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amination of microorganism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1초

Analysis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Contamination on Cultivation Environment of Strawberry and Tomato in Korea

  • Oh, Soh-Young;Nam, Ki-Woong;Kim, Won-Il;Lee, Mun Haeng;Yoon, Deok-Ho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510-51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icrobial hazards for cultivation environments and personal hygiene of strawberry and tomato farms at the growth and harvesting stag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irty strawberry farms and forty tomato farms located in Korea and tested for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distribution of the S. aureus and B. cereus, a total of 4,284 samples including air born, soil or medium, mulching film, harvest basket, groves and irrigation water etc. were collected from eight strawberry farms and nine tomato farms for one year. As a result, total S. aureus and B. cereus in all samples were detected. Among the total bacteria of strawberry farms, S. aureus (glove: $0{\sim}2.1Log\;CFU/100cm^2$, harvest basket: $0{\sim}3.0Log\;CFU/100cm^2$, soil or culture media: 0~4.1 Log CFU/g, mulching film: $0{\sim}3.8Log\;CFU/100cm^2$), B. cereus (glove: $0{\sim}2.8Log\;CFU/100cm^2$, harvest basket: $0{\sim}4.8Log\;CFU/100cm^2$, soil or culture media: 0~5.3 Log CFU/g, mulching film: $0{\sim}4.5Log\;CFU/100cm^2$) were detected in all samples. The total bacteria of tomato farms, S. aureus (glove: $0{\sim}4.0Log\;CFU/100cm^2$, harvest basket: $0{\sim}5.0Log\;CFU/100cm^2$, soil or culture media: 0~6.1 Log CFU/g, mulching film: $0{\sim}4.0Log\;CFU/100cm^2$), B. cereus (glove: $0{\sim}4.0Log\;CFU/100cm^2$, harvest basket: $0{\sim}4.3Log\;CFU/100cm^2$, soil or culture media: 0~5.9 Log CFU/g, mulching film: $0{\sim}4.7Log\;CFU/100cm^2$) were detected in all samples. The contamination of S. aureus and B. cereus were detected in soil, mulching film and harvest basket from planting until harvest to processing, with the highest count recorded from the soil. But S. aureus and B. cereus were not detected in irrigation water samples. The incidence of S. aureus and B. cereus in hydroponics culture farm were less than those in soil culture. The amount of S. aureus and B. cereus detected in strawberry and tomato farms were less than the minimum amount required to produce a toxin that induces food poisoning. In this way,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food poisoning bacteria was lower in the production environment of the Korea strawberry and tomato, but problems can be caused by post-harvest management method. These results will be used as fundamental data to create a manual for sanitary agricultural environment management, and post-harvest management should be performed to reduce the contamination of hazardous microorganisms.

제주도 어류양식장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도 조사 (Survey of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Fish Farms on the Jeju-Island)

  • 문영건;하진환;강창희;송춘복;오명철;허문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9-191
    • /
    • 2007
  • 본 연구는 2006년 3월부터 8월까지 제주도에서 성업 중인 육상 수조식 양식장 21개소를 대상으로 하여 미생물학적 위해요소를 양어 용수, 양어 사료, 양식 넙치에서 조사하였다. 식품 병원성 미생물 중 일반세균과 총 대장균군, 그리고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Vibrio parahaemolyticus를 조사하였다. 이번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특이할만한 점은 여름에 들어서면서 집중적이면서도 빈번하게 비가 내렸다. 양어용수를 검사한 결과 S. aureus, B. cereus and Salmonella spp.는 각각 $0-3.3{\times}10^2 CFU/ml,\;0-2.2{\times}10^2CFU/ml\;and\;0-5.1{\times}10^1 CFU/ml$ 검출이 되었다. 또한 사료 내 미생물을 조사하여 본 결과 조사한 MP사료 85%에서 S. aureus, B. cereus and total coliforms이 검출이 되었다 반면 양식 넙치를 조사한 결과 Escherichia coli O157:H7, total coliforms은 검출이 되지 않았다. 추후 이와 관련하여 좀더 체계적인 연구 시스템을 양식현장에 적용한다면 근래 들어 문제가 되고 있는 식품위생상 수산물이 야기하는 문제점들이 해결이 되어 안전한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 같다.

