meat Technology: Pre-Converted Nitrite as a Natural Curing

  • Yong, Hae In;Kim, Tae-Kyung;Choi, Hee-Don;Jang, Hae Won;Jung, Samooel;Choi, Yun-S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73-184
    • /
    • 2021
  • Clean labeling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in the food industry, particularly for meat products that contain many food additives. Among synthetic additives, nitrite is the most important additive in the meat processing industry and 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ured color and flavor, inhibition of oxidation, and control of microbial growth in processed meat products. As an alternative to synthetic nitrite, preconverted nitrite from natural microorganisms has been investigated, and the applications of pre-converted nitrite have been reported. Natural nitrate sources mainly include fruits and vegetables with high nitrate content. Celery juice or powder form have been used widely in various studies. Many types of commercial starter cultures have been developed. S. carnosus is used as a critical nitrate reducing microorganism and lactic acid bacteria or other Staphylococcus species also were used. Pre-converted nitrite has also been compared with synthetic nitrite and studies have been aimed at improving utilization by exploiting the strengths (positive consumer attitude and decreased residual nitrite content) and limiting the weaknesses (remained carcinogenic risk) of pre-converted nitrite. Moreover, as concerns regarding the use of synthetic nitrites increased, research was conducted to meet consumer demands for the use of natural nitrite from raw materials. In this report, we review and discuss various studies in which synthetic nitrite was replaced with natural materials and evaluate pre-converted nitrite technology as a natural curing approach from a clean label perspective in the manufacturing of processed meat products.

유채 품질 평가 현황과 전망 (Prospect and Situation of Quality Improvement in Oilseed rape)

  • 장영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
    • /
    • pp.175-185
    • /
    • 2002
  • Rapeseed(Brassica napus L.) is an important oil crop as a vegetable oil, concentrated feed and industrial materials. The name "canola" was registered in 1979 by the Western Canadian Oilseed Crushers Association to describe "double-low" varieties. Double low indicates that the processed oil contains less than 2% erucic-acid and the meal less than 3mg/g of glucosinolates. Today annual worldwide production of rapeseed is approximately 35 million tons on 24 million hectares. China accounts for 33% of the world production and the European Economic Community for nearly 32%. Canola ranks 3rd in production among the world's oilseed crops following soybeans, sunflowers, peanuts and cottonseed. The recent advances in genomics and in gene function studies has allowed us to understand the detailed genetic basis of many complex traits, such as flowering time, height, and disease resistance. The manipulation of seed oil content via transgene insertion has been one of the earliest successful applications of modern biotechnology in agriculture. For example, the first transgenic crop with a modified seed composition to be approved for unrestricted commercial cultivation in the US was a lauric oil, rape-seed, grown in 1995. There were also some significant early successes, mostly notably the achievement of 40% to 60% lauric acid content in rapeseed oil, which normally accumulates little or no lauric acid. The name "$\textrm{Laurical}^{TM}$" was registered in 1995 by Calgene Inc. Nevertheless, attempts to achieve high levels of other novel fatty acids in seed oils have met with much less success and there have been several reports that the presence of novel fatty acids in transgenic plants can sometimes lead to the induction of catabolic pathways which break down the novel fatty acid, i.e. the plant recognizes the "strange" fatty acid and, far from tolerating it, may even actively eliminate it from the seed oil. It is likely that, in the future, transgenic oil crops and newly domesticated oil crops will both be developed in order to provide the increased amount and diversity of oils which will be required for both edible and industrial use. It is important that we recognize that both approaches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points. It will be a combination of these two strategies that is most likely to supply the increasing demands for plant oils in the 21st century and beyond.ant oils in the 21st century and beyond.

링크드오픈데이터 기반 스마트 라이브러리의 참조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ference Model of Smart Library based on Linked Open Data)

  • 문희경;한성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666-1672
    • /
    • 2016
  • 최근 스마트 기술이 다양한 정보시스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기존 도서관 서비스 분야는 디지털도서관을 넘어 스마트 도서관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환경에서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 그리고 사용자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도서관 서비스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요구된다. 기존 도서관 서비스는 서로 다른 이기종의 도서관 시스템간의 의미적 상호운용성이 저해되는 제한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은 다양한 콘텐츠 제공과 시스템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서비스의 통합에 중점을 두어 미래 도서관 시스템의 원형으로 링크드오픈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라이브러리 제안한다. 링크드 오픈데이터 기반 스마트 라이브러리는 첨단 정보기술이 모여진 혁신적인 시스템이다. 우리는 링크드오픈데이터를 기반으로 스마트 라이브러리를 위한 다양한 요구사항에 따라 시스템 환경을 설계하였다. 이용자의 요구사항과 정보기술의 에코시스템을 고려하여 스마트 라이브러리 시스템의 기능적 요구사항에 대해 기술한다. 또한 기능적 요구사항을 수용하고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스마트 지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참조 프레임워크를 보여준다.

