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umers's food

검색결과 745건 처리시간 0.032초

대구지역 주민의 건강기능식품 인식 및 이용실태 (Perceptions and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in Daegu area)

  • 강수진;이영준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93-105
    • /
    • 2010
  • Objective : Recently the number of health functional food (HFF) made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herbs have been increasing. However, there was a lack of the functional and safety information on HFF. Thu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perceptions and consumptions of the HFF in Daegu area. Method : We used the data of 'Survey in Daegu' in 2010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perceptions and intake conditions of HFF of 1,208 participated inhabitants. Result : Among the 1,208 respondents, 30.4% were male and 63.5% were female. Most respondents (69.3%) were between 30's and 50's decade. The recognition rate of HFF made with TKM herb appeared to 86.2%. The major route of acquiring HFF information was 'mass-media' (49.8%) ; the primary reason of using HFF was 'For health promotion and anti-aging' (69.2%). On the other hand, the recognition rate of adverse effects was 53.3%. As for intake effect, 41.5% were satisfied at HFF consumption, while 56.0% did not feel special effects through the HFF consumption. In regards to purchase place, 'HFF store' was most selected by 38.0%. 69.1% of respondents selected to TKM decoction, the reason is that it made according to TKM physician's diagnosis considered their health condition. Conclusion : HFF intake was purpose to health promotion, but HFF made with TKM was consumed without any information about that. In order that HFF be used properly to promote health, the scientific and reasonable information of HFF made with TKM herb is need for consumers.

Market Power of Genetically Modified Soybeans Traded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 Son, Eun-Ae;Lim, Song Soo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3권6호
    • /
    • pp.131-144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arket power of soybeans exported by the United States to Korea. Particularly, this paper considered dichotomous characteristics of genetically modified (GM) soybeans and non-GM soybeans and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of these two segregated soybean markets to understand key tenets of market power in international soybean trade. Design/methodology - The difference in market power between GM and non-GM soybeans was analyzed using Residual Demand Elasticity (RDE) and Residual Supply Elasticity (RSE) models over the period of 2008~2018. RDE and RSE models under an imperfect competition condition were used to estimate market margins and determine whether GM and non-GM exporters or importers exercised market power in the destination market. Findings - Empirical results suggested that the U.S. had a market power on both GM and non-GM soybean exports. GM exports had greater market power than non-GM exports (14% vs. 9%). By contrast, Korea showed an inability to grab market margin or exert market power in soybean imports. Both export supply by the U.S. and import demand by Korea were found to be more responsive to price changes of GM soybeans than to prices changes of non-GM soybeans. This might be due to a self-interested, profit-seeking strategy by the exporter and many concerned consumers regarding potential adverse effects of GMOs in the importing country. Originality/value - This paper fills the literature gap by exploiting market power in both GM and non-GM markets with explicit consideration of price correlations between GM and non-GM soybeans in Korea. A number of existing studies have provided evidence for market power broadly embedded in international commodity trade. However, studies focusing on Korean markets are limited. No study has explored the country's soybean trade. Furthermore, the majority of prior studies have almost exclusively focused on the market power from a standpoint of exporting countries without discussing importers' market structure. This paper also sought to understand potentially distinguished patterns of market power between GM and non-GM markets.

품질기능전개(Quality Function Deployment) 방법을 적용한 고추장 소스 콘셉트 개발: 미국과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Sauces Made from Gochujang Using the Quality Function Deployment Method: Focused on U.S. and Chinese Markets)