유기농 시설엽채류의 유해미생물 오염평가 (Analysis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Contamination on Organic Leafy Vegetables at Greenhouse in Korea)

  • 오소영;남기웅;윤덕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1-37
    • /
    • 2018
  • 본 연구는 시설엽채류에서 재배농법별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깻잎과 상추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유기농 및 관행 농가로부터 생산 및 수확 단계에서 식물체, 수확장갑, 수확비구니, 토양피복재 등으로부터 총 2,304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s, E.coli, Environmental Listeria, Yeast & mold 등의 위생지표세균과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spp., Clostridium spp., L. monocytogenes등의 병원성미생물을 분석하였다. 시설엽채류의 생산과정에서는 재배농법에 상관없이 위행지표세균은 검출되지 않거나 $3.4\;Log\;CFU/100cm^2$ 이하로 검출되었다. 유기농법으로 생산되는 깻잎과 상추에서 B. cereus와 S. aureus가 0.22~1.55 Log CFU/g로 조사되었고, 관행농법에서는 S. aureus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B. cereus는 0.42~2.19 Log CFU/g으로 조사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수확도구 및 멀칭필름에서도 재배농법과는 관계없이 위생지표세균과 유해균의 오염도는 낮았으며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수확도구에서의 미생물 오염도가 높아질수록 식물체 표면의 미생물 오염도도 높아지는 정의 상관관계($R^2=0.4526$)가 있었다. 또한 유기농 시설엽채류 생산시 토양 피복시 위생지표세균과 병원성미생물이 검출되지 않거나 피복을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시설엽채류 생산시 재배농법의 차이보다는 토양피복 및 수확과정의 미생물적 위생관리가 더욱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공동주택 지하저수조의 수질변화 및 부식성 특성 (Water Quality Variation and Corrosion Index Characteristics of Underground Reservoir in Apartment)

  • 장준영;김주원;황유훈;김기팔;신현상;임병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275-281
    • /
    • 2022
  • To maintain water quality after water treatment, monitoring whether the quality of treated tap water quality changes is essential. However, current investigations are insufficient to prevent secondary contamination in drinking water supply systems. This study investigated Gyeonggi's e apartment where a red water problem occurred and monitored the water quality and corrosiveness of the overall water supply system to the apartment from June 2021 to April 2022. In a comparison of drinking water quality after water treatment and the influent of the reservoir, turbidity and heavy metal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and residual chlorine was decreased due to increases in temperature. Correlation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ndicated that a low level of residual chlorine may cause the abscission of Mn2+ and Fe2+ through microorganism activation, which also causes a high level of turbidity. The corrosion index (LI) in the influent of the reservoir tank was increased due to Ca2+ and temperatu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rrosiveness of drinking water and the deterioration of drinking water quality were mainly increased between the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 and the reservoir tank's influent. The findings provide clear evidence that it is essential to manage water supply systems and reservoir tanks to prevent the secondary contamination of drinking water.

샌드위치 제조 사업장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Assessment of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Processing Company of Sandwich Products)

  • 김지영;김세리;최진길;제정현;정덕화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16-323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 for the processing of sandwich products in the middle of Gyeongnam province from December 2004 to January 2005. A total of 85 samples were collected from 5 sandwich shops. These samples were tested sanitary indication bacteria, such as aerobic Plate count(APC), coliforms, and Escherchia coli and pathogenic bacteria such as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As a result of APC and coliform count ranged 0-4.59 $log_{10}$ CFU/(ml, g, 100 $cm^2$, hand) and 0-3.86 $log_{10}$ CFU/(ml, g, 100 $cm^2$, hand), respectively. Especially, the highly contaminated items for APC were confirmed 1.64-4.59 $log_{10}$ CFU/g to employees', raw materials and sandwich in all items. Escherichia coli was isolated from 5 samples.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detected in 1 sample and 11 samples from utensil, raw materials and sandwiches, respectively. However,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in anywhere. For the production of safety sandwich, education of sanitation for employees, control of raw materials, and continuous monitoring for microorganism will be required.