생성형 AI 시대의 교과 교육과정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분석 및 실행 방안 연구 : 과학과 빛의 입자와 파동 단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the Curriculum in the Generative AI Era : Focusing on the Particles and Waves of Light Unit in Science)

  • 박소민;홍후조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7-59
    • /
    • 2024
  • The current application of Generative AI in education requires enhancing skills and competencies for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in the Age of Digital Formation.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necessary for individualized education should be cultivated in schools, along with the ability to develop AI-compatible learning resources. Today's educational environment aligns with the demands of the Generative AI Era.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for an educational system that promotes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while connecting students to the global context.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along with educational exploration, to understand the properties of light particles and waves within a competency-based science curriculum. The analysis and research findings aimed at devising a competency-based teaching-learning method for students' understanding of light particles and waves are as follows: First, unit analysis confirmed the significance of competency-oriented education and facilitated the structuring of units on light and waves. Seco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utlined the procedures for applying conceptual knowledge and functions in experiential learning, as well as the process of feedback delivery. Third, the study highlighted the need for a meticulous approach to inducing problem recognition through inquiry and discussion activities, ensuring that students, when exploring and recognizing problems independently, do not develop misconceptions.

컨텍스트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설계 방법론 (Context-based Web Application Design)

  • 박진수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1-132
    • /
    • 2007
  • 웹 기능의 향상과 웹 관련 기술의 발전, 레거시 시스템과의 통합 필요성 증대, 자주 변하는 웹 콘텐츠와 구조 등으로 인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관리하는 일이 과거보다 훨씬 더 복잡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는 포괄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설계 방법론은 아직 존재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한 컨텍스트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설계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에서는 웹 정보를 전달하는 메커니즘에 따라 구분되는 9 종류의 웹 페이지 형태와 웹 페이지 간의 다양한 의미 관계를 정의하는 7 종류의 링크 형태 및 설계 과정 중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컴포넌트 역할을 구별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형태 등 다양한 종류의 모델링 기법들을 소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 방법론은 '콤펜디엄(compendium)' 이라 불리는 일단의 관련된 정보 클러스터들로 이루어진 독창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하나의 콤펜디엄은 주제(theme), 컨텍스트 페이지, 링크 및 컴포넌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모듈 방식의 설계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항상 변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와 구조를 관리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은 의미적으로 응집력이 있고 구문적으로 느슨히 결합된 유연한 웹 디자인 산출물을 생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콘텐츠 기반 움직임 적응형 디인터레이싱 기법 (A Content-Based Motion Adaptive DeInterlacing Technique)

  • 김민환;이창우;이성원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791-802
    • /
    • 2010
  • 최근 LCD TV와 같은 순차 주사형 디스플레이의 보급에 따라 HDTV등의 전송에 사용된 비월 주사 영상을 순차 주사 영상으로 변환하는 기존의 디인터레이싱 기술에 대한 화질 개선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콘텐츠에 따른 움직임 정보의 통계값을 계산하여 영상 콘텐츠의 종류별로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따라 공간적, 시간적 디인터레이싱 방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움직임 적응형 디인터레이싱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공간적 디인터레이싱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소벨 연산을 이용하여 수직 에지와 수평 에지의 비율에 따라 M-ELA 방법과 DOI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개선된 공간적 디인터레이싱 방법을 제안한다. 다양한 실험 영상에 대한 객관적, 주관적 평가를 통하여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디인터레이싱 방법에 비해 우수한 화질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프랜차이즈 레스토랑 점장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r장s jon satifaction in franchise restaurant.)