  • 이슬기;김아영;홍상필;이승제;이민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1388-139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추장 소스의 제품 개발을 위해 소비자 요구에 기반을 둔 Quality Function Deployment(QFD) 모델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QFD는 고객의 요구 사항이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의 각 단계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강력한 품질 경영 도구이다. 고추장 소스 제품 개발에 QFD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먼저 소비자로부터 요구 사항을 도출하고 소비자의 중요도, 수행도 분석을 위해 소비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기술특성을 도출하고 품질표 및 상관관계를 정의하였다. 최종적으로 각 단계에서 수집되고 해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추장 소스 제품 개발을 위한 품질의 집을 완성하였다. 그 결과 고객인지도 비교에서는 고추장 소스의 신선한 풍미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음식 풍미 향상, 음식 활용도 높음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고추장 소스의 품질에 대한 요구도와 개선비를 모두 고려하여 우선순위로 연결해 본 결과 신선한 풍미, 음식 풍미 향상, 음식 활용도 높음, 활용 가능한 레시피 제공 등이 높게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고추장 소스 제품의 외관적인 측면보다는 풍미와 관련된 제품 품질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특성의 난이도는 구매용이성, 브랜드 개발, 현지 식재료 사용, 독특한 콘셉트가 높게 나타난 반면, 순한 매운맛, 선명하고 탁한 붉은색, 끈적끈적하게 천천히 흐르는 점도에 대해서는 난이도 점수 및 순위가 낮게 나타났다. 기술특성 값을 중심으로 실행 난이도와 기술특성 간의 상호관계를 고려하여 기술특성 우선순위를 매겨 본 결과 용도 다양화에 대한 속성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무료 샘플 및 시식, 독특한 콘셉트, 브랜드 개발, 고추장 소스의 입자 보이지 않음 순으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고추장 소스의 개발과 이의 소비 확대를 위해서는 현지 소비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레시피 개발과 동반 음식을 함께 제안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추장은 매운 맛을 내는 소스 중에서 발효라는 공정을 거쳐 제조되므로 이러한 이미지를 부각시켜 기존의 매운 소스와의 차별성을 둔 현지인 맞춤형 포지셔닝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한편으로는 제품 콘셉트 도출 단계에서부터 소비자가 직접 참여하는 프로슈머 마케팅을 잘 활용하면 그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맞춤 상품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브랜드에 대한 로열티를 높일 수 있으므로 고추장 소스 콘셉트 개발 시에도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다면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편의추출법에 의해 설문 대상자를 선정하였고, 미국의 뉴욕 맨해튼과 중국의 베이징이라는 지역적 제한점을 갖고 있어 미국과 중국 대부분의 소비자 니즈를 반영했다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외적 타당도의 저해 요인들을 감소시킬 수 있는 소비자 계층에 따른 샘플링, 지역적 범위를 확장시킨 조사 설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비자의 상품구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 식품 및 생활용품을 중심으로 -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Consumer's Purchasing of Goods (1) - Centering Around Food and Living Products -)

  • 전성복;부굴문효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85-96
    • /
    • 2007
  • 우리나라는 최근 상품판매 시장의 개방과 상품판매의 다양화에 따라 대형 슈퍼마켓이 급성장하면서 소비자의 식품 및 생활용품의 구입행동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서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의 20대부터 60대까지 남녀 소비자 190명으로부터 유효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특징에서 남성은 디자인 인자인 패키지디자인, 색상, 상품디자인의 영향을, 여성은 코스트 인자인 가격과 형태에 강한 영향을 받고 있었다. 상품의 특징에 있어서는 여성은 본 연구의 모든 상품에 대하여 가격을 중요시하고 있었으며, 남성은 가격을 중요시하지 않고 있었다. 또한, 여성이 TV광고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남녀 모두 진열되어 있는 상품에서 다시 정보를 확인하고 구입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부터 특히 주 고객층이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에 대해서는 디자인을 중시하여 상품개발에 임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또한,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패키지디자인과 디스플레이는 상품판매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되고 있기 때문에 향 후 본 연구의 상품과 관련된 제조업체들의 패키지디자인과 상품진열의 효과에 대한 상호 보완적인 연구에도 보다 큰 관심을 갖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 PDF

청소년의 우유섭취 증진방안 연구(I) -중.고등학생의 우유 기호도와 섭취실태- (A Study on the Promotion of Adolescent's Milk Consumption (I) -Milk Preference and Intake Patterns of Urban Adolescents-)