일식 레스토랑 설비와 조리기구의 미생물 오염 실태 분석 (An Analysis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n the Facilities and Utilities of Japanese Restaurants)

  • 김기영;박계영;채명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9-17
    • /
    • 2009
  • 광주 지역 하절기 동안 일식 레스토랑 10곳의 위생 평가를 위해 미생물 검사를 실시하였다. 일식 레스토랑의 설비 및 조리기구 표면에서 swab sampling 방법으로 스폰지로 200개의 도말 표본을 채취하였다. 총 균수, 대장균군, 대장균, 포도상구균, 살모네라균, 리스테리아균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도말 표본이 미생물과 대장균군으로 오염된 것으로 입증되었다. 오염 정도는 샘플 채취 장소에 따라 달랐다. 심하게 오염된 곳은 바닥, 트렌치, 생선 취급 코너였고, 이러한 표본의 총 균수는 $10^4$ CFU/100 $cm^2$이 넘었다. 바닥, 트렌치, 나무 도마의 대장균군은 $10^3$ CFU/100 $cm^2$이 넘었다. 게다가 대장균군은 행주, 식기, 그리고 생선 및 채소 코너에서도 검출되었다. 대장균은 몇몇 식당의 바닥과 트렌치에서 검출되었다. 포도상구균은 몇몇 식당의 도마, 행주, 바닥, 트렌치에서 발견되었다. 살모넬라균과 리스테리아균은 모든 표본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일식 레스토랑에서 위생관리와 소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 PDF

단기 숙성 생햄에서의 식중독균의 오염과 저장 중 미생물의 성장 변화 (Determination of the Prevalence of Pathogenic Bacteria and the Changes in Microbiological Growth Pattern of Cured and Short-Ripened Raw Ham During Storage)

  • 이근택;이연규;이정표;이정우;손세광;최석호;이승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27-131
    • /
    • 2007
  • 본 연구는 단기 숙성형 생햄의 식중독균 오염 상태와 냉장 및 실온 저장 조건 중 미생물수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생햄의 등심 원료육에서의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총균수는 $3.11\;log\;CFU/cm^2$이었고 유산균, Pseudomonas spp., Clostridium perfringens 및 효모와 곰팡이는 모두 2 log 미만이었으나 Enterobacteriaceae가 3.11 log로서 주종균이었다. 생햄 원료 및 10과 $25^{\circ}C$에서 저장 된 제품에서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monocytogenes와 Escherichia coli O157:H7 등 6가지 식중독균은 발견되지 않았다. 생햄의 초기 총균수는 3.06 log CFU/g이었으며 90일 후에도 균수 증가는 미미하여 $10^{\circ}C$$25^{\circ}C$에서 각각 4.6과 4.69 log CFU/g이었다. 생햄의 저장 중 주 종균은 유산균과 Staphylococcus균이었다.