  • 박대섭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25-252
    • /
    • 2000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oretical frame work of franchise restaurant, the characteristics of store manager's job and the level of their job satisfaction through an empirical investigation. Job satisfaction survey study shows that store managers consider important all work to be attended to as part of their duty with service management on top. It is also found that the majority of store managers consider their aptitude as most important job satisfaction factor and those, who are satisfied with their job content, advancement and the prospect, are more proactive in delivering qualify service and more than willing to commit themselves to their duties. Regrading demographical variables, store managers with scholarly competence and higher pay level are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their job but married men are not satisfied with the work environment in general. Ergo, Businesses should correspond by capitalizing on those store managers content with their duty thus collecting additional information and providing opportunities to further contribute to the business. For those dissatisfied individuals, however, businesses should determine their demands and by educational training supply a motive therefore making possible the conversion of such individuals to satisfied store managers and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business management. But, as with any study, this one has a number of limitation which constraints the generalizability of the empirical findings. It has not been for long since franchise restaurants established in domestic market and has been few studies regarding this topic there. Furthermore, managers are not willing to release operation related data. Therefore, further study are urged to overcome this limitation and should examine other dimensions of job satisfaction such as relations between revenue and profit with the level of store manager's job satisfaction remain to be investigated.

  • PDF

북트레일러의 유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Book Trailers)

  • 김현희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67-87
    • /
    • 2015
  • 문화 산업과 다양한 정보 기술의 발달로, 영상을 활용한 디지털 마케팅이 활성화 되면서, 과거 인쇄 광고에 의지해 오던 출판 업계는 영화 트레일러와 유사한 북트레일러(Book Trailer)를 홍보 수단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더욱 활성화 될 것이라 예상되는 북트레일러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부족하여, 체계적인 기초 연구를 바탕으로 북트레일러가 발전할 기초 토대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북트레일러에 대한 기초 개념을 확립하는 동시에 북트레일러의 유형을 분류 해 보았다. 유형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유형 분류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내용적 유형과 외형적 유형을 기준으로 유형을 구분하였다. 내용적 유형은 북트레일러의 내용에 따라, 그리고 외형적 유형은 북트레일러의 이미지 조합에 따라 유형을 나누었다. 결과적으로 내용적 유형은 스토리의 구성 요소를 토대로 메시지 활용형, 갈등 활용형, 인물 활용형으로 분류 할 수 있었고, 형식적 유형은 북트레일러를 구성하는 이미지의 조합에 따라 스틸 사진 활용형, 모션 타이포그라피 형, 인터뷰형, 영화 스토리 촬영형, 애니메이션형으로 유형을 분류 할 수 있었다.

재생 페트 플레이크의 시장 현황과 품질 평가 방안 연구 (Study on the Market Conditions and Quality Evaluation Methods of post-consumer Recycl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CR PET) Flake)

  • 주민정;서상욱;이가은;오재영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1-46
    • /
    • 2020
  • PCR PET flake's market endeavors difficult situations of its oversupply and decreasing demands in South Korea. Since China banned the import of most recycled plastics, flake producers who mostly export the flakes lost their biggest market. The producers struggled to survive in the competitions with PCR PET flake from EU and 3rd countries but it was challenging due to substandard quality and increasing cost. Attempts to improve the quality of PCR PET flake have been made but they were only an individual company's effor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arket status on PCR PET flake in South Korea and to present suggestions for improving its quality.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targeted to flake producers showed that no testing methods on PCR PET flake were standardized and there were critical factors to the quality such as moisture content, contaminants, and viscosity. Case studies of US, Japan and other countries had been done especially about testing methods and 76 samples from 21 companies were tested according to those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the final factors were decided as contaminants, moisture content, alkalinity index and intrinsic viscosity. There is a plan to standardize testing methods and they could be guidelines to improve the business competitiveness of PCR PET flake in South Korea.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변화를 통해 살펴본 고등학교 수학 평가의 방향 탐색 (Exploring the direction of Assessment in Korean High School Mathematics through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Mathematics Domain Changes)

  • 최인선;이세형;문두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137-158
    • /
    • 2023
  • 본 연구는 1993년부터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수학 영역 체제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 우리나라 고등학교 수학교육에서의 평가 방향 정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을 시험 체제, 내용 영역, 행동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시험 체제는 시험 시간, 문항 수 외에 평가 요소와 문항 유형 등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내용 영역 분석을 통하여 교육과정과 평가 영역의 관계성을 확인하고, 평가 영역 설정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행동 영역 분석을 통하여 특정 행동 영역에서 문항 유형의 고착화 가능성을 확인하고, 평가 문항의 유형에 대한 지속적 변화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에서의 시대적 요구와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평가의 방향과 그에 따른 제반 사항에 대하여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