  • 홍금진;이정원;박명순;조영선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3권1호
    • /
    • pp.61-72
    • /
    • 2007
  • In order to study milk preference and intake pattern of adolescent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92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Chungnam cities through October and November 2004. Of the subjects, 56.3% liked milk or liked very much. They preferred chocolate and fruit-tasted milk to plain milk. Reasons for liking milk were for health and its taste, while the reasons of disliking were unpleasant smell and stomach upset. However those who disliked milk did like milk products such as ice-cream, yogurt or cheese. Of the students 35.1% drank milk 2 times or more a day, while 11.8% drank milk less than 2-3 times a month. As a whole they drank milk 8.6$\pm$6.7 times a week, of which 4.3$\pm$3.1 times for plain milk. Daily intake amount was estimated as 308$\pm$315mL. Middle-school students and boys drank more milk than high-school students and girls, respectively. Among the students 64.3% used to drink 1 cup of milk at a time, and 58.3% drank only milk without other foods. It was shown that 51.8% took milk school-serviced and their milk intake frequenc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who were not given school milk service. Also milk intake frequencies was higher in students whose mother were housewives than in students whose mother had jobs. Milk preference, intake frequency, and one portion size showed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s each other. In conclusion, milk intake level of the subjects was insufficient and unpleasant smell and stomach upset were the main reasons which decreased milk preference and consumption. Students with low milk preference should be guided with how to drink milk deliciously, how to choose milk type and its products. It is also effective to go into school milk service and to provide milk at home anytime. As students like much fruit-tasted and chocolate milk, the milk processing industries should take their nutritional and health benefits into considerations importantly.

  • PDF

복분자 과립차 가공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on preparation properties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granule)

  • 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32-538
    • /
    • 2013
  • 복분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과립차를 제조하고자 가공특성을 조사하였다. 복분자 추출물과 당 및 산을 적용하여 추출물 함량($X_1$, 0.4~1.2 g), 당 함량($X_2$, 6~10 g) 및 구연산 함량($X_3$, 0.1~0.3 g)의 비율로 혼합하여 과립에 관능적 특성 및 Hunter's color를 반응표면분석을 통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색상에 대한 가장 우수한 관능평점을 나타내는 배합비는 추출물 함량 0.96 g, 당 함량 7.05 g 및 구연산 함량 0.232 g이었다.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향미를 나타내는 배합비는 추출물 함량 0.86 g, 당 함량 6.04 g 및 구연산 함량 0.215 g이었다.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맛을 나타내는 배합비는 추출물 함량 0.92 g, 당 함량 6.39 g 및 구연산 함량 0.251 g이었다.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은 배합비는 추출물 함량 0.86 g, 당 함량 6.65 g 및 구연산 함량 0.272 g이었다. Hunter's color b값의 반응표면은 전반적인 기호도의 반응표면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분자 과립차의 Hunter's color와 기호도는 Hunter's color a값 6.0, 복분자 추출물 함량 0.8 g 및 당 함량 0.6 g에서 선호되었다.

식품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기업연상이 자아이미지 일치성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onsumer's Corporate Association on Self-image Congruence, and Satisfaction in Food Company: Moderating Role of Consumer's Trust)

  • 정효선;황유현;윤혜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13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식품기업을 대상으로 소비자가 인지하는 기업연상이 자아이미지 일치성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이러한 인과관계에서 소비자의 신뢰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20세이상 소비자 215명의 표본을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최종 연구 모형의 적합도는 ${\chi}^2$(df=113)=221.565, GFI=.889, CFI=.960, RMSEA=.067 등으로 나타나,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 국내 식품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연상 중 능력연상(${\beta}=.323$; t=3.808; p<.001)과 사회적 책임 연상(${\beta}=.454$; t=5.386; p<.001)은 소비자의 자아이미지 일치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자아이미지 일치성(${\beta}=.339$; t=3.746; p<.001)은 소비자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연상이 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능력연상(${\beta}=.373$; t=3.885; p<.001)은 소비자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지만, 사회적 책임연상(${\beta}=.058$; t=.619; p>.05)은 유의하지 않았다. 신뢰의 조절적 역할에 있어서는 능력연상이 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저신뢰 집단(${\beta}=.501$; t=3.226; p<.001)의 영향력이 고신뢰 집단(${\beta}=.005$; t=.041; p>.05)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유의미한 조절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항산화능 소재 선발을 바탕으로 한 산수유와 황금을 이용한 약주 개발 (Development of Rice Wines Using Cornus officinalis and Scutellaria baicalensis by Antioxidant Activity Tests)