복합발효미생물을 이용한 하천유수지 오염토의 현장적용성 평가 (Field Applicability Evaluation Using Effective Microorganism Brewing Cycle for Contaminated Soil in Water Retention Basin)

  • 신은철;정민교;김경식;강정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11호
    • /
    • pp.35-43
    • /
    • 2016
  • 이 연구는 복합발효미생물을 이용하여 유수지 악취 제거와 유수지 토양에 흡착된 오염물질의 정화효과를 확인하고, 현장 적용성 시험을 바탕으로 토양오염 정화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토양 내에 침전된 유기오염물질을 분석하여 악취유발 원인과 토양오염 물질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복합발효미생물과의 혼합발효를 이용하여 악취와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유수지 오염토의 물리 화학적 구성과 토양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확인하여 악취의 원인을 규명하였다. 또한, 복합발효미생물과 유수지토의 혼합실험을 통해 혼합방법에 따른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복합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제거 방법은 한 종류의 미생물을 이용하는 것보다 오염 제거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복합발효미생물을 이용한 방법은 자연정화처리 방법에 비해 악취농도가 2.5배 저감하는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토양으로부터 배출된 간극수의 수질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합발효미생물과 유수지 혼합토의 교반실험에서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된 구리와 납이 각각 65%와 66%로 저감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유기물인 TPH 성분은 85%의 저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복합미생물을 이용한 유수지 오염토의 복원은 교반과 혼합비에 대한 기초자료 축적을 통해 악취와 토양오염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장기적인 정화시스템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대학 내 급식소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미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Microbiological Safety Assessment to Secure Safety of Food Service in University)

  • 김경열;남민지;남보람;류희정;허록원;심원보;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9-58
    • /
    • 2010
  • 본 연구는 서부경남지역에 소재하는 대학 내 급식소에 대하여 미생물학적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고,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미생물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부경남지역에 소재하는 대학 내 급식소 4곳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08년까지 하절기와 동절기로 구분하여 개인위생, 음용수, 조리된 음식 및 조리도구와 관련된 항목들에 대하여 위생지표세균과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원료와의 접촉 빈도가 높은 칼, 도마 및 행주 등의 조리도구와 조리종사자의 손에 대하여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이 각각 1.1~5.5와 1.3~5.3 log CFU/($100\;cm^2$, hand)으로 높게 검출되었고, 조리된 음식과 음용수에서도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이 각각 0.8~6.4와 1.3~5.0 log CFU/(g, mL)으로 비교적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어 조리과정 중의 교차오염의 발생이 우려되었다. 또한 병원성 미생물 중 S. aureus가 조리종사자의 손과 조리된 음식에서 각각 2.8~3.0과 2.0~2.3 log CFU/(hand, g)로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어 조리과정 중 개인위생불량으로 인한 교차오염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E. coli와 Salmonella spp.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대학 내 급식소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 등에 의해 생산된 안전한 원료를 위해요소중점관리제도(HACCP system) 매뉴얼에 적용하여 운영될 수 있도록 널리 보급하고, 조리종사자에 대한 철저한 개인위생관리와 주기적인 위생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원료 입고에서 배식까지의 모든 과정에 대한 위해요소를 사전에 차단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도시주부의 가공식품 구매행동과 식품첨가물에 관한 인식 연구 -서울.경기지역 거주 주부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Purchase Action of Processed Foods and the Recognition for Food Additives of Urban Housewives)

  • 한미영;안명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9-126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ive some help for housewives recognizing the desirable purchase of processed foods and food additives. This results were abtained as follows; In case of purchase action for processed foods of housewives confirmation of manufacturing date was the highest point(4.62). When housewives bought processed foods they considered the taste of them as first, and frequencies of processed foods intake showed the ratio of 46.6%, also it was shown to be used once a week. The order for use of processed foods were milk, milk products(butter, cheese, yoghurt, lactic bacterium beverage) 40.2% >canned foods 22.6% >meat products(ham, sausage, bacon) 20.9% > jelled fish 16.3%. Most of housewives wanted to have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food additives at the highest point(4.11). The interest about food additives of housewives was shown to the order of synthetic preservative 3.86 >chemical seasoning 3.74 >synthetic sweetener 3.59 >synthetic coloring agent 3.53. Also, it was shown to be thought that the hazard factors effected on food safety were agricultural chemical residue(30.9%), environmental pollution(25.2, food additives(23.0%), and microorganism contamination(20.9%).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