  • 이승주;김은혜;이형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1-30
    • /
    • 2008
  • 약주 개발을 위한 기능성 소재의 선발을 위해서 총 27종의 약초를 선별하여 45% 에탄올, 15% 에탄올, 물로 각각 추출하여 그 원액과 4단계의 농도에 대하여,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하여 항산화능이 전반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난 산수유와 황금이 약주 개발을 위한 주요 부재료로 선정되었다. 산수유를 주요 약재로 하는 약주의 개발은 과일향이 강하고 로제와인과 같은 붉은 색상을 내는 제품으로 개발하였고 황금을 사용하는 경우는 고 항산화능의 기능성 약주 컨셉에 맞게 한약재 향이 적당하고 일반적인 약주의 색상인 노란빛을 띠는 제품으로 개발되었다. 각각의 제품의 특성을 보강하기 위해 자초, 황정, 진피가 부재재로 첨가되었다. 개발 제품의 항산화능 분석 결과 시판 제품에 비해 황금주의 항산화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산수유주는 기존 제품 중 가장 높은 항산화능을 보인 제품과 같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2종의 개발 제품에 대한 기호도 조사 결과 황금주의 경우 신맛과 한약재맛의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산수유주의 경우 산수유의 첨가량 조절을 통한 과일향 증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최종 제품 출시를 위해 기호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배합비를 조정하고 기존 시판 제품과의 비교 기호도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며 개발된 제조기술은 현지의 기술 지도를 통하여 제품의 산업화 및 상품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복합쇼핑몰과 백화점 내 전문식당가의 공유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in Specialized Restaurants at Domestic Composite Shopping Malls and Department Stores)

  • 양철식;김정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3-10
    • /
    • 2009
  • Domestic distribution market is in a time of transition for the present. With consumers' diverse demands, the growth of department stores, shopping malls, specialized shops and so on has been taken place radically and the competition among them also has become severe. In order to promptly and positively cope with the radically changing trend of market and the generation of competing business entities, they are necessary to establish a discriminated indoor space plan. With such desires as the expansion of leisure activities based on the increase of personal income and the up-gradation, diversification and individualization of living standard based on economic growth, the dining-out space, one of people's life environments, need a variety of changes. In the past, the specialized restaurants of composite shopping malls and department stores were a mere mediating space of food sale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but today they become a discriminated and creative indoor space which representing customers' lifesty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public space of specialized restaurants at composite shopping malls and department stores and then present a discriminated spatial marketing strategy in order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its proceeding in the fu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work ou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dining-out contents at the time of appearing diverse composite dining-out spaces in the future and of establishing a renovation plan of specialized restaurants at composite shopping malls and department stores in order to provide customers a space which could satisfy their desires. In this vein, the characteristic and composition of necessary space was analyzed based on the examination of cases. The investigator hopes that study findings ar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ale space and dining-out space of composite commercial facilities and for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y to attract customers.

Genetic identification of anisakid nematodes isolated from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japonicus) in Korea

  • Kim, Jeong-Ho;Nam, Woo-Hwa;Jeon, Chan-Hyeo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9권5호
    • /
    • pp.26.1-26.8
    • /
    • 2016
  • Background: The nematode species belonging to genus Anisakis occur at their third larval stage in numerous marine teleost fish species worldwide and known to cause accidental human infection through the ingestion of raw or undercooked fish or squids. They may also draw the attention of consumers because of the visual impact of both alive and dead worms. Therefore, the information on their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clear species identification is important for epidemiological survey and further prevention of human infection. Results: For identification of anisakid nematodes species isolated from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japonicus),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analysi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of ribosomal DNA were conducted.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2 gene was also sequenced, and phylogenetic analysis was conducted. From the largehead hairtail (n = 9), 1259 nematodes were isolated in total. Most of the nematodes were found encapsulated throughout the viscera (56.2 %, 708/1259) or moving freely in the body cavity (41.5 %, 523/1259), and only 0.3 % (4/1259) was found in the muscles. By PCR-RFLP, three different nematode species were identified. Anisakis pegreffii was the most dominantly found (98.7 %, 1243/1259) from the largehead hairtail, occupying 98.7 % (699/708) of the nematodes in the mesenteries and 98.1 % (513/523) in the body cavity. Hybrid genotype (Anisakis simplex ${\times}$ A. pegreffii) occupied 0.5 %, and Hysterothylacium sp. occupied 0.2 % of the nematodes isolated in this study. Conclusions: The largehead hairtail may not significantly contribute accidental human infection of anisakid nematode third stage larvae because most of the nematodes were found from the viscera or body cavity, which are not consumed raw. But, a high prevalence of anisakid nematode larvae in the largehead hairtail is still in concern because they may raise food safety problems to consumers. Immediate evisceration or freezing of fish after catch will be necessary before consumption.